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사회정책사상과 불평등 문제 = The Thought of Social Policy and Inequality Probl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5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cial policies of modern welfare states are expected not only to solve the poverty problems but also to mitigate social inequalities. But it is the question that social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mitigate inequalities. Because they are different each other in the methods of operation according to social policy perspectives.
      The thoughts of social policy are divided into Liberalism, Modified Liberalism, Social Democracy, Marxism. And the theories of social inequality are divided into Functionalism, Critical 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Marxism. The result of analyses shows us that actually the thought of Social Democracy is related to the mitigation of social inequality. But social policy of Social Democracy is including a bit abstract concepts. And social policy of Social Democracy is able to mitigate the size and gab of inequalities, but it is not able to effect class structure as structured inequality system.
      If class inequality can not be eradicated, social policies ought to persue more strong redistribution, actual security of educational rights and something like that, and establishment of social rights which secure liberties, political rights.
      번역하기

      Social policies of modern welfare states are expected not only to solve the poverty problems but also to mitigate social inequalities. But it is the question that social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mitigate inequalities. Because they are diff...

      Social policies of modern welfare states are expected not only to solve the poverty problems but also to mitigate social inequalities. But it is the question that social policies and social welfare programs mitigate inequalities. Because they are different each other in the methods of operation according to social policy perspectives.
      The thoughts of social policy are divided into Liberalism, Modified Liberalism, Social Democracy, Marxism. And the theories of social inequality are divided into Functionalism, Critical 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Marxism. The result of analyses shows us that actually the thought of Social Democracy is related to the mitigation of social inequality. But social policy of Social Democracy is including a bit abstract concepts. And social policy of Social Democracy is able to mitigate the size and gab of inequalities, but it is not able to effect class structure as structured inequality system.
      If class inequality can not be eradicated, social policies ought to persue more strong redistribution, actual security of educational rights and something like that, and establishment of social rights which secure liberties, political righ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정책은 빈곤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사회적 재분배 효과, 즉 불평등의 완화를 기대한다. 그러나 과연 사회정책과 사회복지제도가 불평등을 감소시키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왜냐하면 사회정책적 관점에 따라 각기 운영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책사상과 사회불평등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사회정책사상은 자유주의, 수정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맑스주의로 구분하였으며,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점은 기능주의이론, 비판적 기능주의이론, 갈등이론, 맑스주의이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현실적으로 사회불평등의 완화에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은 갈등이론과 불평등을 바라보는 시각을 공유하고 있는 사회민주주의 정책사상이다. 그러나 사회민주주의의 사회정책은 다소 추상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사회민주주의 사회정책을 통해 전반적인 불평등의 크기 내지는 격차는 완화시킬 수 있지만, 자본주의사회의 기본적 관계인 구조화된 불평등체계로서의 계급구조에는 별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듯하다. 계급간 불평등이 폐지될 수 없는 것이라면, 사회정책은 보다 강한 재분배 및 교육권 등의 실질적 보장, 그리고 자유권, 정치권 등의 실질적 평등을 구현하는 사회권의 확보로 나아가야 한다.
      번역하기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정책은 빈곤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사회적 재분배 효과, 즉 불평등의 완화를 기대한다. 그러나 과연 사회정책과 사회복지제도가 불평등을 감소시키고 있는지는 의문...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정책은 빈곤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사회적 재분배 효과, 즉 불평등의 완화를 기대한다. 그러나 과연 사회정책과 사회복지제도가 불평등을 감소시키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왜냐하면 사회정책적 관점에 따라 각기 운영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책사상과 사회불평등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사회정책사상은 자유주의, 수정자유주의, 사회민주주의, 맑스주의로 구분하였으며,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점은 기능주의이론, 비판적 기능주의이론, 갈등이론, 맑스주의이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현실적으로 사회불평등의 완화에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은 갈등이론과 불평등을 바라보는 시각을 공유하고 있는 사회민주주의 정책사상이다. 그러나 사회민주주의의 사회정책은 다소 추상적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사회민주주의 사회정책을 통해 전반적인 불평등의 크기 내지는 격차는 완화시킬 수 있지만, 자본주의사회의 기본적 관계인 구조화된 불평등체계로서의 계급구조에는 별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듯하다. 계급간 불평등이 폐지될 수 없는 것이라면, 사회정책은 보다 강한 재분배 및 교육권 등의 실질적 보장, 그리고 자유권, 정치권 등의 실질적 평등을 구현하는 사회권의 확보로 나아가야 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사회복지정책 18집 -> 사회복지정책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3 1.4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4 1.42 1.617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