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考古學으로 본 非火加耶史 = History of Bihwa Gaya Seen from Arche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08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녕지역의 교동고분군은 화왕산 산록의 100여 기를 넘는 고총으로 구성되어 일대 장관을 이루고 있다. 교동고분군은 대가야의 지산동고분군, 아라가야의 말이산고분군에 필적하는 대 고분군으로 이에 주목하여 창녕지역 정치체의 성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간 이 지역은 4세기 말 또는 5세기 전엽에 신라에 복속되었다는 견해가 주류를 형성하여 왔다. 한편 5~6세기에도 이 지역이 가야에 속하는 것으로 주장하는 견해가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5세기 초 광개토왕비의 경자년(400년) 이후 가야지역의 정치적 구도를 생각하면서 창녕지역에 존재하였던 비화가야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즉 이 시기를 기점으로 금관가야가 쇠퇴하며 아라가야도 일시적으로 쇠퇴하는 가운데, 소가야와 함께 비화가야가 대두하기 때문이다.
      먼저 5세기 전반 창녕양식토기가 가야양식임을 밝히고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접근하였다. 그리고 창녕지역산 토기가 지속적으로 이입된 소가야, 금관가야, 다라국, 대가야와의 관계의 검토하면서 비화가야의 정치적 귀속성과 발전 동인에 대하여 논하였다. 나아가 비화가야의 중심지가 남부의 계성지구에서 북부의 교동지구로 옮겨가는 역사적 배경과 비화가야를 둘러싼 가야, 신라의 정치적 동향에 대해서도 접근하였다.
      5세기 전엽 대구, 경산, 울산, 양산, 부산지역에서는 토기양식에서 신라의 영향력이 관찰되지만, 이 시기 창녕양식 토기는 신라양식 토기와 전혀 다른 토기양식이며 신라의 영향력이 미치기 시작하는 5세기 중엽에도 독자적인 양식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창녕지역이 5세기에 신라에 복속되지 않은 것은 이 지역의 지형이 신라와는 높고 험준한 산지를 경계로 하고 있으나, 가야와는 낙동강을 마주 보고 열려 있는 점과 관련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연적인 조건 때문에 창녕지역에 대한 신라의 진출이 다른 낙동강 이동 지역에 비해 늦었다고 할 수 있다.
      비화가야는 창녕지역에서 생산된 토기가 합천, 의령, 김해, 창원, 통영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에서 신라와 낙동강 대안의 다라국, 낙동강하류역의 금관가야, 남해안의 소가야를 연결하는 철 소재를 비롯한 중계 교역을 담당한 것으로 보았다.
      5세기 전반 가야지역 토기의 광역 분포권역은 소가야, 비화가야에서만 확인되는 것에서 이 시기 비화가야를 가야의 유력국으로 보았다.
      5세기 중엽 비화가야의 중심지가 남부의 계성지구에서 북부의 교동지구로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소가야, 다라국의 약화와 대가야의 흥기가 그 배경에 있으며 그 배후에는 신라의 영향력도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5세기 후엽 창녕지역 토기양식이 소멸되고 각지에 이입되던 이 지역 토기가 반출되지 않은 점, 낙동강 대안의 주요 교섭세력인 합천 다라국과의 관계가 단절되는 점으로 볼 때, 이 시기가 되어서야 신라가 비화가야에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5세기 창녕지역의 비화가야는 대가야, 다라, 아라가야에 면한 낙동강 동안의 위치, 신라와 가야양식을 절충한 토기양식, 신라와 가야의 장신구와 장식대도가 사용된 점 등으로 볼 때 신라와 가야 사이의 일종의 완충지대 역할을 한 국이었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녕지역의 교동고분군은 화왕산 산록의 100여 기를 넘는 고총으로 구성되어 일대 장관을 이루고 있다. 교동고분군은 대가야의 지산동고분군, 아라가야의 말이산고분군에 필적하는 대 고분군...

      녕지역의 교동고분군은 화왕산 산록의 100여 기를 넘는 고총으로 구성되어 일대 장관을 이루고 있다. 교동고분군은 대가야의 지산동고분군, 아라가야의 말이산고분군에 필적하는 대 고분군으로 이에 주목하여 창녕지역 정치체의 성격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간 이 지역은 4세기 말 또는 5세기 전엽에 신라에 복속되었다는 견해가 주류를 형성하여 왔다. 한편 5~6세기에도 이 지역이 가야에 속하는 것으로 주장하는 견해가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5세기 초 광개토왕비의 경자년(400년) 이후 가야지역의 정치적 구도를 생각하면서 창녕지역에 존재하였던 비화가야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즉 이 시기를 기점으로 금관가야가 쇠퇴하며 아라가야도 일시적으로 쇠퇴하는 가운데, 소가야와 함께 비화가야가 대두하기 때문이다.
      먼저 5세기 전반 창녕양식토기가 가야양식임을 밝히고 그 역사적 의미에 대하여 접근하였다. 그리고 창녕지역산 토기가 지속적으로 이입된 소가야, 금관가야, 다라국, 대가야와의 관계의 검토하면서 비화가야의 정치적 귀속성과 발전 동인에 대하여 논하였다. 나아가 비화가야의 중심지가 남부의 계성지구에서 북부의 교동지구로 옮겨가는 역사적 배경과 비화가야를 둘러싼 가야, 신라의 정치적 동향에 대해서도 접근하였다.
      5세기 전엽 대구, 경산, 울산, 양산, 부산지역에서는 토기양식에서 신라의 영향력이 관찰되지만, 이 시기 창녕양식 토기는 신라양식 토기와 전혀 다른 토기양식이며 신라의 영향력이 미치기 시작하는 5세기 중엽에도 독자적인 양식을 강하게 유지하고 있었음을 밝혔다.
      창녕지역이 5세기에 신라에 복속되지 않은 것은 이 지역의 지형이 신라와는 높고 험준한 산지를 경계로 하고 있으나, 가야와는 낙동강을 마주 보고 열려 있는 점과 관련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자연적인 조건 때문에 창녕지역에 대한 신라의 진출이 다른 낙동강 이동 지역에 비해 늦었다고 할 수 있다.
      비화가야는 창녕지역에서 생산된 토기가 합천, 의령, 김해, 창원, 통영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에서 신라와 낙동강 대안의 다라국, 낙동강하류역의 금관가야, 남해안의 소가야를 연결하는 철 소재를 비롯한 중계 교역을 담당한 것으로 보았다.
      5세기 전반 가야지역 토기의 광역 분포권역은 소가야, 비화가야에서만 확인되는 것에서 이 시기 비화가야를 가야의 유력국으로 보았다.
      5세기 중엽 비화가야의 중심지가 남부의 계성지구에서 북부의 교동지구로 이동하는 것에 대하여, 소가야, 다라국의 약화와 대가야의 흥기가 그 배경에 있으며 그 배후에는 신라의 영향력도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5세기 후엽 창녕지역 토기양식이 소멸되고 각지에 이입되던 이 지역 토기가 반출되지 않은 점, 낙동강 대안의 주요 교섭세력인 합천 다라국과의 관계가 단절되는 점으로 볼 때, 이 시기가 되어서야 신라가 비화가야에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5세기 창녕지역의 비화가야는 대가야, 다라, 아라가야에 면한 낙동강 동안의 위치, 신라와 가야양식을 절충한 토기양식, 신라와 가야의 장신구와 장식대도가 사용된 점 등으로 볼 때 신라와 가야 사이의 일종의 완충지대 역할을 한 국이었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cient Tombs in Gyodong, Changnyeong region are composed of over 100 tombs around the foothills of the Hwawang Mountain, providing spectacular views. Gyodong Ancient Tombs are a large group of ancient tombs, equal to Jisandong Ancient Tombs from Dae-Gaya and Malisan Ancient Tombs from Ara-Gay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olity have been discussed.
      The mainstream view so far has been that this area was subjugated to Shilla between the late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but some viewed that the area belonged to Gaya until the 5th and 6th centuries.
      This study aimed to discuss Bihwa-Gaya that was based near Changnye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al structure of Gaya since the Year of Gyeongja (AD 400) recorded in the Gwanggaeto Stele in the early 5th century. That is, as Geumgwan-Gaya started to decline around this time and Ara-Gaya also temporarily declined, Bihwa-Gaya started to rise along with So-Gaya.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ottery from Changnyeong in the 5th century had the style of Gaya, and examine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addition, the pottery produced in Changnyeong had been continuously imported to So-Gaya, Geumgwan-Gaya, the Dara Kingdom and Dae-Gaya, and the relations between Bihwa-Gaya and these countries were reviewed to discuss the political attribution and the development driver of Bihwa-Gaya.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locating the center of Bihwa-Gaya from the Gyeseong district in the southern region to the Gyodo district in the northern region, and the political trends of Gaya and Shilla surrounding Bihwa-Gaya.
      The influence of Shilla was observed in the style of the pottery excavated in areas including Daegu, Gyeongsan, Ulsan, Yangsan, and Busan in the early 5th century, but the Changnyeong-style pottery during the period was not at all similar to the Shilla-style pottery. It was also found that its unique style was well maintained even in the mid 5th century when Shilla started to influence the area.
      Changnyeong was not subjugated to Shilla in the 5th century,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topography of the area, and particularly high and rugged mountains in its bordering area with Shilla. In addition, its border was open to Gaya along the Nakdong River, which seemed to be also related. Due to these natural conditions, Shilla seemed to expand its territory into Changnyeong relatively late compared to other regions along the Nakdong River.
      The pottery produced in Changnyeong was distributed across other areas including Hapcheon, Uiryeong, Gimhae, Changwon, and Tongyeong. This indicates that Bihwa-Gaya engaged in transit trade between Shill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Dara Kingdom on the other side of the Nakdong River, Geumgwan-Gaya i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and So-Gaya in the southern coast, trading materials such as iron.
      The pottery produced in Gaya in the early 5th century was found in So-Gaya and Bihwa-Gaya only, which indicates that Bihwa-Gaya was one of the leading powers among Gaya city-states during this period.
      The center of Bihwa-Gaya was relocated from the Gyeseong district in the southern region to the Gyodo district in the northern region in the mid 5th centur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decline of So-Gaya and the Dara Kingdom, the rise of Dae-Gaya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hilla.
      In the late 5th century, the style of the pottery in Changnyeong became extinct, and the pottery that used to be imported to different areas was no longer taken out. Its relation with the Dara Kingdom in Hapcheon, one of the major negotiating countries on the other side of the Nakdong River, was severed. This shows that Shilla did not influence Bihwa-Gaya until this period.
      Bihwa-Gaya in Changnyeong was situated on the east side of the Nakdong River bordering with Dae-Gaya, the Dara Kingdom and Ara-Gaya, and its pottery style compromised the style of Shilla and Gaya. In addition, the accessories and swords o...
      번역하기

      Ancient Tombs in Gyodong, Changnyeong region are composed of over 100 tombs around the foothills of the Hwawang Mountain, providing spectacular views. Gyodong Ancient Tombs are a large group of ancient tombs, equal to Jisandong Ancient Tombs from Dae-...

      Ancient Tombs in Gyodong, Changnyeong region are composed of over 100 tombs around the foothills of the Hwawang Mountain, providing spectacular views. Gyodong Ancient Tombs are a large group of ancient tombs, equal to Jisandong Ancient Tombs from Dae-Gaya and Malisan Ancient Tombs from Ara-Gaya,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olity have been discussed.
      The mainstream view so far has been that this area was subjugated to Shilla between the late 4th century and the early 5th century, but some viewed that the area belonged to Gaya until the 5th and 6th centuries.
      This study aimed to discuss Bihwa-Gaya that was based near Changnye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olitical structure of Gaya since the Year of Gyeongja (AD 400) recorded in the Gwanggaeto Stele in the early 5th century. That is, as Geumgwan-Gaya started to decline around this time and Ara-Gaya also temporarily declined, Bihwa-Gaya started to rise along with So-Gaya.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 pottery from Changnyeong in the 5th century had the style of Gaya, and examine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addition, the pottery produced in Changnyeong had been continuously imported to So-Gaya, Geumgwan-Gaya, the Dara Kingdom and Dae-Gaya, and the relations between Bihwa-Gaya and these countries were reviewed to discuss the political attribution and the development driver of Bihwa-Gaya.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relocating the center of Bihwa-Gaya from the Gyeseong district in the southern region to the Gyodo district in the northern region, and the political trends of Gaya and Shilla surrounding Bihwa-Gaya.
      The influence of Shilla was observed in the style of the pottery excavated in areas including Daegu, Gyeongsan, Ulsan, Yangsan, and Busan in the early 5th century, but the Changnyeong-style pottery during the period was not at all similar to the Shilla-style pottery. It was also found that its unique style was well maintained even in the mid 5th century when Shilla started to influence the area.
      Changnyeong was not subjugated to Shilla in the 5th century,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topography of the area, and particularly high and rugged mountains in its bordering area with Shilla. In addition, its border was open to Gaya along the Nakdong River, which seemed to be also related. Due to these natural conditions, Shilla seemed to expand its territory into Changnyeong relatively late compared to other regions along the Nakdong River.
      The pottery produced in Changnyeong was distributed across other areas including Hapcheon, Uiryeong, Gimhae, Changwon, and Tongyeong. This indicates that Bihwa-Gaya engaged in transit trade between Shill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Dara Kingdom on the other side of the Nakdong River, Geumgwan-Gaya in the downstream of the river, and So-Gaya in the southern coast, trading materials such as iron.
      The pottery produced in Gaya in the early 5th century was found in So-Gaya and Bihwa-Gaya only, which indicates that Bihwa-Gaya was one of the leading powers among Gaya city-states during this period.
      The center of Bihwa-Gaya was relocated from the Gyeseong district in the southern region to the Gyodo district in the northern region in the mid 5th centur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decline of So-Gaya and the Dara Kingdom, the rise of Dae-Gaya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hilla.
      In the late 5th century, the style of the pottery in Changnyeong became extinct, and the pottery that used to be imported to different areas was no longer taken out. Its relation with the Dara Kingdom in Hapcheon, one of the major negotiating countries on the other side of the Nakdong River, was severed. This shows that Shilla did not influence Bihwa-Gaya until this period.
      Bihwa-Gaya in Changnyeong was situated on the east side of the Nakdong River bordering with Dae-Gaya, the Dara Kingdom and Ara-Gaya, and its pottery style compromised the style of Shilla and Gaya. In addition, the accessories and swords o...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성, "한국 고대사 속의 창녕" 창녕군·경북대영남문화연구원 2009

      2 하승철, "토기와 묘제로 본 고대 창녕의 정치적 동향" 영남고고학회 (70) : 142-167, 2014

      3 박천수, "창녕 영산고분군의 조영과 성격" 창녕군·두류문화연구원 2019

      4 김승신, "창녕 계성고분군 2·3호분 출토 마구와 무구, In 창녕 계성고분군 2·3호분"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2017

      5 이희준, "신라 고고학 연구" 사회평론 2007

      6 신경철, "부산시사 1" 부산대학교 사학회 1989

      7 이희준, "대가야 고고학 연구" 사회평론 2017

      8 이희준, "김해 예안리유적과 신라의 낙동강 서안진출" 한국고고학회 39 : 1998

      9 조성원, "고분 출토 고배로 본 5세기대 낙동강하류역의 소지역성 연구" 영남고고학회 (55) : 5-44, 2010

      10 김두철, "고대 창녕지역사 연구의 제문제" 창녕군·부산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2011

      1 김용성, "한국 고대사 속의 창녕" 창녕군·경북대영남문화연구원 2009

      2 하승철, "토기와 묘제로 본 고대 창녕의 정치적 동향" 영남고고학회 (70) : 142-167, 2014

      3 박천수, "창녕 영산고분군의 조영과 성격" 창녕군·두류문화연구원 2019

      4 김승신, "창녕 계성고분군 2·3호분 출토 마구와 무구, In 창녕 계성고분군 2·3호분" 慶南發展硏究院歷史文化센터 2017

      5 이희준, "신라 고고학 연구" 사회평론 2007

      6 신경철, "부산시사 1" 부산대학교 사학회 1989

      7 이희준, "대가야 고고학 연구" 사회평론 2017

      8 이희준, "김해 예안리유적과 신라의 낙동강 서안진출" 한국고고학회 39 : 1998

      9 조성원, "고분 출토 고배로 본 5세기대 낙동강하류역의 소지역성 연구" 영남고고학회 (55) : 5-44, 2010

      10 김두철, "고대 창녕지역사 연구의 제문제" 창녕군·부산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2011

      11 홍보식, "고대 창녕지역사 연구의 제문제" 창녕군·부산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2011

      12 박천수, "고고학을 통해 본 가야" 한국고고학회 2000

      13 박천수, "가야토기-가야의 역사와 문화" 진인진 2010

      14 김태식, "가야연맹사" 일조각 1993

      15 박천수, "가야시기 창녕지방의 역사·고고학적 성격" 창원문화재연구소 2001

      16 주보돈, "가야사 새로 읽기" 주류성 2017

      17 박천수, "가야문명사" 진인진 2018

      18 박천수, "가야각국사의 재구성" 혜안 2000

      19 千賀久, "疆原考古學論集 『" 疆原考古學硏究所 1994

      20 高久健二, "昌寧校洞古墳群" 東亞大學校博物館 1992

      21 김용성, "昌寧地域의 新羅高塚과 그 意義" 신라사학회 (22) : 247-292, 2011

      22 井上主稅, "昌寧 桂城里遺蹟" 우리문화재연구원 2008

      23 박천수,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年 紀念論叢" 慶北大學校考古人類學科 2000

      24 崔鍾圭, "中期古墳의 性格에 대한 약간의 考察" 부산대학교 사학회 7 : 1983

      25 박천수, "三國時代 昌寧地域 集團의 性格硏究" 영남고고학회 13 : 1993

      26 朴天秀, "5~6世紀代 昌寧地域 陶質土器의 硏究"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1

      27 이희준, "4~5세기 창녕 지역 정치체의 읍락 구성과 동향" 영남고고학회 (37) : 5-42, 2005

      28 李熙濬, "4-5세기 新羅의 考古學的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9 윤온식, "3세기대 동해 남부 지역 토기 양식의 형성과 변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2.65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