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방안 연구 = An Investig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lasses in the Untact Era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implemented at the college level. To this end, a university located in the Yeongnam,
      Honam, and Chungcheong area was selected respectively, and students enrolled in these
      universities were request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various items related to online classe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online class was asynchronous video lecture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instructor
      such as differences in class preparation level, ability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quality of online clas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most critical reason that the participants preferred
      online classes was not due to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themselves, but it was due
      to the prevention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e students were less confident
      in using software than using hardware,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asynchronous
      video lectures was highest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ssignment-oriented lectures
      was lowest. Finally, the participants’ suggestions for improving online class included an
      expansion of the online web server capacity, instructors exhibiting more enthusiasm in
      online classes, and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Several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study.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implemented at the college level. To this end, a university located in the Yeongnam, Honam, and Chungcheong area was selected respectively, and student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implemented at the college level. To this end, a university located in the Yeongnam,
      Honam, and Chungcheong area was selected respectively, and students enrolled in these
      universities were request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various items related to online classe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of online class was asynchronous video lecture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instructor
      such as differences in class preparation level, ability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devices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quality of online clas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most critical reason that the participants preferred
      online classes was not due to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themselves, but it was due
      to the prevention of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The students were less confident
      in using software than using hardware,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of asynchronous
      video lectures was highest whil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assignment-oriented lectures
      was lowest. Finally, the participants’ suggestions for improving online class included an
      expansion of the online web server capacity, instructors exhibiting more enthusiasm in
      online classes, and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Several implications can
      be drawn from the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교육 내실화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각 지역별 1개씩 총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대학생들이 2020학년도 1학기에 경험한 온라인
      수업 방식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불만 사항,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와 원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보완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경험한 온라인
      수업은 동영상 강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교수나 과목에 따른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가 발생하는
      주원인으로 교수의 수업 준비도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 차이 등 교수와 관련된 변인이 수업의 질
      차이 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는 온라인 수업
      자체가 갖는 장점 때문보다는 전염병 확산 예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또한 하드웨어
      활용보다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영상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과제물 중심의 수업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의 보완점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서버 증설과 교수의 온라인 수업 역량 증진 및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교육 내실화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각 지역별 1개씩 총 3...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온라인 교육 내실화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남권, 호남권, 충청권, 각 지역별 1개씩 총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에서는 대학생들이 2020학년도 1학기에 경험한 온라인
      수업 방식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불만 사항,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와 원인,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보완점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경험한 온라인
      수업은 동영상 강의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교수나 과목에 따른 온라인 수업의 질 차이가 발생하는
      주원인으로 교수의 수업 준비도나 정보통신기기 활용 능력 차이 등 교수와 관련된 변인이 수업의 질
      차이 발생의 가장 큰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생들이 온라인 수업을 선호하는 이유는 온라인 수업
      자체가 갖는 장점 때문보다는 전염병 확산 예방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또한 하드웨어
      활용보다 소프트웨어 활용에 대해 상대적으로 자신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영상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과제물 중심의 수업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온라인 수업의 보완점에 대한
      의견 수렴 결과 서버 증설과 교수의 온라인 수업 역량 증진 및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향후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온라인 교육의 장점과 한계
      •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1. 온라인 교육의 장점과 한계
      • 2.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1. 온라인 수업 실태
      • 2. 정보통신기술 활용 능력
      • 3. 온라인 수업 만족도
      • 4. 온라인 수업에 대한 보완점
      • V. 결론 및 시사점
      • 참 고 문 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