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학생들의 글쓰기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과정 중심 쓰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이 과정 중심 쓰기를 배우게 되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래서 현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668329
부산 : 부산대학교, 2012
2012
한국어
411.07 판사항(21)
부산
vi, 154 p. : 삽화 ; 26 cm
참고문헌 : p. 142-15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학생들의 글쓰기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과정 중심 쓰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이 과정 중심 쓰기를 배우게 되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래서 현재 ...
이 연구는 학생들의 글쓰기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과정 중심 쓰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이 과정 중심 쓰기를 배우게 되는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그래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2009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011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과정 중심 쓰기가 어떻게 반영되었으며,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검정 국어 교과서 7학년 23종, 8학년 15종, 10학년 16종에 과정 중심 쓰기가 어떻게 적용되어서 학생들의 실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이 연구의 목적이다.
논문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선행 연구, 연구 범위를 설정하였고, Ⅱ장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교육의 전반적인 학문적 이론을 제시하고 이 이론과 7차 교육과정의 ‘작문’의 기능을 중심으로 과정 중심 쓰기 반영 양상을 알아보기 위한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근거로 Ⅲ장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7학년, 8학년, 9학년, 10학년 성취기준과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의 <화법과 작문Ⅰ> 세부내용,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서〔중1~3학년군〕, 국어Ⅰ, 국어Ⅱ의 내용을 분석하였고, Ⅳ장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 7학년 23종, 8학년 15종, 10학년 16종을 평가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Ⅴ장에 정리를 하였다.
Ⅲ장과 Ⅳ장에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과정 중심 쓰기 반영 양상을 분석해 보니, 크게 4가지의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는 대체적으로 과정 중심 쓰기의 단계가 잘 지켜지지 않았고, 둘째는 과정 중심 쓰기 중 고쳐쓰기에 대한 고려가 거의 없었다. 셋째는 과정 중심 쓰기의 전략제시가 잘 나타나지 않았고, 넷째는 모든 갈래에서 골고루 과정 중심 쓰기를 반영하지 않았다.
이런 문제점이 생긴 원인은 교육과정에서 과정 중심 쓰기를 큰 틀로 삼고 있지만, 세부적인 부분에서는 과정 중심 쓰기 이론을 온전히 이해하지 못하고 각 단계의 특정 부분만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교과서도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동일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의의는 첫째, 쓰기 교육과정의 큰 틀은 과정 중심 쓰기라는 것을 한 번 더 인식하게 하였다. 둘째, 검정 국어 교과서가 해마다 계발되고 있는 상황에서 검정 국어 교과서의 쓰기 영역이 어떻게 계발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편의 글을 쓰고 글 쓰는 것에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과정 중심 쓰기가 여전히 존재해야하고 중요시 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과정과 교과서에는 실제에 맞는 과정 중심 쓰기를 잘 반영하도록 해야 하고, 앞으로 학생들의 한 편의 글을 쓰는 데 적합한 검정 교과서가 많이 계발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d the educational course and text book in which students learn course centered writing with interest in the course centered writing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students in writing. Therefore,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exam...
This paper focused the educational course and text book in which students learn course centered writing with interest in the course centered writing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students in writing. Therefore, this paper has the purpose to examine the reflec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to the 2007 revised Korean subject educational course currently implemented and the 2009 revised Korean subject educational course and the 2011 revised Korean subject educational course and applica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to 23 types for 7th grade, 15 types for 8the grade and 16 types for 10th grade of the certified Korean textbook by the educational course of the 2007 revised Korean subject to improve the student's actual writing ability.
Chapter I established the necessity of the study and preceding studies and study scope and Chapter II suggested the whole scientific theory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education and prepared for evaluation criteria to examine the reflection situa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focused on this theory and 'writing' functions of the 7th educational course. Based on this, Chapter analyzed performance criteria of the 7th, 8th, 9th and 10th grade of the 2007 revised educational course and the〔middle school 1st ~ 3rd grade group〕and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I and II of the 2011 revised educational course as well as <speech and writing?> details of the 2009 revised educational course. In addition, its results were arranged Chapter V.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flection situa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of the educational course and textbook, in large 4 types of problems were detected. First, generally the stages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were not observed well and second, consideration for writing correction out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was rarely made. Third, the strategic suggestion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was not revealed very well and fourth, all forks didn't reflect the course centered writing equally.
The reason why these problems were caused is that the course centered writing theory in detailed sections was not completely understood even though the educational course takes the course centered writing as a big flame, it emphasized only specific part of each stage. Even the text was made based on the educational course so that the same phenomenon occurred.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recognized once more that the big frame of the writing educational course is the course centered writing. Second, in the situation that certified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annually developed, it sugges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writing area of certified Korean language textbooks.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writing a book, the existence of the course centered writing should be still emphasized. Therefore, the course centered writing in compliance with reality should be well reflected to the educational course and textbook and in the future, appropriated certified textbooks suitable for student's writing of a book should be developed a lot.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