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만 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 인천항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55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인천신항 Ⅰ단계 항만시설 및 배후단지 개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생산, 부가가치 및 취업유발효과를 살펴보...

      본 연구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인천신항 Ⅰ단계 항만시설 및 배후단지 개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생산, 부가가치 및 취업유발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2006부터 2015년까지 3조 4,397억원이 투입되는 인천신항 Ⅰ단계 개발에 따른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6조 645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조 8,213억원, 취업유발인원 72,424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생산유발효과 6조 645억원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총생산 40조3,985억원의 15.0%, 부가가치유발효과 2조 8,213억원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총부가가치 36조5,080억원의 7.7%, 취업유발인원은 72,424명은 2005년 인천 지역내 취업자수 808,248명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연구 결과 인천신항 Ⅰ단계 항만시설 및 배후물류단지의 개발이 인천 지역경제에 미치는 기여도가 매우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천신항의 개발은 인천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뿐만 아니라 국가경쟁력 제고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적기에 추진되어야 한다. 연구의 시사점은 첫째, 항만의 기능은 과거 수송, 보관, 하역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단순한 국제운송에서 공급사슬의 중심 연결고리로서 산업?물류?비지니스 공간인 동시에 물류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종합물류거점으로 확대되고 있어 이러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항만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초대형선의 등장과 장비의 대형화에 따라 대형 모선이 기항할 수 있는 종합물류중심의 거점항만으로 육성되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antify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development in Incheon New Port(Stage I) using a regional I/O tabl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aking polic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antify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development in Incheon New Port(Stage I) using a regional I/O tabl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aking policie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port logistics industr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duction inducing effect 6,064.5 billion won on Incheon local economy from the development of port facilities at the Incheon New Port (Stage I) occupies 15.0% of 40,398.5 billion won the total production of the Incheon area in 2005, added value inducing effect 2,821.3 billion won occupies 7.7% of 36,508.0 billion won the total added value of the Incheon area in 2005, and induced new employment 72,424 workers occupies 9.0% of 808,248 workers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in the Incheon area in 2005. As presented above, the development in the Incheon New Port(Stage I) was expected to have huge spillover effects on Incheon local economy. Accordingly, the development in Incheon New Port must be promoted in a timely manner on nation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Ⅲ.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Ⅳ. 결론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 Ⅲ.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Ⅳ. 결론
      • 참고문헌
      • 〈요약〉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