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노인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822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목적은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 업무전문성)이 노인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런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방법은 서울시 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데이케어센터)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 44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에서 인적환경과 보상체계가 좋을수록 노인학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장기요양 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에서 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 업무전문성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노인학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노인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목적은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 업무전문성)이 노인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런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본 연구목적은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 업무전문성)이 노인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런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방법은 서울시 요양시설, 주야간보호시설(데이케어센터)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와 요양보호사 444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에서 인적환경과 보상체계가 좋을수록 노인학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장기요양 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에서 인적환경, 물리적 환경, 보상체계, 업무전문성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노인학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근무환경이 노인학대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working environment(human resource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work expertise)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affect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nd how job stress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awareness of elderly abuse. Using a proved questionnaire, a total of 444 samples were studied for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targeting social workers and caregivers working at nursing homes and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day care center) in the Seoul City area.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Long-term care Institutions working environment when long-term care institutions have a better human resource environment and better compensation system,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lderly abuse among workers. Second, the work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have the better the human resource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work expertise, workers indicated having a lower level of job stress. Third,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mong the workers. Fourth, job stress has a mediating effect the influence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mong worker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working environment(human resource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work expertise)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affect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nd how job stress has 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working environment(human resource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work expertise)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affect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nd how job stress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awareness of elderly abuse. Using a proved questionnaire, a total of 444 samples were studied for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targeting social workers and caregivers working at nursing homes and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day care center) in the Seoul City area.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Long-term care Institutions working environment when long-term care institutions have a better human resource environment and better compensation system,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lderly abuse among workers. Second, the work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have the better the human resource environment, physical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and work expertise, workers indicated having a lower level of job stress. Third,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mong the workers. Fourth, job stress has a mediating effect the influence of the working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elder abuse among worker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