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 교육 방안 연구 : 이강백의 『동지섣달 꽃 본 듯이』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5355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6.8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411.0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89 L.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진아
        참고문헌: p. 83-86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숙명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을 학습자들로 하여금 쉽게 이해하며 읽히고, 작품을 능동적으로 감상하도록 돕는 희곡 읽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현 중등학교 교과서에는 다양한 현대 희곡이 등장하고 있다. 부조리극, 표현주의극, 서사극 등의 현대 희곡에는 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 요소뿐만아니라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요소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에 적절한 희곡 읽기 교육 방법이나 이론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현행 교과서의 희곡 작품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살핀 뒤,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특징을 지닌 희곡 작품을 학습자들이 읽고 감상할 때 필요한 지도 원리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과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에 대한 특징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희곡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이야기한 6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왔다. 플롯, 성격, 사상, 조사, 장경 노래가 바로 그 요소인데, 보편적으로 교과서에 제시되는 희곡의 이론은 이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한 극 이론이다. 그가 제시한 구성을 대체로 잘 지키고 있는 폐쇄적 희곡의 구조를 ‘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이라 부르며, 여기서 벗어나고 있는 희곡들을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이라 부른다.
      본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특징을 크게 플롯, 등장인물, 무대적 요소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이가 잘 드러난 작품을 인용하여 ‘학습활동의 예’를 만들어 지도 원리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플롯은 프라이타크의 5단 구성에서 벗어나 순환적 구성, 직선적 구성, 다중 구조 등을 지닌다. 이러한 구조를 학생들에게 지도하기 위해 플롯, 사건, 갈등의 개념을 지도한 뒤 작품의 사건과 갈등을 정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건이 반복되거나 갈등이 없는 등 작품의 특징에 따라 플롯의 구조가 달라질 수 있음을 지도하도록 한다.
      현대극의 등장인물의 제시 방법 또한 기존의 고전극과 다르다. 고전극은 전형적 ․ 개성적 인물 등 인물의 유형을 그 특징에 따라 일관성 있게 구별할 수 있다면 현대희곡의 등장인물은 통일성과 일관성을 잃게 된다. 서사적 화자나 1인 多역 등 기존의 극에 없었던 방법들을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극에 몰입하게 하는 것보다 무대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사유하게 한다.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특징들을 파악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시문이나 대사 등을 통해 서사적 화자를 찾게 한다. 그리고 한 배우가 맡고 있는 여러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특징을 정리하도록 한다. 이강백의 <결혼>, 윤대성<방황하는 별들>을 통해 이러한 내용이 적용된 학습활동의 예를 만들어 본다.
      희곡의 무대적 요소들로는 노래, 음악, 조명, 무대미술 등이 있는 데 기존의 극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의미가 없는 단순한 요소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현대 희곡의 무대적 요소들은 작품의 주제를 부각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기도 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이러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최인훈의 <둥둥 낙랑 둥>이나 이강백<물거품>의 작품 등을 통해 학습활동의 예를 만들어 지도 원리를 모색해 본다.
      마지막으로 이강백의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작품을 앞 장에서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이론적 특징을 분류한 기준과 연계하여 플롯, 인물, 무대적 요소들로 나누어 정리한다. 학습자들이 작품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요한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특징들을 선별하여 이를 학습자들에게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강백 <동지섣달 꽃 본 듯이>는 서사적 화자나 1인 多역 등 인물의 기능을 이용한 메타적 연극기법이 잘 드러나 있다. 즉 다양한 시공간을 겹침 구조로 구성한 작품이다. 그러므로 관습적인 극의 형식에서 벗어난 극의 구조나 인물의 특징, 오브제 등을 중심으로 학습적 방안을 마련한다면 학습자들은 이 극을 주체적으로 읽어나갈 수 있고, 작품이 주는 의미를 궁리하여 학습자간의 소통활동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학습자들이 희곡을 능동적으로 읽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희곡교육은 희곡 작품을 학생들이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희곡 또한 타 장르의 문학들처럼 삶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작품이다. 그래서 학생들이 희곡을 읽으며 인간과 삶을 사유하고 성찰하여 자신들의 삶의 가치를 찾아 나설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이에 보탬이 될 수 있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을 학습자들로 하여금 쉽게 이해하며 읽히고, 작품을 능동적으로 감상하도록 돕는 희곡 읽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현 중등학교 교과서에는 ...

      본 논문은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을 학습자들로 하여금 쉽게 이해하며 읽히고, 작품을 능동적으로 감상하도록 돕는 희곡 읽기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현 중등학교 교과서에는 다양한 현대 희곡이 등장하고 있다. 부조리극, 표현주의극, 서사극 등의 현대 희곡에는 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 요소뿐만아니라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요소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런데 이에 적절한 희곡 읽기 교육 방법이나 이론들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현행 교과서의 희곡 작품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살핀 뒤,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특징을 지닌 희곡 작품을 학습자들이 읽고 감상할 때 필요한 지도 원리를 마련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과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에 대한 특징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 그 동안 희곡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이야기한 6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설명되어 왔다. 플롯, 성격, 사상, 조사, 장경 노래가 바로 그 요소인데, 보편적으로 교과서에 제시되는 희곡의 이론은 이를 기반으로 하여 발전한 극 이론이다. 그가 제시한 구성을 대체로 잘 지키고 있는 폐쇄적 희곡의 구조를 ‘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이라 부르며, 여기서 벗어나고 있는 희곡들을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이라 부른다.
      본 글은 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특징을 크게 플롯, 등장인물, 무대적 요소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이가 잘 드러난 작품을 인용하여 ‘학습활동의 예’를 만들어 지도 원리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플롯은 프라이타크의 5단 구성에서 벗어나 순환적 구성, 직선적 구성, 다중 구조 등을 지닌다. 이러한 구조를 학생들에게 지도하기 위해 플롯, 사건, 갈등의 개념을 지도한 뒤 작품의 사건과 갈등을 정리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건이 반복되거나 갈등이 없는 등 작품의 특징에 따라 플롯의 구조가 달라질 수 있음을 지도하도록 한다.
      현대극의 등장인물의 제시 방법 또한 기존의 고전극과 다르다. 고전극은 전형적 ․ 개성적 인물 등 인물의 유형을 그 특징에 따라 일관성 있게 구별할 수 있다면 현대희곡의 등장인물은 통일성과 일관성을 잃게 된다. 서사적 화자나 1인 多역 등 기존의 극에 없었던 방법들을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극에 몰입하게 하는 것보다 무대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사유하게 한다.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특징들을 파악하게 하기 위해서는 지시문이나 대사 등을 통해 서사적 화자를 찾게 한다. 그리고 한 배우가 맡고 있는 여러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특징을 정리하도록 한다. 이강백의 <결혼>, 윤대성<방황하는 별들>을 통해 이러한 내용이 적용된 학습활동의 예를 만들어 본다.
      희곡의 무대적 요소들로는 노래, 음악, 조명, 무대미술 등이 있는 데 기존의 극에서 이러한 요소들이 의미가 없는 단순한 요소로 사용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현대 희곡의 무대적 요소들은 작품의 주제를 부각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기도 한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이러한 부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최인훈의 <둥둥 낙랑 둥>이나 이강백<물거품>의 작품 등을 통해 학습활동의 예를 만들어 지도 원리를 모색해 본다.
      마지막으로 이강백의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작품을 앞 장에서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이론적 특징을 분류한 기준과 연계하여 플롯, 인물, 무대적 요소들로 나누어 정리한다. 학습자들이 작품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중요한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특징들을 선별하여 이를 학습자들에게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이강백 <동지섣달 꽃 본 듯이>는 서사적 화자나 1인 多역 등 인물의 기능을 이용한 메타적 연극기법이 잘 드러나 있다. 즉 다양한 시공간을 겹침 구조로 구성한 작품이다. 그러므로 관습적인 극의 형식에서 벗어난 극의 구조나 인물의 특징, 오브제 등을 중심으로 학습적 방안을 마련한다면 학습자들은 이 극을 주체적으로 읽어나갈 수 있고, 작품이 주는 의미를 궁리하여 학습자간의 소통활동이 일어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학습자들이 희곡을 능동적으로 읽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희곡교육은 희곡 작품을 학생들이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희곡 또한 타 장르의 문학들처럼 삶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작품이다. 그래서 학생들이 희곡을 읽으며 인간과 삶을 사유하고 성찰하여 자신들의 삶의 가치를 찾아 나설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이에 보탬이 될 수 있는 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 1
      • 2. 선행 연구 검토 = 4
      • Ⅰ. 서론 = 1
      • 1. 연구 목적 및 연구 대상 = 1
      • 2. 선행 연구 검토 = 4
      • Ⅱ. 희곡 교육의 실태 = 9
      • 1. 문학 교과서 희곡 작품의 현황과 특징 = 9
      • 2. 현행 희곡 교육의 문제점 = 14
      • Ⅲ.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특징과 지도 원리 = 24
      • 1.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개념 = 24
      • 2. 비(非)아리스토텔레스적 희곡의 특징과 지도 원리 = 28
      • 1) 플롯 = 28
      • 2) 등장인물 = 35
      • 3) 무대적 요소들 = 44
      • Ⅳ. <동지섣달 꽃 본 듯이> 교육 방안 = 51
      • 1.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작품의 특징 = 51
      • 2. <동지섣달 꽃 본 듯이> 지도를 위한 교육적 내용 = 53
      • 1) 플롯 : 개방적 플롯 = 54
      • 2) 인물의 역할과 기능 : 서사적 화자·1인 다(多)역 = 61
      • 3) 무대적 요소 : 기호로서의 오브제 = 70
      • 4) 논쟁적 주제 제시 = 75
      • Ⅴ. 결론 = 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