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임상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496552
대전 : 을지대학교, 2019
학위논문(석사) --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임상간호교육전공 , 2019
2019
한국어
512.807 판사항(6)
610.7307 판사항(23)
대전
v, 78장 ; 26 cm
지도교수: 이미영
권말부록: 연구 설명서 등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임상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
본 연구는 간호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이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임상 간호사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수간호사를 제외한 간호사 187명을 대상으로 2018년 7월 1일부터 2018년 8월 31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응답이 미 완성된 설문지 19부를 제외한 167부를 최종분석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언어폭력경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효과 검증절차에 따라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언어폭력경험은 5점만점에 2.38±0.57점이며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3.40±0.33점이며, 조직몰입은 5점만점에 2.70±0.43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언어폭력경험은 임상경력(F=6.4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결혼상태(t=-2.62, p=.010), 종교(t=2.29, p=.023), 연령(F=-2.99, p=.03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몰입은 결혼상태(t=-4.73, p<.001), 연령(F=4.80, p=.003), 최종학력(F=4.33, p=.014), 임상경력(F=6.59, p<001), 근무부서(F=2.73, p=.021), 지위(t=-3.59, p<.001), 근무형태(F=-5.00,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조직몰입은 언어폭력경험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언어폭력경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변수인 회복탄력성이 언어폭력경험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β=.249, p=.001)가 검증되었으며, Sobel검증공식에 따라 Z 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Z=-1.195, p=.026).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