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자』를 통해 본 ‘유아’의 의미와 유아교육적 함의 = Exploring the Meaning of ‘Children’ in 『Chuang-tzu』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44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자』에서 ‘아이’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현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점을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결과 『장자』를 통해 다시 본 유아는 무無가 충만한 생명으로 무엇으로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닌 존재로 이해된다. 유아가 규정할 수 없는 존재라는 점은, 시・공간의 얽힘 속에 ‘지금-여기’를 살아가는 생명적 존재임을 함의한다. 그리고 세상을 그 자체로 만남에 따라 늘 변용하는 유아는 매 순간 거듭 생성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때 유아는 수많은 생명들의 얽힘이 중첩되어 생성된 존재이자, 또 다른 생기들과 얽히며 새로운 생성을 지속하는 존재이다. 그런 점에서 유아는 만물과 조화를 이루며 스스로 그러하게 살아가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장자』를 통해 ‘유아’를 다시 본 결과는, 유아교육이 생기하는 자연의 존재로 유아를 보기 위해 아동관의 축을 무無의 시선에 둘 필요가 있으며, 유아를 이해하기 위해 온생명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 유아가 타자와 자연스럽게 얽히고 변용하며 앎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유아교육에서 앎의 생성의 주체로 유아를 위치시키게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유아교육에서 교육대상으로 위치했던 유아의 잠재성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게 하며 유아의 존재 자체를 긍정하는 새로운 시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자』에서 ‘아이’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현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점을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결과 『장자』를 통해 다시 본 유아는 무無...

      본 연구는 『장자』에서 ‘아이’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현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점을 모색해보았다. 본 연구결과 『장자』를 통해 다시 본 유아는 무無가 충만한 생명으로 무엇으로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닌 존재로 이해된다. 유아가 규정할 수 없는 존재라는 점은, 시・공간의 얽힘 속에 ‘지금-여기’를 살아가는 생명적 존재임을 함의한다. 그리고 세상을 그 자체로 만남에 따라 늘 변용하는 유아는 매 순간 거듭 생성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때 유아는 수많은 생명들의 얽힘이 중첩되어 생성된 존재이자, 또 다른 생기들과 얽히며 새로운 생성을 지속하는 존재이다. 그런 점에서 유아는 만물과 조화를 이루며 스스로 그러하게 살아가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장자』를 통해 ‘유아’를 다시 본 결과는, 유아교육이 생기하는 자연의 존재로 유아를 보기 위해 아동관의 축을 무無의 시선에 둘 필요가 있으며, 유아를 이해하기 위해 온생명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 유아가 타자와 자연스럽게 얽히고 변용하며 앎을 생성한다는 점에서 유아교육에서 앎의 생성의 주체로 유아를 위치시키게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유아교육에서 교육대상으로 위치했던 유아의 잠재성에 대한 본질을 이해하게 하며 유아의 존재 자체를 긍정하는 새로운 시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철민, "老子의 ‘聖人’과 莊子의 ‘至人’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 동양고전연구소 (35) : 173-197, 2016

      2 유희정, "호주 아동중심 EYLF의 교육체계와 그에 따른 실제가 누리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9-143, 2016

      3 안경식, "한국 전통 아동교육사상" 학지사 2005

      4 신승환, "하이데거와 자연, 환경, 생명" 철학과현실사 2000

      5 이진희, "포스트휴먼 유아와 만나기: ‘얽힌 되기’로서 유아 존재의 (재)형상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7 (27): 213-235, 2022

      6 이병래, "텍스트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에서 자연의 교육적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475-508, 2019

      7 윤천근, "장자철학에서 존재와 세계의 문제 -‘무무’의 존재성과 그것의 ‘드러남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86) : 51-82, 2017

      8 신순정, "장자의 심성관과 이상적 인간" 새한철학회 88 (88): 235-252, 2017

      9 임홍남 ; 김은주, "장자의 생성론적 생명관으로 ‘유아’ 다시 보고 새롭게 보기 : 견독見獨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33 (33): 151-182, 2019

      10 전호근, "장자강의 : 혼돈의 시대에 장자를 읽다" 동녘 2015

      1 정철민, "老子의 ‘聖人’과 莊子의 ‘至人’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 동양고전연구소 (35) : 173-197, 2016

      2 유희정, "호주 아동중심 EYLF의 교육체계와 그에 따른 실제가 누리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9-143, 2016

      3 안경식, "한국 전통 아동교육사상" 학지사 2005

      4 신승환, "하이데거와 자연, 환경, 생명" 철학과현실사 2000

      5 이진희, "포스트휴먼 유아와 만나기: ‘얽힌 되기’로서 유아 존재의 (재)형상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7 (27): 213-235, 2022

      6 이병래, "텍스트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에서 자연의 교육적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4 (24): 475-508, 2019

      7 윤천근, "장자철학에서 존재와 세계의 문제 -‘무무’의 존재성과 그것의 ‘드러남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86) : 51-82, 2017

      8 신순정, "장자의 심성관과 이상적 인간" 새한철학회 88 (88): 235-252, 2017

      9 임홍남 ; 김은주, "장자의 생성론적 생명관으로 ‘유아’ 다시 보고 새롭게 보기 : 견독見獨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33 (33): 151-182, 2019

      10 전호근, "장자강의 : 혼돈의 시대에 장자를 읽다" 동녘 2015

      11 김경수, "장자(莊子)의 생명사상" 생명문화연구소 38 : 19-58, 2015

      12 김상희, "장자(莊子) : 혼돈(渾沌)으로의 전환과 독유(獨遊)의 世界" 이화여자대학교 2008

      13 사공일, "장자 철학에 나타난 서양적 사유: 허심, 좌망, 상존과 포월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65-383, 2014

      14 허수선, "장자 사상을 통한 한국교육의 대안 모색― 外馳에 대한 대응방안을 중심으로 ―" 새한철학회 74 (74): 59-78, 2013

      15 강신주, "장자 :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태학사 2003

      16 莊周, "장자" 연암서가 2010

      17 신동준, "장자" 도서출판 인간사랑 2012

      18 표준국어대사전, "잠재성"

      19 Cannella, G. S., "유아 교육 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창지사 1997

      20 "영유아보육법"

      21 안병주, "역주장자 4" 전통문화연구회 2008

      22 안병주, "역주장자 3" 전통문화연구회 2005

      23 안병주, "역주장자 2" 전통문화연구회 2004

      24 안병주, "역주장자 1" 전통문화연구회 2001

      25 백경흔, "여성주의 논의 확장을 통한 ‘아동중심적’ 아동돌봄 제도로의 패러다임 전환 모색" 한국아동권리학회 19 (19): 1-25, 2015

      26 Davies, B.,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창지사 2014

      27 Polanyi, M., "암묵적 영역" 박영사 2015

      28 Maturana, H. R., "앎의 나무" 갈무리 2007

      29 표준국어대사전, "알다, 앎. 지식, 순수"

      30 "아동복지법"

      31 김은주, "생태유아교육의 사상체계 및 실천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32 Crain, W., "발달의 이론- 개념과 적용 제5판" 시그마프레스 2000

      33 Davis, B., "마음과 학습- 교육학의 복잡계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8

      34 Taguchi, H. L.,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이론과실제구분넘어서기)" 창지사 2018

      35 하일선, "다문화사회에서 인간다움과 나다움 - 보편성과 개별성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학회 32 (32): 187-205, 2018

      36 김희연, "누리과정, 아이와 교사를 행복하게 하는가?" 공동체 37-60, 2018

      37 김경수, "노장(老壯)의 생성론" 문사철 2015

      38 신승철, "구성주의와 자율성 :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생명의 자율성과 펠릭스 가타리의 기계의 자율성" 알렙 2017

      39 정진규, "Children’s Urban Geographies and Child-Centered Approach: Review and Reflections" 한국지리학회 3 (3): 159-174, 2014

      40 김정미 ; 김은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구성에 대한 소고 : 복잡성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259-281, 2019

      41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9-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2-06-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Educational Idea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Idea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교육사상연구회 -> 한국교육사상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f Educational Idea -> Korean Educational Idea Associ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5 0.89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