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하는 지역주민들의 교육적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Nangok communit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00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하는 지역주민들이 어떤 동기로 참여하고, 참여과정에서는 어떤 경험을 하며, 그리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문서자료,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곡마을학교는 문화예술의 불모지인 난곡지역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자 여러 지역단체들이 모여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난곡마을학교의 형성배경에는 기존에 지역단체별로 마을활동을 한 경험과 서울시 ‘마을학교’ 사업과의 연계,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기반이 되었다.
      둘째,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한 지역주민들은 활동주체에 따라 운영위원, 강사, 수강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활동주체별로 참여 동기를 살펴보면, 운영위원의 경우는 난곡지역에서 마을활동을 하고 있는 지역단체를 중심으로 참여하였으며, 강사의 경우는 재능이 있는 지역주민들이 강사로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강생의 경우는 개인적인 필요와 욕구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하는 지역주민들은 참여과정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이 서로 상호작용 되어, 집단 전체가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균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 있는 경험은 지역주민들 간의 새로운 공동체 형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난곡마을학교를 운영하면서 잠재된 난곡지역 주민들의 필요와 욕구를 확인하는 의미 있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반면에 지역주민들은 난곡마을학교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지역주민들과의 의사소통과 지역주민들 간의 공동체 형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지역주민들은 주먹구구식 중간지원조직의 간접지원에 불편함을 겪어야 했고, 향후 난곡마을학교를 지속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많은 애로사항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지역주민들은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하면서 제도권안의 교육과 같은 정형화된 학습이 아닌 생활 속에서 일상적인 학습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지역주민들의 일상적인 학습경험은 학습활동이 지역의 다양한 영역과 맞물리면서 지역주민들의 삶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주민들이 주체적으로 마을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역량 개발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정부의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마을학교가 지역 안에서 공동체적 기능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난곡마을학교 사례는 최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마을학교 및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하는 지역주민들이 어떤 동기로 참여하고, 참여과정에서는 어떤 경험을 하며, 그리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

      본 연구의 목적은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하는 지역주민들이 어떤 동기로 참여하고, 참여과정에서는 어떤 경험을 하며, 그리고 그것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한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문서자료, 참여관찰,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곡마을학교는 문화예술의 불모지인 난곡지역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자 여러 지역단체들이 모여서 형성되었다. 이러한 난곡마을학교의 형성배경에는 기존에 지역단체별로 마을활동을 한 경험과 서울시 ‘마을학교’ 사업과의 연계, 그리고 지역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기반이 되었다.
      둘째,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한 지역주민들은 활동주체에 따라 운영위원, 강사, 수강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활동주체별로 참여 동기를 살펴보면, 운영위원의 경우는 난곡지역에서 마을활동을 하고 있는 지역단체를 중심으로 참여하였으며, 강사의 경우는 재능이 있는 지역주민들이 강사로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강생의 경우는 개인적인 필요와 욕구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참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하는 지역주민들은 참여과정에서의 긍정적인 경험이 서로 상호작용 되어, 집단 전체가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균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의미 있는 경험은 지역주민들 간의 새로운 공동체 형성으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난곡마을학교를 운영하면서 잠재된 난곡지역 주민들의 필요와 욕구를 확인하는 의미 있는 경험을 하기도 한다. 반면에 지역주민들은 난곡마을학교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지역주민들과의 의사소통과 지역주민들 간의 공동체 형성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지역주민들은 주먹구구식 중간지원조직의 간접지원에 불편함을 겪어야 했고, 향후 난곡마을학교를 지속하기 위한 방안 마련에 많은 애로사항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지역주민들은 난곡마을학교에 참여하면서 제도권안의 교육과 같은 정형화된 학습이 아닌 생활 속에서 일상적인 학습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지역주민들의 일상적인 학습경험은 학습활동이 지역의 다양한 영역과 맞물리면서 지역주민들의 삶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역주민들이 주체적으로 마을활동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들의 역량 개발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정부의 지원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마을학교가 지역 안에서 공동체적 기능을 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난곡마을학교 사례는 최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마을학교 및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motivates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Nangok community school, what they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and how they think about the meaning of it. So the researcher did case study targeting local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Nangok community schoo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arious document re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ngok community school is made by many local organizations to solve problems of Nangok area which was a wild land of cultural art. The foundation of Nangok community school is based on the community activity experience of original local organizations, the connection to the ‘community school’ project in Seoul c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econd, local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Nangok community school can be grouped into three: operation committee member, teacher, and learner. Let’s check out motivations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activity subject. The operation committee member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chool from local organization doing community activity in Nangok and talented local residents served as teachers of the community school. The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chool for various goal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needs and desires.
      Third, by accumulating positive experiences of local residents during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Nangok community school, the whole organization reached to the condition that all members joins in voluntarily and actively. These meaningful experiences help local residents make new community. In addition, local residents could identify Nangok residents’ potential needs and desires while operating Nangok community school. On the other hand, local residents ha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local residents and sometimes building relationship among local residents while operating Nangok community school. Furthermore, local residents experienced inconveniences about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ndirect and unplanned support and had hard time establishing long-term plan to keep up the Nangok community school.
      The conclusions, which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ocal residents, while participating in Nangok community school, have an everyday learning experience, not a stereotyped learning style from formal education system. It’s identified that this everyday learning experience affected by many domains in the area formed the life of local residents. Also, competency development should take priority for th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activity autonomously and proper support plan from the government must be followed. Moreover, various methods should be sought for the community school function as a real community. Lastly, this Nangok community school case give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community school and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that local community now proceed wit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motivates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Nangok community school, what they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and how they think about the meaning of it. So the researcher did case study targeting local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motivates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Nangok community school, what they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and how they think about the meaning of it. So the researcher did case study targeting local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Nangok community schoo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arious document re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angok community school is made by many local organizations to solve problems of Nangok area which was a wild land of cultural art. The foundation of Nangok community school is based on the community activity experience of original local organizations, the connection to the ‘community school’ project in Seoul c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econd, local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Nangok community school can be grouped into three: operation committee member, teacher, and learner. Let’s check out motivations of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activity subject. The operation committee member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chool from local organization doing community activity in Nangok and talented local residents served as teachers of the community school. The learner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school for various goal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needs and desires.
      Third, by accumulating positive experiences of local residents during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the Nangok community school, the whole organization reached to the condition that all members joins in voluntarily and actively. These meaningful experiences help local residents make new community. In addition, local residents could identify Nangok residents’ potential needs and desires while operating Nangok community school. On the other hand, local residents ha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local residents and sometimes building relationship among local residents while operating Nangok community school. Furthermore, local residents experienced inconveniences about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indirect and unplanned support and had hard time establishing long-term plan to keep up the Nangok community school.
      The conclusions, which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Local residents, while participating in Nangok community school, have an everyday learning experience, not a stereotyped learning style from formal education system. It’s identified that this everyday learning experience affected by many domains in the area formed the life of local residents. Also, competency development should take priority for th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activity autonomously and proper support plan from the government must be followed. Moreover, various methods should be sought for the community school function as a real community. Lastly, this Nangok community school case gives an important implication to community school and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that local community now proceed wi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 문 초 록 ⅰ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국 문 초 록 ⅰ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3
      • 3. 용어의 정의 4
      • 4.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마을만들기 운동의 전개과정 8
      • 2. 마을공동체의 교육활동 16
      • 3. 선행연구 검토 26
      • Ⅲ. 연구방법 32
      • 1. 연구대상 32
      • 2. 사례연구 33
      • 3. 자료수집 34
      • 4. 자료분석 39
      •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1
      • 1. 난곡마을학교의 형성 41
      • 가. 난곡마을학교 형성배경 41
      • 나. 난곡마을학교 형성과정 48
      • 2. 난곡마을학교 참여 동기 51
      • 가. 운영위원의 참여 동기 51
      • 나. 강사의 참여 동기 52
      • 다. 수강생의 참여 동기 54
      • 3. 난곡마을학교 참여과정에서의 경험 56
      • 가. 지역주민들의 마을학교 참여과정에서 의미 있는 경험 57
      • 나. 지역주민들의 마을학교 참여과정에서 애로사항 70
      • Ⅴ. 결론 및 논의 81
      • 1. 결론 81
      • 2. 논의 및 시사점 83
      • 3. 제언 86
      • 참고문헌 87
      • 부 록 92
      • Abstract 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