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Human Rights and Welfare of Foreign Wives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51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foreign wives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nd living in Korea, some of them are successfully settled down in community. However some are having problems with difficulties of communicating, maladjusting, domestic violence, naturalization, and alienation.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foreign wives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 showed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community would make constant effort to ensure human rights and provide welfare services for foreign wives in order to get acclimated to Korean society. We discussed that nationwid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foreign wives must be conducted before setting up a system of protect and care for them. Educational program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preventive and ex post facto measures of domestic violence were suggested. In addition, deregulation of simplified naturalization were proposed in order to secure the human rights of foreign wives.
      번역하기

      Among foreign wives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nd living in Korea, some of them are successfully settled down in community. However some are having problems with difficulties of communicating, maladjusting, domestic violence, naturalization, and a...

      Among foreign wives who are married to Korean men and living in Korea, some of them are successfully settled down in community. However some are having problems with difficulties of communicating, maladjusting, domestic violence, naturalization, and alienation.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foreign wives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 showed that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as community would make constant effort to ensure human rights and provide welfare services for foreign wives in order to get acclimated to Korean society. We discussed that nationwid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s of foreign wives must be conducted before setting up a system of protect and care for them. Educational program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preventive and ex post facto measures of domestic violence were suggested. In addition, deregulation of simplified naturalization were proposed in order to secure the human rights of foreign wi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남자와 결혼해서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외국인 주부 중에는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해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비롯한 사회적응 문제, 가정 내 폭력, 국적취득의 어려움 등으로 가정과 이웃으로부터 소외되는 불행한 사례도 많다.광주전남의 외국인 주부 생활실태를 연구한 결과 외국인 주부가 한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외국인 주부에 대해 최소한의 인권과 사회복지 서비스를 보장해 이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모두가 공동으로 노력하고 협조해야 할 일이다.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향상을 위한 서비스를 마련하기 위해서 외국인 주부에 대한 현황 및 실태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과 그들에 대한 보호 및 관리체계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외국인 주부의 사회적응을 위해서는 우리말과 글에 대한 교육, 문화체험기회의 제공이 있어야 하고, 가정 내 폭력의 예방과 사후처리에 관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국적취득과 관련해서 간이귀화 요건을 완화하여 외국인 주부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한국남자와 결혼해서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외국인 주부 중에는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해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비롯한 사회적응 문제, 가정 내 ...

      한국남자와 결혼해서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외국인 주부 중에는 지역사회에 성공적으로 정착해 안정된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비롯한 사회적응 문제, 가정 내 폭력, 국적취득의 어려움 등으로 가정과 이웃으로부터 소외되는 불행한 사례도 많다.광주전남의 외국인 주부 생활실태를 연구한 결과 외국인 주부가 한국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외국인 주부에 대해 최소한의 인권과 사회복지 서비스를 보장해 이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 모두가 공동으로 노력하고 협조해야 할 일이다. 외국인 주부의 인권과 복지향상을 위한 서비스를 마련하기 위해서 외국인 주부에 대한 현황 및 실태파악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과 그들에 대한 보호 및 관리체계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외국인 주부의 사회적응을 위해서는 우리말과 글에 대한 교육, 문화체험기회의 제공이 있어야 하고, 가정 내 폭력의 예방과 사후처리에 관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아울러 국적취득과 관련해서 간이귀화 요건을 완화하여 외국인 주부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