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원의 국제인권조약 적용 -판결문 전수조사를 통한 현황 진단 및 적용단계별 논증 분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제인권조약의 적용이 문제가 되는 사건은 국내 법원에서 일상적으로 자주 다루는 유형의 사건은 아니지만, 최근 들어 법원의 판결에서 국제인권조약이 원용되는 빈도가 급증해 왔으며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지위, 해석 원칙에 대해서 비교적 구체적으로 설시한 판결이 등장하고 있어서 국내 재판에서 국제인권조약의 중요도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법원이 국제법적으로 타당한 해석 기준에 따라 국제인권조약을 성실하게 해석하여 적용한 사례가 드물고 사법부가 전반적으로 국제인권조약을 생소해 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논문은 법원에서의 국제인권조약의 적용 현황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여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을 적용하는 데 실제로 한계로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진단함으로써 향후 법원을 통한 인권조약의 실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염두에 두면서, 본 논문은 법원에서의 국제인권조약 적용의 양적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법원에서 선고되고 전산으로 확인 가능한 판결 중 대한민국이 가입 ․ 비준한 7대 주요 국제인권조약이 적용된 모든 판결을 전수조사하여 조약별, 시기별, 소송유형별 선고된 판결문 현황을 소개하고, 국제인권조약에 근거한 주장이 인정 ․ 불인정된 비율의 통계를 소개한다. 또한, 질적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법원에서 국제인권조약에 근거한 주장 취지가 인정 ․ 불인정된 각 경우의 주요 논거를 유형화하여 판단단계별로 분석하고,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데 실제 한계로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판결문에 대한 이러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도출할 수 있는 주요한 시사점으로, 국제법이 생소하고 국내 법리에 익숙한 국내 판사의 상당수가 국내 법리에 경도된 해석, 즉 조약을 해석하면서 유사한 국내법에 대한 법원의 기존 주류적 해석에 귀속시켜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조약에 관한 국제적 해석 기준이 국내에서 수용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는 문제의식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서 인권조약에 충실한 사법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법 지원이 필요함을 논변하는 것으로 결론에 갈음한다.
      번역하기

      국제인권조약의 적용이 문제가 되는 사건은 국내 법원에서 일상적으로 자주 다루는 유형의 사건은 아니지만, 최근 들어 법원의 판결에서 국제인권조약이 원용되는 빈도가 급증해 왔으며 국...

      국제인권조약의 적용이 문제가 되는 사건은 국내 법원에서 일상적으로 자주 다루는 유형의 사건은 아니지만, 최근 들어 법원의 판결에서 국제인권조약이 원용되는 빈도가 급증해 왔으며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지위, 해석 원칙에 대해서 비교적 구체적으로 설시한 판결이 등장하고 있어서 국내 재판에서 국제인권조약의 중요도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법원이 국제법적으로 타당한 해석 기준에 따라 국제인권조약을 성실하게 해석하여 적용한 사례가 드물고 사법부가 전반적으로 국제인권조약을 생소해 한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논문은 법원에서의 국제인권조약의 적용 현황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여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을 적용하는 데 실제로 한계로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진단함으로써 향후 법원을 통한 인권조약의 실현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염두에 두면서, 본 논문은 법원에서의 국제인권조약 적용의 양적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법원에서 선고되고 전산으로 확인 가능한 판결 중 대한민국이 가입 ․ 비준한 7대 주요 국제인권조약이 적용된 모든 판결을 전수조사하여 조약별, 시기별, 소송유형별 선고된 판결문 현황을 소개하고, 국제인권조약에 근거한 주장이 인정 ․ 불인정된 비율의 통계를 소개한다. 또한, 질적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법원에서 국제인권조약에 근거한 주장 취지가 인정 ․ 불인정된 각 경우의 주요 논거를 유형화하여 판단단계별로 분석하고, 법원이 국제인권조약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데 실제 한계로 작용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토한다. 판결문에 대한 이러한 실증적 연구를 통하여 도출할 수 있는 주요한 시사점으로, 국제법이 생소하고 국내 법리에 익숙한 국내 판사의 상당수가 국내 법리에 경도된 해석, 즉 조약을 해석하면서 유사한 국내법에 대한 법원의 기존 주류적 해석에 귀속시켜 해석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조약에 관한 국제적 해석 기준이 국내에서 수용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는 문제의식을 확인한다. 이를 통해서 인권조약에 충실한 사법구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법 지원이 필요함을 논변하는 것으로 결론에 갈음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may not be a day-to-day task for domestic judges in Korea. Statistics have, however, shown that it has become more frequent occurrence. Additionally, judgments providing concrete reasoning of domestic effect and statu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interpretive principles of them began to appear. Nevertheless, many commentators have still argued that such recent practices are not yet sufficient to dispel concerns over the legal culture in Korea in which judges are mostly unfamiliar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Moreover, the provisions of these treaties are not sufficiently effective in application in Korean courts. With these concerns in mind,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judgments that apply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Korean court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 complete enumeration-based survey through an internal data search system on judgments that applied the seven cor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shows variations in the number of judgments that applied the seven core treaties by each treaty, year, and litigation type. In addition, it provides statistics on the acceptance/rejection rates of claims involving violations of the core seven treaties in judgments. Using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this article divides judgments into two groups, and examines the reasoning adopted and steps taken by judges to arrive at different conclusions-judgments that accepted and judgments that rejected claims involv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By applying such analytical methods, this research shows that Korean courts tend to avoid making determinations upon international law in dealing with cases involving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stead, Korean courts tend to base their decisions on more familiar, national laws. This tendency effectively prevents developing jurisprudence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from being incorporated domestically. Based on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empirical research on judgments rendered from Korean courts, this article offers suggestions to increase judges’ familiarity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assist judges in engaging with those human rights treaties, which ultimately helps the Korean Judiciary to fulfill its obligation to interpret national law in a way compatible with treaty obligations in order to protect and promote universal human rights.
      번역하기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may not be a day-to-day task for domestic judges in Korea. Statistics have, however, shown that it has become more frequent occurrence. Additionally, judgments providing concrete reasoning of dome...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may not be a day-to-day task for domestic judges in Korea. Statistics have, however, shown that it has become more frequent occurrence. Additionally, judgments providing concrete reasoning of domestic effect and statu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interpretive principles of them began to appear. Nevertheless, many commentators have still argued that such recent practices are not yet sufficient to dispel concerns over the legal culture in Korea in which judges are mostly unfamiliar with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Moreover, the provisions of these treaties are not sufficiently effective in application in Korean courts. With these concerns in mind,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judgments that apply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 Korean court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a complete enumeration-based survey through an internal data search system on judgments that applied the seven core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shows variations in the number of judgments that applied the seven core treaties by each treaty, year, and litigation type. In addition, it provides statistics on the acceptance/rejection rates of claims involving violations of the core seven treaties in judgments. Using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this article divides judgments into two groups, and examines the reasoning adopted and steps taken by judges to arrive at different conclusions-judgments that accepted and judgments that rejected claims involving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By applying such analytical methods, this research shows that Korean courts tend to avoid making determinations upon international law in dealing with cases involving violations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instead, Korean courts tend to base their decisions on more familiar, national laws. This tendency effectively prevents developing jurisprudence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from being incorporated domestically. Based on the implications drawn from the empirical research on judgments rendered from Korean courts, this article offers suggestions to increase judges’ familiarity i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and assist judges in engaging with those human rights treaties, which ultimately helps the Korean Judiciary to fulfill its obligation to interpret national law in a way compatible with treaty obligations in order to protect and promote universal human righ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법원의 국제인권조약 적용 현황– 판결문 전수조사를 통한 양적 통계 -
      • Ⅲ. 법원의 국제인권조약 적용에 대한 질적 분석 및 평가 - 적용단계별 논증 유형 중심으로 -
      • Ⅳ. 결어: 시사점 및 제언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법원의 국제인권조약 적용 현황– 판결문 전수조사를 통한 양적 통계 -
      • Ⅲ. 법원의 국제인권조약 적용에 대한 질적 분석 및 평가 - 적용단계별 논증 유형 중심으로 -
      • Ⅳ. 결어: 시사점 및 제언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사법연수원, "희망찬사법의내일: 사법연수원2018"

      2 전종익, "헌법재판소의 국제인권조약 적용" 한국법학원 170 (170): 507-537, 2019

      3 "헌법재판소 2001. 3. 21. 선고 99헌마139 결정"

      4 "춘천지방법원 2010. 02. 11. 선고 2009구합1172"

      5 "청주지방법원 2018. 10. 18. 선고 2017구합3170 판결(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규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6 청주지방법원, "청주지방법원 2013. 08. 22. 선고 2013구합678 판결"

      7 정인섭, "조약의 국내법적 효력에 관한 한국 판례와 학설의 검토" 서울국제법연구원 22 (22): 27-63, 2015

      8 "제주지방법원 2016. 02. 18. 선고 2014노589 판결"

      9 "전주지방법원 김제시법원 2013. 11. 13. 선고 2013가소2582 판결"

      10 "전주지방법원 2017. 01. 23. 선고 2016르210 판결"

      1 사법연수원, "희망찬사법의내일: 사법연수원2018"

      2 전종익, "헌법재판소의 국제인권조약 적용" 한국법학원 170 (170): 507-537, 2019

      3 "헌법재판소 2001. 3. 21. 선고 99헌마139 결정"

      4 "춘천지방법원 2010. 02. 11. 선고 2009구합1172"

      5 "청주지방법원 2018. 10. 18. 선고 2017구합3170 판결(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규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6 청주지방법원, "청주지방법원 2013. 08. 22. 선고 2013구합678 판결"

      7 정인섭, "조약의 국내법적 효력에 관한 한국 판례와 학설의 검토" 서울국제법연구원 22 (22): 27-63, 2015

      8 "제주지방법원 2016. 02. 18. 선고 2014노589 판결"

      9 "전주지방법원 김제시법원 2013. 11. 13. 선고 2013가소2582 판결"

      10 "전주지방법원 2017. 01. 23. 선고 2016르210 판결"

      11 "전주지방법원 2009. 06. 30. 선고 2009구합307 판결"

      12 김태천, "재판과정을 통한 국제인권협약의 국내적 이행" (20) : 27-38, 2004

      13 정경수, "재판과정에서의 국제인권기준 적용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07

      14 "인천지방법원 2019. 03. 13. 선고 2013가단87450"

      15 "인천지방법원 2018. 08. 21. 선고 2018구단50045 판결"

      16 "인천지방법원 2017. 08. 11. 선고 2016노3342 판결"

      17 "인천지방법원 2015. 10. 28. 선고 2013고단4240 판결"

      18 "울산지방법원 2015. 11. 20. 선고 2015고합180 판결"

      19 박찬운, "실무적 입장에서 본 국제인권법의 직접적용" 한국헌법학회 8 (8): 67-87, 2002

      20 "수원지방법원 2018. 10. 10. 선고 2017구단9030 판결"

      21 "수원지방법원 2009. 10. 08. 선고 2008가합19235 판결"

      22 "서울행정법원 2019. 02. 20. 선고 2018구단72621 판결"

      23 "서울행정법원 2018. 6. 29. 선고 2017구합80912 판결(고문방지협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24 "서울행정법원 2018. 2. 9. 선고 2017구합59581 판결(양심적병역거부자 인적사항공개처분 취소의 소)"

      25 "서울행정법원 2018. 12. 07. 선고 2018구단15406 판결"

      26 서울행정법원, "서울행정법원 2018. 10. 25. 선고 2018구합71533 판결"

      27 "서울행정법원 2017. 09. 13. 선고 2017구단67844 판결"

      28 "서울행정법원 2016. 06. 24. 선고 2015구합69447 판결"

      29 "서울행정법원 2013. 6. 27. 선고 2013구합3269 판결(고문방지협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30 "서울행정법원 2011. 9. 15. 선고 2011구합5094 판결(인종차별철폐협약,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규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31 "서울행정법원 2011. 01. 28. 선고 2010구합28434 판결"

      32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 9. 14. 선고 2017가단5245081 판결(인종차별철폐협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33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 11. 08. 선고 2017노4241 판결"

      34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 09. 14. 선고 2017가단5245081 판결"

      35 "서울중앙지방법원 2017. 12. 07. 선고 2016가합508596 판결"

      36 "서울중앙지방법원 2016. 11. 16. 선고2014가합577642 판결"

      37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 6. 11. 선고 2013가합565833 판결(양심적 병역거부자에 대한 형사처벌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사건)"

      38 "서울중앙지방법원 2014. 10. 15. 선고 2014나4674 판결"

      39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 05. 23. 선고 2011가단43400"

      40 "서울중앙지방법원 2011. 7. 22. 선고 2010가단263368 판결(인종차별철폐협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41 "서울중앙지방법원 2011. 02. 25. 선고 2010가합23642 판결"

      42 "서울중앙지방법원 2011. 01. 26. 선고 2010가합34314 판결"

      43 "서울중앙지방법원 2010. 09. 10. 선고 2009가단99509 판결"

      44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1. 11. 선고 2001노1474 판결(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규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45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07. 11. 선고 2006고단2598 판결"

      46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05. 30. 선고 2005가합106949 판결"

      47 "서울중앙지방법원 2006. 01. 11. 선고 2001노1474 판결"

      48 "서울중앙지방법원 2004. 01. 15. 선고 2002가합79428 판결"

      49 "서울중앙지방법원 2003. 7. 9. 선고 2003노1118 판결"

      50 "서울중앙지방법원 2003. 08. 07. 선고 2003노2443"

      51 "서울중앙지방법원 2003. 07. 09. 선고 2003노2647"

      52 "서울중앙지방법원 2003. 07. 09. 선고 2003노1118"

      53 "서울중앙지방법원 2002. 01. 29. 선고 2001고합1050 판결"

      54 "서울중앙지방법원 2000. 06. 14. 선고 99가합 105556 판결"

      55 "서울중앙지방법원 2000. 04. 12. 선고 99노10804 판결"

      56 "서울중앙지방법원 1996. 6. 7. 선고 1995가단185632 판결"

      57 "서울중앙지방법원 1996. 11. 15. 선고 1996나27512 판결"

      58 "서울중앙지방법원 1996. 06. 07. 선고 1995가단185632 판결"

      59 "서울서부지방법원 2014. 08. 21. 선고 2013가합36163 판결"

      60 "서울서부지방법원 2013. 11. 21. 선고 2013고합267 판결"

      61 "서울남부지방법원 2013. 10. 17. 선고 2013고합16 판결"

      62 "서울남부지방법원 2004. 5. 21. 선고 2003고단1783 판결"

      63 "서울남부지방법원 2004. 5. 21. 선고 2002고단3941 판결"

      64 "서울남부지방법원 2004. 5. 21. 선고 2002고단3940 판결"

      65 "서울고등법원 2018. 07. 04. 선고 2017누68020 판결"

      66 "서울고등법원 2017. 12. 06. 선고 2017누55598 판결"

      67 "서울고등법원 2016. 05. 20. 선고 2015누49711 판결"

      68 "서울고등법원 2015. 11. 20. 선고 2015노1952 판결"

      69 "서울고등법원 2015. 11. 06. 선고 2015재노237 판결"

      70 "서울고등법원 2015. 09. 18. 선고 2015노1430 판결"

      71 "서울고등법원 2015. 01. 30. 선고 2014재노37 판결"

      72 "서울고등법원 2014. 9. 5. 선고 2014재노7 판결"

      73 "서울고등법원 2014. 4. 18. 선고 2013누45807 판결(고문방지협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74 "서울고등법원 2014. 10. 31. 선고 2014재노25 판결"

      75 "서울고등법원 2014. 10. 31. 선고 2014재노13 판결"

      76 "서울고등법원 2014. 05. 13. 선고 2013노3788 판결"

      77 "서울고등법원 2013. 12. 24. 선고 2012재노68 판결"

      78 "서울고등법원 2013. 11. 08. 선고 2011재노155 판결"

      79 "서울고등법원 2012. 01. 19. 선고 2011나16525 판결"

      80 "서울고등법원 2009. 02. 10. 선고 2007나72665 판결"

      81 "서울고등법원 2007. 08. 31. 선고 2007나38658"

      82 "서울고등법원 2007. 07. 24. 선고 2006나112658 판결"

      83 "서울고등법원 2006. 02. 14. 선고 2005나27906 판결"

      84 "서울고등법원 2005. 12. 22. 선고 2005나64707 판결"

      85 "서울고등법원 2005. 04. 13. 선고 2004나13610 판결"

      86 "서울고등법원 2000. 11. 03. 선고 2000나35087 판결"

      87 "서울고등법원 1992. 7. 16. 선고 1989구1232 판결"

      88 "부산지방법원 2018. 04. 06. 선고 2018고정3판결"

      89 "부산지방법원 2016. 09. 02. 선고 2016나40887 판결"

      90 "부산지방법원 2014. 02. 20. 2011가합13633 판결"

      91 "부산지방법원 2012. 04. 05. 선고 2011구합4702 판결"

      92 "부산지방법원 2011. 9. 30. 선고 2011구합2140 판결(공익법무관교육소집입영처분등 최소의 소)"

      93 "부산지방법원 2006. 11. 15. 선고 2016가단30292 판결"

      94 "부산고등법원 2017. 08. 31. 선고 2014나50975 판결"

      95 "부산고등법원 2013. 11. 13. 선고 2011누4053 판결(공익법무관교육소집입영처분등취소의 소)"

      96 "부산고등법원 2004. 05. 07. 선고 2001나15255 판결"

      97 장태영, "법원의 국제인권조약의 해석, 적용: 자유권규약 및 양심적 병역거부에 관한 주요 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법원 국제인권법연구회·인권법학회 81-82, 2019

      98 이혜영, "법원의 국제인권조약 적용 현황과 과제" 사법정책연구원 2020

      99 황필규, "법원에서의 국제인권조약 적용 현황 및 평가 토론" 국가인권위원회 158-160, 2019

      100 홍관표, "법원 판결을 통해 살펴 본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이행- 국제인권조약의 적용 여부가 문제된 사례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32 (32): 81-102, 2015

      101 "대전지방법원 2016. 08. 17. 선고 2015구합2392 판결"

      102 "대전지방법원 2003. 11. 05. 선고 2003고단2155 판결"

      103 "대전지방법원 2003. 10. 15. 선고 2003고정205 판결"

      104 "대전지방법원 2003. 10. 15. 선고 2003고단3412 판결"

      105 "대전지방법원 1999. 04. 01. 선고 99고합6 판결"

      106 "대전지방법원 1999. 04. 01. 선고 98고합532 판결"

      107 "대전고등법원 2016. 11. 24. 선고 2016누12149 판결"

      108 "대전고등법원 2000. 01. 14. 선고 99노548 판결"

      109 "대전고등법원 2000. 01. 14. 선고 99노473 판결"

      110 "대전고등법원 1999. 11. 19. 선고 99노231 판결"

      111 "대전고등법원 1999. 11. 19. 선고 99노229 판결"

      112 "대법원 2018. 11. 1. 선고 2016도10912 전원합의체 판결"

      113 "대법원 2018. 05. 17. 선고 2017도4027 전원합의체 판결"

      114 "대법원 2014. 07. 10. 선고 2014도5774 판결"

      115 "대법원 2011. 01. 20. 선고 2008도10479 전원합의체 판결"

      116 "대법원 2008. 11. 13. 선고 2006도755 판결(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규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117 "대법원 2007. 12. 27. 선고 2007도7941 판결"

      118 "대법원 2006. 4. 28. 선고 2005다30184 판결"

      119 "대법원 2005. 07. 21. 선고 2002다13850 전원합의체 판결"

      120 "대법원 2005. 07. 21. 선고 2002다1178 전원합의체 판결"

      121 "대법원 2004. 7. 15. 선고 2004도2965 전원합의체 판결"

      122 "대법원 2000. 05. 30. 선고 2000도1226 판결"

      123 "대법원 1999. 03. 26. 선고 96다55877 판결"

      124 "대법원 1999. 02. 09. 선고 98두17586 판결"

      125 "대법원 1999. 01. 29. 선고 98두16637 판결"

      126 "대법원 1999. 01. 26. 선고 98두16620 판결"

      127 "대법원 1993. 12. 24. 선고 1993도1711 판결"

      128 "대구지방법원 2018. 04. 18. 선고 2017구합22567 판결"

      129 "대구고등법원 2018. 09. 21. 선고 2018누3005 판결"

      130 "대구고등법원 2015. 06. 11. 선고 2015노62 판결"

      131 "대구고등법원 2015. 05. 21. 선고 2014노214 판결"

      132 대한민국 외교부, "다자조약"

      133 박찬운, "국제인권조약의 국내적 효력과 그 적용을 둘러싼 몇 가지 고찰" 법조협회 56 (56): 141-179, 2007

      134 오승진,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적용과 문제점" 56 (56): 125-129, 2001

      135 홍관표, "국제인권조약을 원용한 법원의 판결에 관한 검토" 한국법학원 149 : 165-195, 2015

      136 대법원 국제인권법연구회, "국제인권법실무연구(제130집)" 법원도서관 2015

      137 신윤진, "국제인권규범과 헌법: 통합적 관계구성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고찰" 서울대공익인권법센터·법원국제인권법연구회·인권법학회 19-20, 2019

      138 정경수, "국제법의 국내적용에 관한 한국의 법체계와 경험" 국제법평론회 (28) : 95-125, 2008

      139 박배근, "국내법의 국제법 합치해석에 관한 일고" 국제법평론회 (46) : 57-82, 2017

      140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2006. 10. 27. 선고 2006고단905 판결"

      141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2004. 12. 09. 선고 2002가단4144 판결"

      142 "광주지방법원 2016. 06. 16. 선고 2015구합1786 판결"

      143 "광주지방법원 2010. 4. 1. 선고 2009구합2672 판결(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규약, 시민적·정치적 권리규약)"

      144 比較法實務硏究會, "判例實務硏究 [III]" 博英社 149-228, 1999

      145 유남석, "判例實務硏究 [III]" 博英社 209-228, 1999

      146 장태영, "‘국제화된 사법부’, ‘de facto 국제인권재판소’를 지향하며 - 국제인권조약의 효력, 적용, 해석에 관하여" 국가인권위원회 126-127, 2019

      147 Birgit Schlütter, "UN Human Rights Treaty Bodies: Law and Legitim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3-319, 2012

      148 Başak Çalı, "The Oxford Guide to Treaties" Oxford Universe Press 530-531, 2015

      149 Helmut Philipp Aust, "The Interpretation of International Law by Domestic Courts: Uniformity, Diversity, Convergence" Oxford University Press 2-, 2016

      150 "Restatement (Third) of Foreign Relations Law of the United States, § 111 (1987)"

      151 "Restatement (Fourth) of Foreign Relations Law of the United States § 311 (2018)"

      152 Rosalyn Higgins, "Problems and Process: International Law and How We Use It" Clarendon Press 205-, 1994

      153 International Law Association, "Final Report: Mapping the Engagement of Domestic Courts with International Law, Johannesburg Conferenc" 2016

      154 Rudolf Bernhardt, "Evolutive Treaty Interpretation, Especially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42 : 15-, 1999

      155 Eyal Benvenisti, "Embracing the Tension between National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The Case for Discordant Parity" 15 (15): 36-59, 2017

      156 Vicki Jackson, "Constitutional Engagement in a Transnational Era" Oxford University Press 8-10,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2 0.869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