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392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이었고, 분석대상은 232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능력, 자기수용, 대인관계 유능성이 의사소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50.7%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과의 관련성에서는 성별(F=-3.86, p =.000), 대학생활 만족도(F=3.02, p =.019)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소통능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기수용(r=.346, p <.001), 공감능력과(r=.531, p <.001), 대인관계 유능성(r=.680, p <.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과 프로그램 적용 및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이었...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0년 9월부터 10월까지이었고, 분석대상은 232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감능력, 자기수용, 대인관계 유능성이 의사소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50.7%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과의 관련성에서는 성별(F=-3.86, p =.000), 대학생활 만족도(F=3.02, p =.019)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의사소통능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자기수용(r=.346, p <.001), 공감능력과(r=.531, p <.001), 대인관계 유능성(r=.680, p <.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과정과 프로그램 적용 및 성별의 특성을 고려한 전문적인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study, 232 nursing students in a certain region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empathy,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0.7%.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skills, variations were seen due to gender (F=-3.86, p =.000)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F=3.02, p =.019). Also, self-acceptance (r=.346, p <.001), empathy (r=.531, p <.001),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r=.680, p <.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skills.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have specialized communi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curriculum and also programs that help increase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e gender of the student.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study, 232 nursing students in a certain region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study, 232 nursing students in a certain region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0.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s a result, empathy, self-accept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0.7%.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skills, variations were seen due to gender (F=-3.86, p =.000)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F=3.02, p =.019). Also, self-acceptance (r=.346, p <.001), empathy (r=.531, p <.001),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r=.680, p <.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skills.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have specialized communication programs that reflect the curriculum and also programs that help increase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ased on the gender of the stud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연구 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방법
      • 3. 연구 결과
      • 4. 논의
      • 5.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숙, "자기이해를 강화한 의사소통 간호교육의 효과" 정신간호학회 18 (18): 361-368, 2009

      2 박상환,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표현이 타인관점수용과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 경기도의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10-422, 2016

      3 임전옥,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159-184, 2012

      4 김사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2 (22): 511-524, 2013

      5 김광웅, "심리적 성장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1-13, 2005

      6 송지은, "부모수용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117-144, 2015

      7 추미례,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27-43, 2014

      8 이어진, "대학생의 자기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 (16): 209-224, 2015

      9 허토실, "대학생의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25): 45-63, 2017

      10 임숙빈, "간호학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자기인식의 증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 (1): 59-66, 2006

      1 박영숙, "자기이해를 강화한 의사소통 간호교육의 효과" 정신간호학회 18 (18): 361-368, 2009

      2 박상환,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표현이 타인관점수용과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 경기도의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16 (16): 410-422, 2016

      3 임전옥, "자기수용 연구의 동향과 제언"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3 (33): 159-184, 2012

      4 김사녀, "유아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이 교수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2 (22): 511-524, 2013

      5 김광웅, "심리적 성장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2 (12): 1-13, 2005

      6 송지은, "부모수용과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117-144, 2015

      7 추미례,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타당화"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27-43, 2014

      8 이어진, "대학생의 자기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6 (16): 209-224, 2015

      9 허토실, "대학생의 자기수용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관계에서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5 (25): 45-63, 2017

      10 임숙빈, "간호학의 커뮤니케이션 교육: 자기인식의 증진"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1 (1): 59-66, 2006

      11 김세향,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20 (20): 332-341, 2014

      12 정계선,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413-422, 2013

      13 채명옥,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능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95-103, 2016

      14 정명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강화를 위한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 및 대인관계 간 상관관계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20 (20): 332-339, 2014

      15 이순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 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40-349, 2014

      16 이지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감정조절, 지각된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606-616, 2013

      17 김희숙,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 12 (12): 229-237, 2006

      18 J. M. Chamberlai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ponses to negative feedback" 19 (19): 177-189, 2001

      19 J. Ammentrop, "The eggect of trainning in communication skills on medical doctors' and nurse' self efficac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66 : 270-277, 2007

      20 A. . L. Danoff, "The effects of multiple preventive intervention strategies on alchol and other drug knowledge and behavior,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of at-risk youth" Barry University 1996

      21 E. Y. Choi, "The effects of a communication skills group on high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communication ability" Kos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4

      22 B. S. Je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altruistic behavi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3

      23 T. Gordon, "T.E.T(Teacher effectiveness training)"

      24 D. L. Macinnes, "Self esteem and self acceptance : an examination into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13 (13): 483-489, 2006

      25 F. Luthans,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6 S. M. Kwon, "Life in the second act of college"

      27 T. S. Laidlaw, "Implementing a communication skills programme in medical school : needs assessment and programme change, medical reinforced self understanding in nursing communication curriculum" 36 : 115-124, 2002

      28 F. Faul, "G*POWER 3 :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39 : 175-191, 2007

      29 D. Buhrmester, "Five Psychological Association"

      30 M. H. Davis, "Empathy: as 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Westview Press 1996

      31 L. Navran, "Communication and adjustment in marrige" 6 : 173-184, 1967

      32 A. Smith,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in human behavior and evolution" 56 : 21-, 2006

      33 S. J.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 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 directe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3

      34 A. . Ellis, "A guide to rational living" Wilshire 1979

      35 C. D. Kim,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ent Life Institute 35 (35): 83-95,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