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62342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5-95(2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
본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에 소재한 5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반 9학급에 재원 중인 유아 200명(남아 97명, 여아 103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수줍음 및 또래괴롭힘 피해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용 질문지를 통해 자녀에 대한 또래관계 관리전략을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여 Cronbach’에 의한 신뢰도분석,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수줍음 특성은 또래괴롭힘 피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어머니의 중개․감독 및 조언․관심 또래관계 관리전략은 또래괴롭힘 피해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에 대해 수줍음 특성과 어머니의 중개․감독 및 조언․관심 또래관계 관리전략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수줍음 특성은 또래괴롭힘 피해와 관련되지만, 이러한 관련성은 어머니의 중개․감독 또래관계 관리전략 및 조언․관심 또래관계 관리전략의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만 유의하였고 어머니의 중개․감독 또래관계 관리전략 및 조언․관심 또래관계 관리전략의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유아의 수줍음 특성이 또래괴롭힘 피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유아의 또래괴롭힘 피해에 대한 예방 및 중재 계획 시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해 주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Participants were 200 children (including 97 boys and 103 girls aged 5 to 6) and their...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Participants were 200 children (including 97 boys and 103 girls aged 5 to 6) and their mothers. Teachers completed rating scales to measure the child’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and mothers rated their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using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shyness and peer victimization. Mothers’ mediation-supervision and advice-suppor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were negatively related to child’s peer victimiz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shyness and mother’s managemen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predicted child’s peer victimization. Child’s shyness, whose mother demonstrated the lowest level of mediation-supervision and advice-suppor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er victimization. Child’s shyness had no significant relation to peer victimization, especially for the highest level of mother’s mediation -supervision and advice-support strategies of peer relations.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ole of mother to prevent shy child’s peer victimiz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성애,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11-127, 2010
2 이지영, "유아의 성별․기질․정서지능 및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45-64, 2009
3 신유림, "유아의 또래 괴롭힘 피해에 대한 유아 개인 및 학급 맥락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13-20, 2009
4 정덕희, "유아의 교사, 또래관계와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 한국생활과학회 18 (18): 353-362, 2009
5 서유진, "유아기 아동의 사회적 능력:수줍음 및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239-250, 2006
6 김혜연, "유아기 또래괴롭힘의 피해에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언어능력, 사회·정서적 행동,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7 강소연, "아동의 수줍음과 놀이실에서의 사회적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8 신유림, "아동의 문제행동과 또래괴롭힘 피해 관계에 대한 교사 선호도의 매개 및 중재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115-122, 2009
9 박주희,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0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1 지성애,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11-127, 2010
2 이지영, "유아의 성별․기질․정서지능 및 어머니의 또래관계 관리전략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45-64, 2009
3 신유림, "유아의 또래 괴롭힘 피해에 대한 유아 개인 및 학급 맥락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13-20, 2009
4 정덕희, "유아의 교사, 또래관계와 유아교육기관 일과적응" 한국생활과학회 18 (18): 353-362, 2009
5 서유진, "유아기 아동의 사회적 능력:수줍음 및 자녀의 또래관계에 대한 어머니의 개입행동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239-250, 2006
6 김혜연, "유아기 또래괴롭힘의 피해에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언어능력, 사회·정서적 행동,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교사-유아 관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7 강소연, "아동의 수줍음과 놀이실에서의 사회적 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5
8 신유림, "아동의 문제행동과 또래괴롭힘 피해 관계에 대한 교사 선호도의 매개 및 중재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27 (27): 115-122, 2009
9 박주희,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10 서영석, "상담심리 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개념적 구분 및 자료 분석 시 고려 사항" 한국상담심리학회 22 (22): 1147-1168, 2010
11 신유림, "또래 괴롭힘 공격적 피해, 수동적 피해 및 가해 유아의 사회적 행동, 심리사회적 적응과 언어능력" 대한가정학회 49 (49): 1-12, 2011
12 권연희, "남녀 유아의 수줍음과 또래괴롭힘 피해 간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중재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25-45, 2014
13 Coplan, R. J., "The stresses of a"brave new world" : Shyness and school adjustment in kindergarten" 22 : 377-389, 2008
14 Bullock, J. R.,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management of peer interactio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17 (17): 263-269, 1989
15 Hodges, E. V. E., "The power of friendship : Protection against in escalating cycle of peer victimization" 35 (35): 94-101, 1999
16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17 Olweus, D., "The development and treatment of childhood aggression" Earlbaum 411-447, 1991
18 Schwartz, D., "Subtypes of victims and aggressors in children’s peer groups" 28 (28): 181-192, 2000
19 Rubin, K. H., "Stability and social-behavioral consequences of toddlers’ inhibited temperament and parenting" 73 : 483-495, 2002
20 Cheek, J. M., "Shyness and sociability" 41 : 330-339, 1981
21 Chen, X., "Relations of behavioral inhibition with shyness and social competence in Chinese children : Moderating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23 : 343-352, 2014
22 Finnie, V., "Preschool children’s social status and their mothers’ behavior and knowledge in the supervisory role" 24 : 789-801, 1988
23 Degnan, K. A., "Predicting social wariness in middle childhood : The moderating role of child care history, maternal personality, and maternal behavior" 17 (17): 471-487, 2008
24 Kochenderfer, B. J., "Peer victimization : Cause or consequence of school maladjustment" 67 : 1305-1317, 1996
25 Campbell, S. B.,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 skills in childhood" Springer-Verlag 323-351, 1983
26 Alsaker, F., "Peer harassment in school : The plight of the vulnerable and victimized" Guilford Press 175-195, 2001
27 Boivin, M., "Peer experiences and social self-perceptions : A sequential model" 33 (33): 135-145, 1997
28 Rubin, K. H.,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50 : 506-534, 2004
29 Bhavnagri, N., "Parents as direct facilitators of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 Effect of age of child and sex of parent" 8 : 541-549, 1991
30 Davis, E. L., "Moderators of the relation between shyness and behavior with peers : Cortisol dysregulation and maternal emotion socialization" 21 (21): 801-820, 2012
31 Pettit, G. S., "Learning about relationships :Understanding relationship processes series Vol. 2" Sage 118-151, 1993
32 Egan, S. K., "Does low self-regard invite victimization?" 34 (34): 299-309, 1998
33 Eggum, N. D., "Development of shyness : Relations with child’s fearfulness, sex and maternal behavior" 14 (14): 325-345, 2009
34 Asendorpf, J. B., "Development of inhibition during childhood : Evidence for situational specificity and two factor model" 26 (26): 721-730, 1990
35 Gazelle, H., "Class climate moderates peer relations and emotional adjustment in children with an early history of anxious solitude : A child × environment model" 42 (42): 1179-1192, 2006
36 Gazelle, H., "Anxious solitude and peer exclusion : A diathesis model of internalizing trajectories in childhood" 74 (74): 257-278, 2003
37 Coplan, R. J., "A"multitude"of solitude : A closer look at social withdrawal and nonsocial play in early childhood" 1 : 26-32, 2007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지속가능한 생활양식(sustainable lifestyles) 활동내용 분석
어머니 문지기 역할에 대한 부부의 인식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의 관계
예비 유아교사의 문화성향이 다문화 교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1 | 1.6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3 | 1.7 | 1.654 | 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