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놀이유형, 성, 연령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67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만 2~5세 유아를 둔 부모 66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유아의 놀이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을 아버지와 어머니, 유아의 성별·연령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의 놀이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놀이참여의 중요성과 놀이유형별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구성놀이, 교수놀이, 게임, 역할놀이, 기능놀이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지만, 신체놀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은 구성놀이, 교수놀이, 역할놀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신체놀이, 게임, 기능놀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아버지는 유아의 역할놀이, 구성놀이, 교수놀이, 게임, 신체놀이 순으로 적극 참여하도록 돕고, 어머니는 유아의 구성놀이, 역할놀이, 기능놀이의 순으로 적극 참여하도록 돕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만 2~5세 유아를 둔 부모 66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유아의 놀이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을 아버지와 어머니, 유아의 성별·연령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에�...

      본 연구는 만 2~5세 유아를 둔 부모 667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유아의 놀이유형별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을 아버지와 어머니, 유아의 성별·연령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의 놀이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놀이참여의 중요성과 놀이유형별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구성놀이, 교수놀이, 게임, 역할놀이, 기능놀이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놀이참여 수준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지만, 신체놀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유아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은 구성놀이, 교수놀이, 역할놀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신체놀이, 게임, 기능놀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아버지는 유아의 역할놀이, 구성놀이, 교수놀이, 게임, 신체놀이 순으로 적극 참여하도록 돕고, 어머니는 유아의 구성놀이, 역할놀이, 기능놀이의 순으로 적극 참여하도록 돕는 부모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ses a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level of 667 parents in their children’s play. The analysis takes into consideration parents’ gender, children’s gender, and children’s age. The objective is to shed light on the roles of parents’ involvement and interaction in children’s play by the different types of play. The study produced three major findings. First, the participation levels of father and mother were similar in physical play but differed significantly in children’s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aly, game play, pretend play, and functional play. Second, the parents’ participation level in children’s pla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the children’s gender. Third,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e parents’ participation level, while similar in physical play, game play, and functional play, differed significantly in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lay, and the pretend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what are needed ar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encourage fathers take mor of a part in pretend play,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lay, game play, and physical play (by order of importance), and that encourage mothers to take more of a part in constructive play, pretend play, and functional play.
      번역하기

      This study uses a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level of 667 parents in their children’s play. The analysis takes into consideration parents’ gender, children’s gender, and children’s age. The objective is to shed light on the rol...

      This study uses a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level of 667 parents in their children’s play. The analysis takes into consideration parents’ gender, children’s gender, and children’s age. The objective is to shed light on the roles of parents’ involvement and interaction in children’s play by the different types of play. The study produced three major findings. First, the participation levels of father and mother were similar in physical play but differed significantly in children’s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aly, game play, pretend play, and functional play. Second, the parents’ participation level in children’s pla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y the children’s gender. Third, according to children’s age the parents’ participation level, while similar in physical play, game play, and functional play, differed significantly in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lay, and the pretend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what are needed are parental education programs that encourage fathers take mor of a part in pretend play, constructive play, instructive play, game play, and physical play (by order of importance), and that encourage mothers to take more of a part in constructive play, pretend play, and functional pl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희영, "한국 아동의 기질 유형화와 어머니 양육태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3

      2 김찬숙,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부모의 놀이참여와의 관계" 경원대학교 대학원 2010

      3 류희정, "유아의 성별에 따른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행동적 자기조절력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4 임정란, "유아의 놀이유형별 아버지의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세종대학교 2002

      5 정은주, "유아의 놀이 형태에 따른 부모의 참여 수준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김숙이, "유아와 아버지 놀이 참여간의 가상놀이 유형 및 유아혼자 놀이간의 차이 분석: 탐험, 복합, 상징놀이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7 (17): 385-409, 2013

      7 김은주, "유아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및 참여수준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8 김은화, "영유아의 생활시간 및 부모-자녀 공유시간 실태 연구" 경희대학교 2012

      9 김경은, "어머니의 우울, 양육효능감,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정서능력 간의 관계" 한국인간발달학회 18 (18): 1-17, 2011

      10 송경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1 조은주, "어머니의 신체접촉 양상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및 사회성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2 신인숙, "어머니의 성격유형과 놀이참여 형태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啓明大學校生活科學硏究所 31 : 99-114, 2005

      13 오지현, "어머니의 성격유형 및 놀이참여 형태와 만 5세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경인교육대 교육대학원 2011

      14 전잘해, "어머니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5 신미숙, "어머니의 놀이성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또래놀이 상호작용과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6 최영미, "아버지의 유아기 자녀교육에 대한 인식 및 역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7 한현아, "아버지의 놀이참여행태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 수준"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0

      18 김다정,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의 관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0

      19 한영숙, "아버지의 놀이참여와 유아-아버지 관계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89-212, 2006

      20 송은혜, "아버지의 놀이참여도 및 놀이성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1 원희영, "아버지의 놀이참여 수준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1998

      22 김진혜, "아버지의 놀이참여 및 놀이성과 유아의 리더십과의 관계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3 최진주, "아버지의 놀이 참여와 유아-아버지관계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 전북대학교 2004

      24 李玉子, "사회계층별 유아놀이에 관한 연구 : 부모의 인식 및 역할을 중심으로" 숙명여대 교육대학원 1985

      25 노영숙, "부모의 놀이참여 수준이 유아의 사회설발달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6 강동희, "부모의 놀이유형별 참여도가 유아의 정서능력과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탐라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10

      27 임형희, "부모의 놀이유형별 놀이참여수준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8 이영석, "부모의 놀이유형별 놀이참여도 및 일치도와 유아 감성지능과의 관계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137-159, 2006

      29 심윤희, "부모의 놀이성 및 놀이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0 김수희, "부모의 놀이 참여수준과 유아 놀이성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1 고영실, "부모의 놀이 참여도와 유아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탐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2 윤상인, "맞벌이 부모가 지각한 놀이신념 및 놀이참여도와 만 2세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33 김보민, "놀이 유형별 아버지의 참여 수준과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 유능성과의 관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6

      34 Silaverman, I. W.,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of the early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20 (20): 415-435, 1992

      35 Maccoby, E. E., "Wex in aggression : A rejoinder and reprise" 51 (51): 964-980, 1980

      36 Ginsburg, K. R., "The importance of play in promotion healthy child development and maintaining strong partent-child bonds" 119 : 182-191, 2007

      37 Power, T. G., "The family as learning enviornment" Pleum 149-179, 1983

      38 Dickson, K. L., "The Relationship between mile type and play type during parent-infant play" 3 (3): 925-933, 1997

      39 Lamb, M. E., "The Father's Role: Applies perspectives" Wiley 1986

      40 Fein, G, "Sociodramatic Play: Social class effects in integrated reschool classroom" 2 : 267-279, 1981

      41 Dipietro, J. A., "Rough-andtumble play : A function of gender" 17 (17): 50-58, 1981

      42 Benson, T. R., "Needed: Playleaders-The adult’s role in children’s play"

      43 Russell, A., "Mother-son, mother-daughter, father-son, and father-daughter: Are they distinct relationships?" 17 : 111-147, 1977

      44 Kreistin Valentino, "Mother-child play and maltreatment : A longitudinal analysis of emerging social behavior from infancy to toddlerhood" 47 (47): 1280-1294, 2011

      45 Damast, A. M., "Mother-child play : Sequential interactions and relation between maternal beliefs and behaviors" 67 : 1752-1766, 1996

      46 Parke, R. D., "Fathers" Havard University Press 1981

      47 Smilansky, S., "Facilitating play: A medium for promoting cognitive, social-emotional, and academic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Psychology and Educational Publication 1990

      48 Winsler, A., "Correspondence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in early childhood" 20 : 1-12, 2005

      49 Barnett R. C, "Correlate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Fatherhood Today" jhon Wiley & Sonspp 1988

      50 Clark, K. E., "Connectedness and autonomy support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 Links to children’s socioemotional ori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25 : 485-498, 2000

      51 Stevenson, M. B., "A Social relations model analysis of parents and child play" 24 : 101-108,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