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과 서울지역의 성인 남녀 25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36952
서울 :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1
학위논문(석사) --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 중독상담전공 , 2021. 8
2021
한국어
서울
98 ; 26 cm
지도교수: 이문희
I804:11113-2000005094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과 서울지역의 성인 남녀 25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
본 연구는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과 서울지역의 성인 남녀 25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경계선 성격특성 척도, 한국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 척도, 고통감내력 척도, 한국판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각 변인 간 경로를 확인한 다음,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의 이중 매개효과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 간의 상호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경계선 성격특성과 고통감내력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경계선 성격특성과 충동성,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고통감내력은 충동성과 문제음주와 모두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충동성과 문제음주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충동성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넷째, 경계선 성격특성과 문제음주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과 충동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에서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impul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A total of 251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and impulsiv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A total of 251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responding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borderline personality, problem drinking, distress tolerance, impulsivi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3.5. Firs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mpulsivity and problem drinking. Distress tolerance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inpulsivity and problem drinking.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distress tolera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impulsiv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blem drinking, distress tolerance and impulsivity were mediated sequentiall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required for further research were propos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