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강상류 가야고분군의 입지와 분포 패턴 - GIS를 이용한 경관고고학적 해석과 네트워크 분석 - = Loca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Gaya Tombs in the Upper Namgang Riv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82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cient tombs provide clues to identify the social and ideological context that played a role in the location selection process, the strategies of the chiefs to expand their political power,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actions among the tomb-building communities. Based on the landscape and distribution analysis methods of these ancient tombs, the analysis of the upper Namgang River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ynamic development of Gaya's local polities.
      During the mid-5th and early 6th centuries, there were local polities of Dae-Gaya, represented by Sangcheong Saengcho tombs, Hamyang Baekcheonri tombs, Namwon Yugori-Durakri tombs, and Wolsanri tombs; and So-Gaya polities which are represented by Sancheong Jungchonri tombs and Hapcheon Samga tombs in the upper Namgang River region. The political communities that formed these ancient tombs used a strategy to differentiate the power of the chief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intentional organizing of the landscape.
      Analysis of the inter-site visibility pattern between the central tombs and the settlements shows that each central tomb was placed high enough to view its surroundings and had the location conditions that were constantly exposed to the living space of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the case of the Sangcho tombs and the Jungchonri tombs, the tombs are separated from the living space with the river as the boundary, which is also intended to control access to the burial place of the chiefs. It is understood that these locational features reflect the strategy of creating a landscape among the chiefs to emphasize classical differentiation and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by making the chiefs themselves politically powerful through the tombs.
      Most of the tombs of the upper Namgang River were forming independent zones that did not share visibility, and each of the central and the peripheral tombs maintained the sphere of influence interacting within a radius of 10 kilometers. Given the dense nature of the tomb distribution, it appears that there was a settlement system with at least a four-tier hierarchy in this area.
      In the upper Namgang River regional polity, both the Dae-Gaya and the So-Gaya pottery styles are identified to co-exist.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a flow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an exchange of information along the river system. The network analysis of a radius of 20 kilometers showed that most central tombs share the interaction zon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was a network of economic union in the upper Namgang River mediated by manufactured goods.
      번역하기

      Ancient tombs provide clues to identify the social and ideological context that played a role in the location selection process, the strategies of the chiefs to expand their political power,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actions among the...

      Ancient tombs provide clues to identify the social and ideological context that played a role in the location selection process, the strategies of the chiefs to expand their political power, as well as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actions among the tomb-building communities. Based on the landscape and distribution analysis methods of these ancient tombs, the analysis of the upper Namgang River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ynamic development of Gaya's local polities.
      During the mid-5th and early 6th centuries, there were local polities of Dae-Gaya, represented by Sangcheong Saengcho tombs, Hamyang Baekcheonri tombs, Namwon Yugori-Durakri tombs, and Wolsanri tombs; and So-Gaya polities which are represented by Sancheong Jungchonri tombs and Hapcheon Samga tombs in the upper Namgang River region. The political communities that formed these ancient tombs used a strategy to differentiate the power of the chief an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intentional organizing of the landscape.
      Analysis of the inter-site visibility pattern between the central tombs and the settlements shows that each central tomb was placed high enough to view its surroundings and had the location conditions that were constantly exposed to the living space of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the case of the Sangcho tombs and the Jungchonri tombs, the tombs are separated from the living space with the river as the boundary, which is also intended to control access to the burial place of the chiefs. It is understood that these locational features reflect the strategy of creating a landscape among the chiefs to emphasize classical differentiation and to strengthen the identity of the community by making the chiefs themselves politically powerful through the tombs.
      Most of the tombs of the upper Namgang River were forming independent zones that did not share visibility, and each of the central and the peripheral tombs maintained the sphere of influence interacting within a radius of 10 kilometers. Given the dense nature of the tomb distribution, it appears that there was a settlement system with at least a four-tier hierarchy in this area.
      In the upper Namgang River regional polity, both the Dae-Gaya and the So-Gaya pottery styles are identified to co-exist.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a flow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nd an exchange of information along the river system. The network analysis of a radius of 20 kilometers showed that most central tombs share the interaction zone.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was a network of economic union in the upper Namgang River mediated by manufactured goo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고분군은 입지선정 과정에서 작용한 당시의 사회적·이념적 맥락과 수장층의 정치권력 확대전략을 파악하고, 고분군 조영 공동체 간의 정치경제적 상호작용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분군의 입지와 분포 패턴에 기초하여 가야 지역정치체의 역동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남강상류 고분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5세기 중반~6세기 초, 남강상류권에는 산청 생초고분군, 함양 백천리고분군,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고분군, 월산리고분군을 중심으로 하는 대가야의 지역정치체와 산청 중촌리고분군, 합천 삼가고분군으로 대표되는 소가야 세력이 공존하고 있었다. 이들 고분군을 조영한 정치체는 경관의 의도적인 조직화를 통해 수장권력의 차별화와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지형입지분석과 가시권분석에 의해 중심고분군-취락 간의 시인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고분군은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공동체 구성원의 생활공간에서 상시적으로 노출된 입지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생초·중촌리고분군의 경우 하천을 경계로 생활공간과 분리되어 있어 수장층 매장의례공간으로의 접근을 통제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이러한 입지적 특징은 고분군을 매개로 경관 자체를 정치권력화하여 계층간 차별성을 강조하고, 공동체의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수장층의 경관조성 전략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남강상류의 중심고분군에 대한 분포 패턴 분석 결과, 대체로 가시권을 공유하지 않는 독립된 권역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각 중심-주변고분군이 반경 10km 내외 범위에서 상호작용하는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고분군의 밀집양상을 볼 때, 각각의 권역에는 최소 4단계의 중층적 취락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남강상류의 가야 지역정치체 세력권 내에는 대가야·소가야양식토기가 공존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것은 남강상류 수계를 따라 인적·물적 자원의 흐름과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경 20km 범위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대부분의 중심고분군이 상호작용 권역을 공유하고 있어, 남강상류권에는 수공업생산품을 매개로 하는 경제적 성격의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고분군은 입지선정 과정에서 작용한 당시의 사회적·이념적 맥락과 수장층의 정치권력 확대전략을 파악하고, 고분군 조영 공동체 간의 정치경제적 상호작용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제...

      고분군은 입지선정 과정에서 작용한 당시의 사회적·이념적 맥락과 수장층의 정치권력 확대전략을 파악하고, 고분군 조영 공동체 간의 정치경제적 상호작용 등을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고분군의 입지와 분포 패턴에 기초하여 가야 지역정치체의 역동적 전개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남강상류 고분군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5세기 중반~6세기 초, 남강상류권에는 산청 생초고분군, 함양 백천리고분군,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고분군, 월산리고분군을 중심으로 하는 대가야의 지역정치체와 산청 중촌리고분군, 합천 삼가고분군으로 대표되는 소가야 세력이 공존하고 있었다. 이들 고분군을 조영한 정치체는 경관의 의도적인 조직화를 통해 수장권력의 차별화와 공동체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전략을 구사하였다.
      지형입지분석과 가시권분석에 의해 중심고분군-취락 간의 시인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고분군은 주변을 조망할 수 있는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었으며, 공동체 구성원의 생활공간에서 상시적으로 노출된 입지조건을 지니고 있었다. 생초·중촌리고분군의 경우 하천을 경계로 생활공간과 분리되어 있어 수장층 매장의례공간으로의 접근을 통제하려는 의도가 보인다. 이러한 입지적 특징은 고분군을 매개로 경관 자체를 정치권력화하여 계층간 차별성을 강조하고, 공동체의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수장층의 경관조성 전략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남강상류의 중심고분군에 대한 분포 패턴 분석 결과, 대체로 가시권을 공유하지 않는 독립된 권역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각 중심-주변고분군이 반경 10km 내외 범위에서 상호작용하는 세력권을 유지하고 있었다. 고분군의 밀집양상을 볼 때, 각각의 권역에는 최소 4단계의 중층적 취락구조가 형성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남강상류의 가야 지역정치체 세력권 내에는 대가야·소가야양식토기가 공존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것은 남강상류 수계를 따라 인적·물적 자원의 흐름과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경 20km 범위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대부분의 중심고분군이 상호작용 권역을 공유하고 있어, 남강상류권에는 수공업생산품을 매개로 하는 경제적 성격의 관계망이 형성되어 있었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장근,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1999

      2 전상학, "전북 동부지역 수혈식 석곽묘의 구조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3 강동석, "아라가야의 역사와 공간" 도서출판 서인 2018

      4 최경규, "아라가야의 역사와 공간" 도서출판 서인 2018

      5 하승철, "소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6 여창현, "소가야연맹체의 고고학적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7 박대재, "삼한의 국읍을 통해 본 구야국, In 김해 봉황동유적과 고대 동아시아–가야 왕성을 탐구하다"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018

      8 이희준,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취락 분포 정형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43 : 2000

      9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산청 평촌리 유적Ⅱ" 2007

      10 경상대학교박물관, "산청 옥산리 유적–석곽묘-" 2013

      1 곽장근, "호남 동부지역 석곽묘 연구" 서경문화사 1999

      2 전상학, "전북 동부지역 수혈식 석곽묘의 구조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6

      3 강동석, "아라가야의 역사와 공간" 도서출판 서인 2018

      4 최경규, "아라가야의 역사와 공간" 도서출판 서인 2018

      5 하승철, "소가야의 고고학적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5

      6 여창현, "소가야연맹체의 고고학적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3

      7 박대재, "삼한의 국읍을 통해 본 구야국, In 김해 봉황동유적과 고대 동아시아–가야 왕성을 탐구하다" 인제대학교 가야문화연구소 2018

      8 이희준, "삼한 소국 형성 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취락 분포 정형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43 : 2000

      9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산청 평촌리 유적Ⅱ" 2007

      10 경상대학교박물관, "산청 옥산리 유적–석곽묘-" 2013

      11 박천수, "대가야권 분묘의 편년" 한국고고학회 39 : 1998

      12 김승신, "대가야권 고분 출토 무장의 유형과 전개에 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13 김두철, "대가야고분의 편년 검토" 한국고고학회 45 : 2001

      14 강동석, "고김해만 일대 금관가야의 도시 경관, In 토지 활용과 경관의 고고학" 2018

      15 박승규,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한국고고학회 2000

      16 김규운, "고고자료로 본 5∼6세기 소가야의 변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17 하승철, "경남의 가야고분과 동아시아"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2010

      18 김종일, "경관고고학적 관점에서 본 대가야 고분군의 의미와 중요성, In 가야고분군의 보존·관리·활용방안" 2017

      19 박승규, "가야토기 양식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0

      20 백승충, "가야의 정치구조: ‘부체제’ 논의와 관련하여" 한국고대사학회 17 : 2000

      21 하승철, "가야서남부지역 출토 도질토기에 대한 일고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1

      22 김종일, "가야고분군의 경관적 특징과 의의" 가야고분군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8

      23 조영현, "가야고분군Ⅰ"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2018

      24 이성주, "가야고분군 세계유산적 가치 비교연구" 경남발전연구원 2017

      25 박천수, "가야고고학개론" 진인진 2016

      26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가야 자료 총서" 2018

      27 권학수, "가야 고고학의 새로운 조명" 혜안,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3

      28 김지연, "小加耶樣式 土器의 硏究"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29 尹貞姬, "小伽倻土器의 成立과 展開" 慶南大學校 大學院 1998

      30 Vita-Finzi, C., "Prehistoric Economy in the Mount Carmel of Palestine: Site Catch-ment Analysis" 36 : 1970

      31 Hare, T.S., "Political Economy, Spatial Analysis, and Postclassic States in the Yautepec Valle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01

      32 Delgado-Espinoza, F., "Intensive Agriculture and Political Economy in the aguachi Chiefdom of the lower Guayas Basin, Coastal Ecuador" University of Pittsburgh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