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재피해요인을 범죄피해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파악하여 재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자의 일상회복을 돕기 위한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2...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49754
2024
-
300
KCI등재
학술저널
105-118(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재피해요인을 범죄피해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파악하여 재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자의 일상회복을 돕기 위한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2...
이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재피해요인을 범죄피해평가 보고서를 토대로 파악하여 재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피해자의 일상회복을 돕기 위한 지원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2년간(2023년~2024년) 범죄피해평가보고서 215건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범죄피해평가보고서에서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상위요인 4개(경제, 신체, 사회, 2차 피해) 중 2점 척도로 구분된 47개의 하위항목을 코딩하였다. 분석방법으로 범죄피해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빈도분석, 재피해를 겪은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을 대조한 독립표본 t-test, 재피해를 예측하는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피해를 경험한 집단은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이혼·별거 등 가족해체, 실직 또는 학업 중단, 직장, 이웃관계 등에서 피해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사회적 관계망 훼손으로 인한 이사 및 이직, 사회생활에서의 전반적 어려움, 가해자의 접촉, 가해자에 대한 근거 없는 비난, 소문이 유의하게 높았고 가해자의 원치 않는 방문은 유의하게 낮았다. 재피해 여부에 대한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이는 변인은 관계망 훼손으로 인한 이사·이직과 가해자에 의한 근거 없는 비난, 소문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범죄피해자 재피해를 위한 개입의 필요성, 피해자 보호 및 지원을 위한 정책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re-victimization of crime victims based on the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to derive supportive measures to prevent re-victimization and help the daily recovery of the victims. For this purpose, 2...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re-victimization of crime victims based on the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to derive supportive measures to prevent re-victimization and help the daily recovery of the victims. For this purpose, 215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conducted during the last two years (2023-2024) were collected. From the collected crime victimization assessment reports, demographic information and 47 sub-questions among the four major factors (economic, physical, social, and secondary damage) which were rated on a two-point scale were code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rime victims, independent samples t-test comparing those who experienced re-victimization and those who did not,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predict re-victimization. Results showed that those who experienced re-victimization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experience family disruption, such as divorce or separation; job loss or study interuption; negative perceptions of the victim at work or in neighborhoods; moving or changing jobs due to damaged social network; general difficulties in social life; contact with the perpetrator; groundless accusations and rumors from the perpetrator; and unwanted visits from the perpetrator. Variables with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on re-victimization were found to be moving or changing jobs due to damaged social network, and groundless accusations and rumors from the perpetrator. Based on the finding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prevent re-victimization and policies to protect and support victims were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경찰의 합리적 역할방안에 관한 논의 - 대공수사권을 중심으로
중·소규모 건설현장을 위한 GPT와 RAG기반 위험성평가 자동화 방안
기러기 가족과 중년남성의 위기상담을 위한 영화치료적 분석 - 영화 ‘싱글라이더’를 중심으로
국가의 기본권 보호 의무의 실천원리로서의 보건권의 헌법상 지위와 관리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