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6세기 이전 보허자의 리듬변천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64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악보를 분석하여 고려시대에 들어온 보허자가 15C를 거쳐 16C로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고악보를 음악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각 고악보에 담겨 있는 보허자의 리...

      본 연구는 고악보를 분석하여 고려시대에 들어온 보허자가 15C를 거쳐 16C로 변천되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먼저 고악보를 음악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여 각 고악보에 담겨 있는 보허자의 리듬을 파악하고, 정간보를 분석하여 각 고악보의 정간 시가를 파악하였다. 리듬에서는 먼저 악보를 통해 그 악보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본박을 찾은 다음 박자를 살펴보았다. 또 각 정간보의 내용을 통해 그 기본박이 몇 개의 소박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고악보 성악곡의 선율이 비교적 단순하기 때문에 기본박은 대부분 한 음으로 되어 있는 한 개의 장고점 단위로 보았다. 기본박이 모여 구성하는 박자는 서양음악의 마디에 해당함으로 악센트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5C 보허자는 8/4박자로 되어 있었는데, 가사 한 글자는 두 박이 되고 한 마디는 네 글자에 해당된다. 그리고 한 박은 두 개의 소박을 갖는다. 16C에는 이 보허자의 소박이 기본박으로 변한다. 8박자였던 한 마디는 두 배로 불어나서 16박이 되어 마디가 되지 못하고, 한 글자를 구성하던 두 박이 네 박으로 되어 마디를 구성한다. 기본박은 이전과는 달리 3소박을 갖게 되는데, 이것은 보허자가 향악화 된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16C 보허자의 박자는 3소박 4박자가 되어 4/또는 12/8로 표시된다. 보허자가 담겨 있는 각 고악보의 정간 기보체제는 악보에 따라 다르게 되어 있다. 15C 보허자와 장단이 같은 속악원보 권4의 낙양춘에서 한 행은 두 박을 싣고 있고, 한 박은 2소박으로 되어 있다. 16C의 대악후보보허자에서는 한 행이 네 박을 싣고 있고, 한 박은 3소박으로 되어 있다. 또 16C의 금합자보 보허자에서는 한 행이 여섯 박을 싣고 있고, 한 박은 3소박으로 되어 있다. 각 고악보의 기본박을 이루는 소박은 그 고악보의 정간 기보체제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각 고악보의 정간 기보체제는 서로 다르게 되어 있으면서, 그 속에 리듬의 모든 것을 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s of Boheoja 步虛子 which came to Korea at Goryeo dynasty and it examines the process of Boheoja 步虛子’s changes between 15C and 16C by analyzing its old music scores. First, we discover the rhythms by analyzing t...

      This paper studies the changes of Boheoja 步虛子 which came to Korea at Goryeo dynasty and it examines the process of Boheoja 步虛子’s changes between 15C and 16C by analyzing its old music scores. First, we discover the rhythms by analyzing the old music scores from the musical point of view. Then we find the duration length of Jeonggan 井間 of Jeongganbo 井間譜 by analyzing the mensural notation of each music score. For rhythms, we first find out a standard beat from the music score and then look for a measure. We also discover the smaller beats which constitutes one standard beat. One standard beat is defined as one unit where one Janggo 杖鼓’s touch is done and which has mostly one tone, because the melodies of Boheoja 步虛子 are simple. One measure which consists of standard beats is examined by an accent. Consequently, the rhythm of 15C Boheoja 步虛子 is 8/4, one letter of the lyrics is put in two standard beats and four letters are in one measure. One standard beat consists of two smaller beats. In 16C, the smaller beat slows down into one standard beat. Eight standard beats which constitute one measure are doubled into 16 standard beats and cannot become a measure any more. Two beats which have one letter of the lyrics become four beats and they make one measure. One standard beat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which means that Boheoja 步虛子’s Chinese style has changed into Korean style. The rhythm of 16C Boheoja 步虛子 is 4/ or 12/8. The mensural notations are different in the old music scores. In Sogagwonbo 俗樂原譜 Nagyangchun 洛陽春 whose Jangdan is the same as that of 15C Boheoja 步虛子, two standard beats are written in one column, and one standard beat consists of two smaller beats. In 16C Daeakhubo 大樂後譜 Boheoja 步虛子, four standard beats are written in one column. One standard beat of it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In 16C Geumhapjabo 琴合字譜 Boheoja 步虛子, six standard beats are written in one column and one standard beat consists of three smaller beats. The smaller beats of each music score are shown in their mensural notations. Finally, it turns out that the mensural notations of the music scor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lmost all information about their rhythms are enclosed in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세종시대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 Ⅲ. 『대악후보』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 Ⅳ. 『금합자보』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세종시대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 Ⅲ. 『대악후보』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 Ⅳ. 『금합자보』 보허자의 장단과 리듬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방송, "兩亂 以後 洛陽春과 步虛子의 傳承樣相" 한국음악사학회 (38) : 4-4, 2007

      2 박상진, "향가의 三句六名과 十二大綱譜의 관계" 한국음악사학회 (38) : 1-1, 2007

      3 이혜구, "한국의 좌방악(左方樂)과 우방악(右方樂). in: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4 이혜구, "한국의 기보법. in: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5 이혜구, "정간보의 한 정간이 한 박이냐?" 한국음악사학회 33 (33): 5-15, 2004

      6 이혜구, "정간보의 정간․대강 및 장단" 세광음악출판사 1987

      7 전인평, "정간보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8 이혜구, "정간보(井間譜) 대강(大綱)의 해석(解釋)" 한국음악사학회 12 : 1994

      9 이혜구, "여민락고" 국민음악연구소 1957

      10 "속악원보. in: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1989

      1 송방송, "兩亂 以後 洛陽春과 步虛子의 傳承樣相" 한국음악사학회 (38) : 4-4, 2007

      2 박상진, "향가의 三句六名과 十二大綱譜의 관계" 한국음악사학회 (38) : 1-1, 2007

      3 이혜구, "한국의 좌방악(左方樂)과 우방악(右方樂). in: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4 이혜구, "한국의 기보법. in: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5 이혜구, "정간보의 한 정간이 한 박이냐?" 한국음악사학회 33 (33): 5-15, 2004

      6 이혜구, "정간보의 정간․대강 및 장단" 세광음악출판사 1987

      7 전인평, "정간보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2

      8 이혜구, "정간보(井間譜) 대강(大綱)의 해석(解釋)" 한국음악사학회 12 : 1994

      9 이혜구, "여민락고" 국민음악연구소 1957

      10 "속악원보. in: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1989

      11 장사훈, "속악원보 해제. in: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1989

      12 "세종실록악보. in: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1989

      13 전인평, "세종실록과 금합자보의 여민락장단" 중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5 : 1992

      14 이혜구, "사악 낙양춘고. in:한국음악서설" 서울대학교출판부 1975

      15 송상혁, "보허자의 형성과 여민락과의 상관관계. in:아시아음악과 한국음악" 중앙대학교 대학원 한국음악과 1999

      16 장사훈, "보허자논속고. in:한국전통음악의 연구" 보진재 1977

      17 장사훈, "보허자논고. in:국악논고"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18 이혜구, "보허자고. in:한국음악연구" 국민음악연구회 1957

      19 "대악후보. in: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1979

      20 홍정수, "대강보의 절주방식" 한국음악사학회 11 : 1993

      21 "금합자보. in:한국음악학자료총서" 1989

      22 성경린, "금합자보 해제. in:한국음악학자료총서" 국립국악원 1989

      23 전인평, "고취악 장구형과 사악의 장구형" 이화여대 출판부 2 : 1978

      24 이효분, "고악보(정간보)에 있어서 시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75

      25 서한범, "개정판 국악통론" 태림출판사 2004

      26 Jonathan Condit, "Two Song-dynasty Chinese tunes preserved in Korea. in:Music and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27 Jonathan Condit, "The Evolution of Yomillak from the Fif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Day" 한국국악학회 1977

      28 Jonathan Condit, "A fifteenth-century Korean score in mensural notation" Musica Asiatica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29 문숙희, "<세종실록악보> 여민락의 음악형식과 그 변천에 대한 고찰" 한국국악학회 41 : 23-5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6 0.89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