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천수, "현대 초연결사회와 새로운 인격권 보호체계" 법학연구소 (43) : 209-239, 2016
2 한수웅, "헌법상의 인격권" 13 : 637-, 2002
3 김우성, "표현의 자유의 보호영역" 한국법학원 153 : 5-36, 2016
4 이부하, "일반적 인격권의 헌법적 보장 - 독일의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137-157, 2016
5 이부하, "인터넷상 아동・청소년 성(性) 표현물의 법률적 규제에 대한 헌법적 고찰 - 독일의 법제도를 고찰하며 -" 법학연구원 (60) : 81-104, 2017
6 최경진, "인터넷과 자율규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6 (16): 181-197, 2013
7 이민영, "인터넷 자율규제의 법적 의의" 한국법학원 (116) : 133-160, 2010
8 황태희, "인터넷 게시물의 규제와 이용자보호 – 독일 망 집행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42 (42): 225-253, 2018
9 박신욱,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및 그 확장과 관련된 독일 네트워크 법집행법(NetzDG) 연구" 법학연구소 21 (21): 269-304, 2018
10 김배원, "언론·출판의 자유와 사전검열금지원칙"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71-108, 2015
1 양천수, "현대 초연결사회와 새로운 인격권 보호체계" 법학연구소 (43) : 209-239, 2016
2 한수웅, "헌법상의 인격권" 13 : 637-, 2002
3 김우성, "표현의 자유의 보호영역" 한국법학원 153 : 5-36, 2016
4 이부하, "일반적 인격권의 헌법적 보장 - 독일의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7 (17): 137-157, 2016
5 이부하, "인터넷상 아동・청소년 성(性) 표현물의 법률적 규제에 대한 헌법적 고찰 - 독일의 법제도를 고찰하며 -" 법학연구원 (60) : 81-104, 2017
6 최경진, "인터넷과 자율규제"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6 (16): 181-197, 2013
7 이민영, "인터넷 자율규제의 법적 의의" 한국법학원 (116) : 133-160, 2010
8 황태희, "인터넷 게시물의 규제와 이용자보호 – 독일 망 집행법을 중심으로" 법학연구원 42 (42): 225-253, 2018
9 박신욱,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및 그 확장과 관련된 독일 네트워크 법집행법(NetzDG) 연구" 법학연구소 21 (21): 269-304, 2018
10 김배원, "언론·출판의 자유와 사전검열금지원칙" 한국비교공법학회 16 (16): 71-108, 2015
11 권태상, "사실과 의견의 구별" 민사판례연구회 (36) : 697-742, 2014
12 윤혜선, "빅데이터 규제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을 위한 연구- 개인정보 보호법제의 한계와 리스크규제체제로의전환가능성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1 (11): 71-94, 2018
13 이부하, "보장국가에서 국민의 안전보호와 관련한 헌법이론" 한국헌법학회 22 (22): 217-246, 2016
14 이부하, "방송・통신 융합시대에 방송법제의 개선- 독일의 방송 분야 법들을 고찰하며 -" 한국법정책학회 17 (17): 3-27, 2017
15 황성기, "방송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소 31 (31): 93-118, 2014
16 이부하, "방송매체에서 인격권 침해에 대한 헌법적 보호- 독일 헌법이론을 고찰하며 -" 법학연구소 19 (19): 139-159, 2018
17 이부하, "방송광고와 관련한 청소년보호법제- 독일의 법제도를 중심으로 -" 한독사회과학회 22 (22): 99-116, 2012
18 최우정, "방송과 통신의 융합화와 심의제도에 대한 향후 전망" (사)한국언론법학회 8 (8): 167-205, 2009
19 조연하, "매체 자율등급심의 모델의 유형화 : 방송, 영화, 비디오, 게임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61) : 287-317, 2005
20 이부하, "매체 융합시대에 방송의 자유와 온라인 매체에 의한 방송 - 독일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1 (41): 203-222, 2017
21 한갑운, "가짜뉴스의 규율방법에 대한 법적 고찰" 법학연구소 8 (8): 59-90, 2017
22 황용석, "가짜뉴스의 개념화와 규제수단에 관한 연구 ― 인터넷서비스사업자의 자율규제를 중심으로 ―" (사)한국언론법학회 16 (16): 53-101, 2017
23 윤성옥, "가짜뉴스의 개념과 범위에 관한 논의" (사)한국언론법학회 17 (17): 51-84, 2018
24 이성대, "가짜뉴스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가능성과 보완필요성 검토" 한국형사정책학회 30 (30): 65-93, 2018
25 황용석, "가짜뉴스 관련 국내 입법안 분석과 그 한계위헌성 여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5 (25): 101-123, 2018
26 한수웅, "表現의 自由와 名譽의 保護 -韓國, 獨逸과 美國에서의 명예훼손 법리에 관한 憲法的 考察과 批判을 겸하여-" 한국법학원 (84) : 21-52, 2005
27 St. Muckel, "Weitreichender Schutz der Meinungsfreiheit: Schmähkritik ist seltene Ausnahme" 797-, 2016
28 Ian Bartle, "Self-Regulation and the Regulatory State - A Survey of Policy and Practice" Centre for the Study of Regulated Industries, School of Management, University of Bath 8-, 2005
29 Eric Goldman, "Search Engine Bias and the Demise of Search Engine Utopianism" 188-, 2006
30 M. Bullinger, "Private Rundfunkfreiheit auf dem Weg zur Pressefreiheit" 337-, 2007
31 Müller-Franken, "Meinungsfreiheit im freiheitlichen Staat" 31-, 2013
32 Dörr, "Legitimation und Auftrag des öffentlich-rechtlichen Fernsehens in Zeiten der Cloud" 920-, 2016
33 Hoffmann-Riem, "Konvergenz und Regulierung" 19-, 2000
34 F. Schoch, "Konvergenz der Medien – Sollte das Recht Medien harmonisiert werden?" 798-, 2002
35 St. Mückl, "Die Konvergenz der Medien im Lichte des neuen Telemediengesetzes" 1077-, 2007
36 B. Stark, "Die Googleisierung der Informationssuche" 20-, 2014
37 Phillip W. Brunst, "Anonymität im Internet – rechtliche und tatsächliche Rahmenbedingungen" 2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