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산재의 장엄 미학과 활용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majestic aesthetics of the 'Yeongsanjae' and its application pla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3520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1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27.5 판사항(6)

      • DDC

        294.3438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i, 185 p. : 천연색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백원기
        권말부록: 영산재 장엄 제작과정 ; 제33회 영산재 장엄·지화 전과정 작업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of the 'Yeongsanjae(靈山齋)' and the ‘BeophwaYukseo[法華六瑞, Six auspicious things]’ in the Lotus Sutra and also to try to look into how to app...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of the 'Yeongsanjae(靈山齋)' and the ‘BeophwaYukseo[法華六瑞, Six auspicious things]’ in the Lotus Sutra and also to try to look into how to apply its cultural contents plans. Today, Buddhist rituals in Northeast Asia are one of the common key words of Northeast Asian Buddhist culture. It is because the 'Yeongsanjae' combined Buddhism from India with Chinese culture to create a very unique religious culture called Buddhist rituals and it also influenced neighboring countries and it was spread widely.
      The 'Yeongsanjae,' the essence of Buddhist art, is one of the important Buddhist rituals symbolizing ‘Yeongsanhoisang(靈山會上, the Vulture Peak assembly)’ which means a re-enactment of the Buddha’s preaching of the Lotus Sutra on Grdhrakuta in India, in which offerings are made to the Buddha and Bodhisattvas in attendance.
      'Yeongsanjae' is a ceremony that prays for the unity of the living and the deceased in the Dharma throughout the universes. The significance of the 'Yeongsanjae’ lies in raising utmost delight of the participants in the Buddha’s preaching space and also in helping the living and the dead lead to the world of truth through worshipping and admiring the Buddha: the world of emancipation from suffering.
      Actually, 'Yeongsanjae' was designated as UNESCO’s Cultural Heritage Intangible of Humanity in 2009. As a preserver and transmitter of the 'Yeongsanjae' (Rep. of Korea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50), Bongwonsa Temple's Yeongsanjae Preservation Association conducts regular performances for the world peace and national reunification.
      Above all, 'Yeongsanjae', which has universal cultural values, contains the essence of comprehensive Buddhist art. In other words, 'Yeongsanjae' is referred to as a comprehensive art because it contains various Buddhist majestic elements such as musical elements of Beomeum Beompae, dance elements of butterfly dance, beopgo dance, ostrich dance, and art elements of Gwaebul and Gamrotaeng, etc.
      In particular, Buddhist music, dances, paintings, and verses(gesong, gatha ) play an important role in performing 'Youngsanjae'. Their exquisite combination of performing elements and literary elements shows a greater sense of magnificent and splendid beauty.
      These series of majestic elements reenact the overwhelminhg moment of the Yeongsan preaching and praise the Buddha’s virtue. In addition, they are the core of the 'Youngsanjae' that enables the spiritual family and the participating public to listen to Buddha's preaching and to attain enlightenment.
      Especially, ‘Yeongsanjae’ which preserves Buddhist aesthetic as a cultural subject shows the height of majestic aesthetics through various ritual verses, sounds, and gestures that praise Buddha’s virtue and teachings. Also, there are many metaphors and symbols in the process of the ‘Youngsanjae.’
      Ritual statements(verses), Beompae, dances that are accompanied by ritual procedures for the 'Youngsanjae' contains the admiration for the Buddha and the desire of communication with Him. This ritual structure brought about the development of Buddhist music like Beompae, Buudhist dances like butterfly dance, Beopgo dance, and Buddhist art like aesthetics of Bodhi-mandala majesty(道場莊嚴). In that, ‘Yeongsanjae’ effectively combines the religious rituals with the structure of rituals and attains the artistic functions in the ritual proceedings.
      ‘Yeongsanjae’ begins with a ritual reception for the Buddha and all the saints: First of all, Sakyamuni Buddha and all the saints were invited to the ritual space, and after worshiping, offering, and admiring all saints and the attendants are required to participate in the Yeongsan Hoisang(靈山會上).
      Through these series of procedures, the virtues created by the spirits of Yuju and Muju are reverted to the spirits of Yuju. Finally, the ritual concludes with a farewell ritual representing manners of the otherworldly realm of the Buddha, with singing, ceremonial adornment and various ritual dances such as the cymbal dance, drum dance and ceremonial robe dance.
      Above all,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ocess of 'Youngsanjae' is a symbolic expression of bodhi-mandala sanctuary while overlapping repetitions. The magnificent objects such as Gwaebul, banners(幡), flowers, Yeon(輦), etc. reenact the overwheleming-touch moment of the Yeongsan Hoisang, and then praise the virtues of the Buddha. Therefore they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e process of the ritual performance because they promote communication and empathy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participating public. In this vein, I emphasized that these elements are important methods which can sanctify ritual behaviors and majesticize the culture as well.
      Through repeated ceremonial activities such as cleanliness of Bodhi-mandala, repentance, praise for the Buddha, offerings, and worship etc., Yeongsanjae’s ritual space and time are beautifully decorated and far more sanctified. Moreover, monks and lay people together are immersed in such majestic sanctuary space and time to experience it and return to the Buddhist world.
      In order to preserve and spread ‘Yeongsanjae’ worldwide, I think that more in-depth research on the cultural value of ‘Youngsanjae’ will be urgently needed from various perspectives, especially based on its content application. The global 'Corona 19' crisis was caused by human greed, and the influenza epidemic ha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So the strategies for more efficient content-application of ‘Youngsanjae’ to solace people are required.
      Until now, books and paper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Youngsanjae’ have been published mainly based on its procedures, composition, but in-depth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jestic aesthetics with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Youngsanjae’ and ‘BeophwaYukseo’(法華六瑞) is not much to be found. Therefore, I tried to examine ‘Youngsanjae’s acceptance of the elements of the ‘BeophwaYukseo’ in the Lotus Sutra,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 composition and ritual activities of ‘Yeongsanjae’ and I also attempted to look into what magnificent aesthetics they produce, and what message it sends us today. In addition, I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cultural contents of ‘Youngsanjae’ as a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영산재’ 의식 절차에 내재된 장엄미학과 ‘법화육서’의 관계성 및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다. 오늘날 동북아시아 불교권의 불교의례는 동북아 불교문...

      본 논문의 목적은 ‘영산재’ 의식 절차에 내재된 장엄미학과 ‘법화육서’의 관계성 및 문화콘텐츠 활용방안을 살펴보는 데 있다. 오늘날 동북아시아 불교권의 불교의례는 동북아 불교문화의 공통 키워드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그것은 인도에서 전래된 불교가 중국문화와 결합하여 불교의례라는 매우 독창적인 종교문화를 탄생시켰고, 또한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쳐 널리 확산되었기 때문이다.
      불교예술의 꽃으로 불리는 ‘영산재’는 인도의 영취산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법화경』 설법을 듣는 장면을 의미하는 영산회상(靈山會上)을 상징화한 의식이다. 이러한 의미를 지닌 ‘영산재’는 설법도량에 모인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환희심을 불러일으키고 법열(法悅)에 충만 된 분위기를 극적으로 재현한 것으로, 산 자와 망자가 다 함께 부처님의 설법을 듣고 진리를 깨달아 이고득락(離苦得樂)하여 정토에 이르게 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영산재’는 1973년 11월 '범패’라는 이름으로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되었다가 1987년 11월 대한민국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로 단체지정 되었다. 그 후로 봉원사가 주축이 되어 운영하고 있는 ‘영산재보존회’에서 ‘영산재’의 원형보존에 노력을 기울여 온 결과, ‘영산재’는 2009년 9월 30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등재되었다. 무엇보다도 인류 보편적인 문화적 가치를 지닌 ‘영산재’는 종합적인 불교예술의 정수를 내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영산재’는 범음 범패의 음악적 요소,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 타주춤 등 작법의 무용적인 요소, 불보살의 모습을 그린 괘불과 감로탱화 등 미술적인 요소, 그리고 불보살을 찬탄하는 의식문 등 다양한 불교적 장엄 요소를 내재하고 있어 종합예술로 지칭되고 있다. 특히 ‘영산재’ 설행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불교음악과 작법, 회화, 게송 등의 연희적인 요소와 문학적 요소의 절묘한 조화는 장엄하고 화려한 미의식을 한결 잘 보여준다. 이러한 일련의 장엄 요소는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佛德)을 찬탄하고, 또한 영가와 참여 대중으로 하여금 부처님 설법을 듣고 깨달음에 이르게 하는 재의(齋儀)의 핵심적 내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불교적 미의식을 문화적 주체로 보존하고 있는 ‘영산재’는 불덕과 가르침을 찬탄하는 다양한 의식문과 소리, 그리고 몸짓의 표현으로 장엄 미학의 극치를 보여 주고 있다. 아울러 ‘영산재’의 재의절차에는 많은 비유와 상징성이 내포되어 있다. 가령, ‘영산재’ 의식절차에 수반되는 각 의식문[게송]과 범패, 작법무 등은 불덕 찬탄과 소통 기원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이러한 의례구조는 범패 등의 불교음악, 나비춤(作法舞), 법고춤(法鼓舞) 등의 불교무용, 그리고 도량장엄 등에 의한 불교미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즉 ‘영산재’는 의례구조를 가지는 신앙의례이나 그 진행절차에 예능적 기능이 효과적으로 어우러져 의례문을 정연한 대본으로 한 가극의 형식을 지닌 예술적 요소의 장엄미를 지니게 되었다는 것이다.
      ‘영산재’의 절차는 우선 석가모니 부처님과 성중제위를 영산회상인 재도량(齋道場)으로 초청, 이운해 모시고, 이어 성중제위를 예배, 공양, 찬탄한 후 부처님께서 『법화경』을 설하는 영산회상에 참예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련의 절차를 거치면서 조성된 공덕을 유주, 무주의 영가들에게 회향하여 천도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초청해 모신 성중제위를 봉송하고 소대(燒臺)함으로써 마치게 된다.
      무엇보다도 ‘영산재’의 진행절차의 기본구조는 중첩적으로 반복을 하면서 도량의 성역화라는 상징적 표현을 하고 있다. 작법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의문(儀文)과 괘불, 번, 꽃, 연(輦) 등의 장엄물은 영산설법의 감격을 재연하면서 불덕을 찬탄하고, 영가와 참여 대중의 소통과 공감을 고취시키는 재의의 과정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것들은 의식행위를 신성시하고 도양을 장엄케 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연구자는 강조하였다. 그것은 도량청정과 참회, 찬탄 및 공양, 그리고 예불 등의 거듭되는 의례행위를 통하여 의식공간과 시간은 아름답게 꾸며져 한결 성역화 되고, 승속이 다함께 그러한 장엄한 성역공간과 시간에 몰입하여 그 세계를 체험하고 귀의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인류의 보편적이며 세계적인 문화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불교예술의 꽃인 ‘영산재’를 보존하고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영산재’의 문화적 가치에 대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조명과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인간의 탐욕에서 빚어진 글로벌 ‘코로나 19’의 위기 상황과 이후의 시대[Post Corona19]에 있어 '영산재'의 효율적인 콘텐츠화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영산재'에 대한 다양한 시각에서의 저서와 논문이 주로 영산재의 절차와 구성, 작법을 중심으로 발표되었지만, ‘영산재’의 중요한 특성을 지닌 장엄 미학과 ‘법화육서(法華六瑞)’와의 관계성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그다지 찾아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영산재’의 『법화경』의 ‘법화육서(法華六瑞)’ 장엄 요소 수용과 그것이 영산재 구성과 의례 행위에 어떻게 투영되어 장엄미학을 낳고 있으며 그것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져주는 메시지가 무엇이며, 또한 인류문화유산으로서의 ‘영산재’의 지속 가능한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5
      • 3 연구 범위 및 방법 10
      • II ‘영산재’의 형성과 구성 14
      • I 서론 1
      • 1 연구 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5
      • 3 연구 범위 및 방법 10
      • II ‘영산재’의 형성과 구성 14
      • 1 ‘영산재’의 형성과 의미 14
      • 2 ‘영산재’의 발전과정 19
      • 3 ‘영산재’의 구성과 특징 22
      • 4 ‘영산재’의 절차와 의미 34
      • III ‘영산재’ 작법절차에 내재된 장엄 미학 43
      • 1 이운절차에 내재된 장엄 미학 43
      • 2 상단권공에 내재된 장엄 미학 54
      • 3 결계의식에 내재된 장엄 미학 62
      • 4 식당작법에 내재된 장엄 미학 73
      • 5 작법무에 내재된 장엄 미학 108
      • IV ‘영산재’의 장엄미학과 ‘법화육서’와의 관계성 122
      • 1 ‘법화육서(法華六瑞)’의 장엄 미학 122
      • 2 ‘영산재’의 ‘법화육서’ 수용과 장엄 미학 128
      • 3 ‘영산재’ 설행 장엄구의 특징 133
      • V ‘영산재’의 문화콘텐츠 개발과 활용방안 147
      • 1 ‘영산재’ 콘텐츠의 가치와 전개 양상 147
      • 2 ‘영산재’ 콘텐츠의 개발과 활용 149
      • 3 ‘영산재’ 콘텐츠의 향유자와 연결성 151
      • 4 ‘영산재’ 장엄활용 문화콘텐츠 현황 157
      • VI 결론 163
      • 참고문헌 168
      • 부록 영산재 장엄 제작과정 175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홍윤식, "『영산재』", 서울; 대원사, 1991

      2 김응기, "『영산재』", 서울; 운주사, 2019

      3 김매자, "한국무용사", 서울; 삼신각, 1995

      4 김응기, "『불교무용』", 서울: 운주사, 2002

      5 예능민속연구실, "『불교의례』", 문화재연구소, ,p.337, 1989

      6 심상현, "『영산작법』", 서울: 불교서원, 2019

      7 윤지영, "오가닉 미디어", Organic Media Lab, 2016

      8 고영혁, 라이언 홀리데이, "『그로스해킹』", 길벗, 2015

      9 이운허, "『묘법연화경』", 서울: 동국역경원, 2005

      10 서정교, "『문화경제학』", 서울: 한올출판사, 2003

      1 홍윤식, "『영산재』", 서울; 대원사, 1991

      2 김응기, "『영산재』", 서울; 운주사, 2019

      3 김매자, "한국무용사", 서울; 삼신각, 1995

      4 김응기, "『불교무용』", 서울: 운주사, 2002

      5 예능민속연구실, "『불교의례』", 문화재연구소, ,p.337, 1989

      6 심상현, "『영산작법』", 서울: 불교서원, 2019

      7 윤지영, "오가닉 미디어", Organic Media Lab, 2016

      8 고영혁, 라이언 홀리데이, "『그로스해킹』", 길벗, 2015

      9 이운허, "『묘법연화경』", 서울: 동국역경원, 2005

      10 서정교, "『문화경제학』", 서울: 한올출판사, 2003

      11 불해 도림, "『법화경총설』", 서울: 법화정사, 2014

      12 차차석, "『법화사상론』", 서울: 운주사, 2005

      13 김종형, "『천수바라춤』", 인천; 민정, 2002

      14 서성운, "『묘법연화경』,", 서울: 호암출판사. 불기 2540, null

      15 홍윤식, "『불교와 민속』", 서울: 현대불교 신서, 1980

      16 김응기, "『영산재 연구』", 서울; 운주사, 1997

      17 김해안, 이영무, "『佛敎思想大全』", 서울: 불교사상사, 1974

      18 김응기, "『불교음악감상』", 서울: 운주사, 2005

      19 심상현, "『불교의식각론』", I, II, 서울; 한국불교출판부, 2000

      20 백 성, "『불교작법 연구』", 서울: 한림원, 2003

      21 이애경, "『영산재 작법무』", 서울; 푸른세상, 2008

      22 서재영, "󰡔선의 생태철학󰡕", 서울 :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7

      23 노명열, "(혜일명조), 『시련』", 민속원, 2016

      24 강명화, "「영산재 식당작법」",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25 불교교재편찬위원회, "『불교사상의 이해』", 서울: 불교시대사, 1997

      26 김종형, "『한국의 불교무용』", 서울; 푸른세상, 2006

      27 김응기, "『한국의 불교음악』", 서울: 운주사, 2005

      28 한만영, "『한국불교음악연구』", 서울; 서울대출판부, 1988

      29 장사훈, "『한국전통무용연구』", 서울; 일지사, 1977

      30 홍윤식, "「불교예술과 영산재」", 『제 6회 영산재국제학술세미나』자료집, 2008

      31 김혜정, 이명진, "『한국무용사의 이해』", 서울; 형설출판사, 2003

      32 성기숙, "한국춤의 역사와 문화재", 서울; 민속원, 2005

      33 데이빗 W. 울프, 임영록, "󰡔흙 한 자밤의 우주󰡕", 서울: 뿌리와 이파리, 2004

      34 이성운, "『천수경, 의궤로 읽다』", 서울: 정우서적, 2011

      35 박범훈, "『한국불교음악사연구』", 합천;장경각, 2000

      36 백원기, "『불교설화와 마음치유』", 서울: 도서출판 동인, 2017

      37 구미래, "『한국불교의 일생의례』", 서울: 민족사, 2012

      38 최종민, "한국전통음악의 미학사상", 서울; 집문당, 2003

      39 심효섭, "「조선 전기 영산재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40 최법혜, "󰡔고려판 선원청규 역주󰡕", 서울: 가산불교문화원출판부, 2001

      41 남희숙, "「조선후기 불서간행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42 이성운, "『한국불교 의례체계 연구』", 서울: 운주사, 2014

      43 김미영, "「불교의 작법춤 특성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44 이성운, "『불교의례, 그 몸짓의 철학』", 서울: 조계종출판사, 2018

      45 곽병찬, "「‘코로나 19 팬데믹의 교훈」", 《불교평론》겨울호(통권 84호), ,12, 2020

      46 신은주, "「불교의식무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1992

      47 고상현, "「영산재의 성립과 전개 고찰」", 『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16

      48 김영렬, "『영산재의 문화콘텐츠 만들기』", 서울: 운주사, 2009

      49 이애경, "「불교무용의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한국여성체육학회, 2002

      50 김의식, "『그림으로 만나는 부처의 세계』", 서울: 운주사, 2007

      51 정혜경, 지역문화콘텐츠 정책과, "「 방향」, 『지역문화와 콘텐츠』", 서울: 한국문 화사, null

      52 심상현,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 영산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53 김호성, "『천수경 이야기』, 서울: 민족사』", 1995

      5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 구조와 전략", 서울: 논형, 2015

      55 이미아, "「食堂 作法에 관한 무용학적 고찰」", 이화여대대학원 석사학위 논 문, 1988

      56 이애경, "「영산재 작법의 무용 미학적 고찰」",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1999

      57 김응기, "(법현), 「영산재 작법무 범패의 연구」", 원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58 안소연, "「영산재 나비춤 춤사위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2

      59 이성운, "「영산재의 독립과 변용의 모범 탐색」", 『정토학연구』 제 33집, 한국정토학 회, 2020

      60 장휘주, "「齎儀 절차와 성격으로 본 齋의 유형」", 『동아시아불교문화』 제 7 집,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1

      61 송연정, "「재의식에 나타난 도량게나비춤 연구」", 동덕여대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00

      62 이용애, "「한국불교 재의식의 설행양상과 불화」",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8

      63 오미경, "「불교무용 나비춤의 예능적 가치 연구」",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64 김재옥, "「불교의식에 있어서 梵唄의 技能 構成」",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3

      65 백원기, "「영산재의 미학적 세계와 게송의 의미」", 『동서비교문학저널』 제 23 호, 한국동서비교문학회, 2010

      66 정병호, 홍윤식, "『영산재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50호』", 문화재관리국, 1982

      67 이성운, "「영산재와 수륙재의 성격과 관계 탐색」", 『한국불교학』 제 73집, 한국불교학회, 2015

      68 이성운, "「영산재의 구조와 사상 및 설행과 인식」", 『제 17차 불교문예연구소 학술세미나』 자료집, 2021

      69 하경목, "「密敎修行의 敎育學的 意義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70 손인애, "「영산재 문화콘텐츠화의 전개 양상과 과제」", 『정토학연구』 27집, 2017

      71 이병옥, "「영산재 작법무 중 <나비춤>의 동작미 분석」", 『傳統文化硏究』제4호, 용인대학교전통문화연구소, 2005

      72 서정매, "「영제 <영산작법> 절차의 시대적 변천 연구」", 공연문화연구 26권0 호,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3

      73 주지현, "「불교의식 법고무의 춤과 가락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4 이현경, "「불교의식이 내재된 한국 무용에 관한 탐색」", 영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5 진광희, "(정수), 「사시불공의 구성과 의의에 대한 고찰」", 『동아시아불교문화』 제 40집, 2019

      76 이양희, "「불교적 관점에서 본 생명윤리 실천방안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제93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18

      77 양소예, "「영산재 나비춤 기본동작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8 곽성영, "「생전예수재의 현장론적 이해와 의례의 축제성」",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79 김응기, "(법현), 「불교무용음악」, 『禪武學術論集』제15집", 국제선무학회, 2005

      80 이기현, "「콘텐츠 산업의 문화정책적 의미와 지평의 탐색」", 『인문콘텐츠』52, 인문콘텐츠학회, 2019

      81 최우정,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 영산재 천수바라춤 연구」", 동국대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82 차차석, "『다시 읽는 법화경: 진정한 믿음과 깨달음의 시작』", 서울: 조계종출 판사, 2010

      83 정승희, "『불교의식무용을 통해서 본 한국무용의 미적 연구』", 서울; 상명사 대출판부, 1981

      84 심갑식, "(정명), 「한국지화 장엄의 특징과 전승에 관한 연구」", 동방문화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85 장재진, "「법화경에 나타난 ‘공간, 장소, 방위’와 정토세계」", 『한국불교학』 제 71집, 한국불교학회, 2014

      86 신용산, "「법화경에 나타난 백호대광(白毫大光)의 상징성 고찰」", 『불교문예 연구』 제 10집,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18

      87 이란숙, "「영산재에 나타난 불교의식 무용의 정신과 형식 연구」", 숙명여대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0

      88 김향금, "『불교무용에 관한 연구-다게작법 의식 구성 중심으로-』", 『禪武 術論集』제13권, 國際禪武學會, 2003

      89 김순미, 틱낫한 , "『내 손안에 부처의 손이 있었네: 틱낫한 스님의 법화경』", 고양: 위즈덤하우스, , p.30, 2014

      90 김종형, "「한국 불교무용의 사상적 의미와 문화예술적 가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91 김응기, "(법현), 「영산재의 음악(범패)」, 『공연문화 연구』 제12집", 한국공연문 화학회, 2006

      92 김향금, "「영산작법 니르바나 공연을 중심으로 한 공연 예술화 과제」", 『선무 학술논문집』 16집, 서울: 국제선무학회, 2006

      93 심상현, "「영산재의 효울적 전승과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에 관한 연구」", 『정토학연구』 제 23집, 2015

      94 차차석, "「천태불성론의 생태학적 탐색 - 특히 일념삼천설을 중심으로」", 『보조사상』Vol.26. 보조사상연구원, 2006

      95 노명열, "(혜일명조), 「현행 생전예수재와 조선불교 생전예수재 비교 고찰」",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6 이성운, "「한국불교 생전예수재의 특성: 회편과 차서와 상례화를 중심으로」", 『정토학연구』통권 제23권, 한국정토학회, 2015

      97 김영렬, "왜 불교문화를 무대 , 「 공연화 해야 하는가?」, 『불교문화연구』4집", 서울: 불교문화학회, 2004

      98 정정희, "「식당작법 무용 구성연구-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중심으로-」",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99 민경환, "「향화게작법 구성에 관한 연구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작법무 중 심으로」",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0 김종형, "「불교무용의 청소년복지 활용방안 연구 :영산제의 바라춤, 나비춤 을 중심으로」", 동국대 불교대학원, 2000

      101 김종형, "「진언과 다라니가 불교무용에 끼친 영향⌟, 『불교평론』 제5권 제2호 통권 제15호", 불교평론사, 2003

      102 박금옥, "「나비춤 自歸依佛作法 動作 연구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영 산재 식당작법 중심으로」", 동국대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03 김응기, "(법현), 「불교예술의 공연화 과제: 뉴욕 공연 영산재를 중심으로」, 『불교문화연구』2집", 서울: 불교문화학회, 2003

      104 박정현, "불교무용 나비춤 동작 , 「 연구 :중요무형문화재 제 50호 영산재 ' 삼남태' 작법무 중심으로」", 동국대 불교문화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7

      105 김교빈, "「문화원형의 개념과 활용」, 『인문콘텐츠』 6, 인문콘텐츠학회, 김난도 외, 「트렌드 코리아 2018」", 미래의 창, 2017,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