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태어나 죽을 때까지 ‘현실’을 산다. 우리가 마주하는 이 세상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인간은 이 ‘현실’이라는 테두리 안에 존재한다. 그러나 완전한 존재가 아닌 인간은 자신의 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79734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 철학과 서양철학전공 , 2024. 8
2024
한국어
미메시스 ; 미적 경험 ; 미적 가상 ; 예술의 진리 ; 예술과 철학 ; Mimeiss ; Aesthetic Experience ; Aesthetic Virtuality ; Truth of Art ; Art and Philosophy
서울
Adorno's Mimesis and the truth of art
i, 70장 : 26 cm
중앙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맹주만
참고문헌수록
I804:11052-00000024298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은 태어나 죽을 때까지 ‘현실’을 산다. 우리가 마주하는 이 세상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인간은 이 ‘현실’이라는 테두리 안에 존재한다. 그러나 완전한 존재가 아닌 인간은 자신의 불...
인간은 태어나 죽을 때까지 ‘현실’을 산다. 우리가 마주하는 이 세상 속에서 어쩔 수 없이 인간은 이 ‘현실’이라는 테두리 안에 존재한다. 그러나 완전한 존재가 아닌 인간은 자신의 불완전함을 끊임없이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완전한 존재가 되기를 무한히 갈망한다. 유한한 인간이 무한함을 꿈꾸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인간이 세상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고 그것을 또한 완전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면 더 이상 인간은 사유하는 노력 없이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오히려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라는 점은 우리가 끊임없이 사유하고자 하는 힘을 갖게 하며, 언젠가 완전한 존재가 되기 위해 그 불완전함을 채우려고 노력하게 만든다. 그 부단한 인간의 날갯짓은 동시에 살아있음을 느끼게 한다. 끊임없이 자신을 채우고, 세상 속에서 사유하며, 새로운 경험에 대해 마주하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가 살아있다는 증거가 된다. 따라서 인간은 살아 있는 한 끊임없이 사유하고, 끊임없이 새로워지려 할 것이다.
인간의 이성의 힘과 인류의 진보를 꿈꿨던 서구 근대 계몽주의는 마치 인간이 자기 스스로 모든 것을 규정할 수 있고 자기 충족적인 것처럼 설명하지만, 오늘날 이것은 조금 더 깊이 생각해보면 ‘살아있는’ 인간을 ‘죽은’ 인간으로 만드는 것과 같다. 더욱이 계몽은 살아있는 존재인 인간의 본질, 즉 끊임없이 사유하고 끊임없이 자신을 채우려고 하는 능동적이고 역동적인 본질을 부질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릴지 모른다. 왜냐하면 이미 자체로 완전하고 더 이상 무엇도 필요로 하지 않는 자기 충족적 존재는 공허하며 자신이 살아있다는 그 생동감을 어디에서도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적어도 우리가 살아있는 인간이기에, 이미 스스로가 자기 자신에게 내재되어 있는 ‘생생함’을 느끼고 있는 한, 우리는 ‘죽은’ 인간이 아닌 ‘살아있는’ 인간으로 남기 위해 늘 사유하고 늘 자신을 새롭게 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아도르노(Th. W. Adorno)는 ‘살아있는’ 인간을 ‘죽은’ 인간으로 만들어버리는 근대 계몽주의를 비판하며 ‘계몽의 계몽’을 꿈꿨다. 그는 우리의 역사가 기술의 엄청난 발전을 얻었으나 동시에 ‘죽은’ 인간으로의 퇴행이라는 결과를 낳았음을 깨달았다. 아도르노는 그 원인을 계몽이 지닌 합리성과 동일성의 원리라는 특징으로 설명한다. 그는 이 합리성과 동일성의 원리가 다양하고 다채로운 생동감을 지닌 인간의 고유성을 파괴하고 동일한 개념 아래에 획일화된 하나의 것으로 종속시켜버림으로써 지배의 이데올로기를 뒷받침한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러한 계몽의 퇴행을 비판하며 살아있는 존재인 인간이 끊임없이 예술과 철학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인간은 자신이 만든 성에 스스로 갇히지 않기 위해 새로운 세상과 마주하고 새로운 경험의 가능성을 만끽할 줄 알아야 한다. 아도르노는 이러한 계몽의 계몽, 진정한 이성의 진보는 그 어느 곳도 아닌 바로 예술에서 찾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그는 예술이 현실에서의 고통을 마주하는 장소이며 ‘부정’을 통한 ‘화해’가 이루어지는 장소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아도르노는 ‘부정’을 통한 ‘화해’의 과정이 계몽의 계몽, 즉 진정한 이성의 진보라고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그가 설명하고자 했던 ‘부정’과 그것을 통한 ‘화해’의 과정이 진정한 이성의 진보임을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서 그의 미메시스 이론으로부터 출발해 예술의 진리에 대한 그의 이론적 설명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아도르노의 저작에서 ‘미메시스’ 개념이 ‘모방(Nachah- mung)’이라는 전통적 의미에서 더욱 확장된, 근대 합리성에 대한 ‘규정된 부정(bestimmte Negation)’으로써 근대 계몽주의의 지배적 합리성에 대한 비판의 기능을 부여받는 과정을 설명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그의 미학 이론을 통해 이 미메시스적 태도가 근대 계몽의 과정에서 배제되고 추방된 이후 예술이 ‘미메시스의 기관’으로 자리잡게 된 과정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왜냐하면 아도르노의 미메시스 개념에서부터 출발하여 이것의 도피처인 예술에까지로 이어진 논의는 그가 거부했던 근대 계몽주의의 동일성 원리에 대한 비판이면서 동시에 계몽이 퇴행하지 않고 진보의 발걸음을 내딛을 수 있도록 하는 대안책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동일성 원리에서 비롯된 서구 문명사의 비극은 예술에서의 ‘비동일성의 구현’이라는 아도르노의 철학적·미학적 과제를 통해서 비극의 극복, 즉 ‘화해’를 향해 나아갈 수 있게 되고, 그가 말하는 “예술은 철학과 더불어 진리 경험의 계기로써 그러한 비동일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인식의 가치를 지니게 된다.” 원준식, 「아도르노의 미메시스론 연구」, 2007, 참고.
본 논문의 2장에서는 전통적인 의미의 예술과 미메시스 개념을 설명한다. 아도르노의 ‘미메시스(Mimesis)’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서 초반부는 그의 미메시스 개념이 있기까지 이전의 전통적인 의미의 예술과 미메시스 개념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고 그로부터 본 논문에서 다루고자 하는 미메시스 개념과 예술에 대해 사전 정의를 하기 위함이다. 아도르노의 미메시스론은 예술을 보다 이론적으로 정초하려고 시도했던 그의 미학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더욱이 아도르노의 철학적·미학적 과제가 미학사에 국한되지 않고 철학과 예술, 그리고 역사적으로도 확장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논의의 출발점을 예술과 미메시스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삼는다.
본 논문의 3장에서는 아도르노의 미메시스론으로부터 시작해 예술에서 미메시스가 합리성을 확보한다는 점을 바탕으로 ‘지배적이지 않은 합리성’의 모델로써 미메시스가 ‘비동일성의 구현’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설명한다. 그에 따라 예술에서의 미메시스적 작동이 ‘비동일성의 구현’으로 동일성 원리 아래의 ‘개념’이라는 범주적 단위로 환원될 수 없는 경험을 미적 경험을 낳고, 동일성 원리 인식에 기초한 이러한 합리성은 미메시스적 반응방식으로써의 미적 경험을 배제하고 추방하려 했으나 역설적이게도 그 합리성이 또한 미적 경험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이 관점을 통해 미적 경험 자체가 동일성 원리 인식에 대한 합리적이고 규정된 부정이며 비판의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살펴보고자 한다.
뒤이어 4장에서는 아도르노 예술의 미적 가상에 대한 개념을 살펴본다. 아도르노의 미적 가상은 예술이 미적 진리를 드러내는 지점이다. 예술이 진리 내용의 담지자라는 그의 주장에서 미적 가상 개념은 핵심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래 가상이라는 말의 의미는 ‘허구’로부터 출발한다. 아도르노는 예술에서의 미적 가상이 미적 진리를 드러내지만 동시에 그것이 허구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몰락하지 않기 위해 미적 가상의 구제를 시도한다. 가상의 구제는 그 자체로 가상인 예술작품이 처한 위기를 극복함으로써 예술이 현실에 대한 규정된 부정·비판임과 동시에 ‘화해’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와 희망을 보여주는 실천적 의의를 갖는다는 것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아도르노가 그의 미학에서 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던 예술의 진리 문제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그는 진정한 예술의 진리는 철학과의 매개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 아도르노에게 예술은 철학의 바깥에 존재하지 않으며 오히려 철학에 본질적이다. 예술과 철학이 서로 관계함에 따라 예술이 사회와 맺고 있는 관계까지도 설명 가능해진다. 마치 사회와 분리되어 추방된 것처럼 보였던 예술작품이 어떤 식으로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지 설명하고 예술이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영역임과 동시에 사회에 의해 매개된 것이기도 하다는 아도르노의 관점은 예술작품을 단지 사회적 요소로 환원하지 않으면서 사회·역사적 의미에서 보다 확장된 인식의 지평을 열어준다. 이러한 아도르노의 접근은 예술과 현실의 관계를 전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umans live 'reality' until they are born and die. Inevitably, humans exist within the framework of this 'reality' in the world we face. However, humans who are not perfect beings constantly strive to overcome their imperfections and yearn to be perfe...
Humans live 'reality' until they are born and die. Inevitably, humans exist within the framework of this 'reality' in the world we face. However, humans who are not perfect beings constantly strive to overcome their imperfections and yearn to be perfect. It is only natural for a finite human to dream of infinity. Humans will no longer be able to live without the effort to think if they can understand everything in the world and also fully accept it. Therefore, the fact that humans are imperfect allows us to have the power to think constantly, and makes us try to fill the imperfections in order to one day become perfect. The constant flapping of human wings makes us feel alive at the same time. To constantly fill ourselves, think in the world, and face new experiences, that is the proof that we are alive. Therefore, as long as we are alive, humans will constantly think and constantly try to be new.
The Western modern Enlightenment, which dreamed of the power of human reason and the progress of mankind, explains as if humans can define everything on their own and are self-fulfilling, but today, if you think a little more deeply, it is like making a 'living' human being a 'dead' human being. Moreover, enlightenment may make the essence of a living being, that is, the active and dynamic essence of constantly thinking and constantly trying to fill oneself, useless. Because a self-fulfilling being that is already complete in itself and no one can feel the vitality of being alive anywhere is empty. At least since we are living humans, as long as we already feel the 'live' inherent in ourselves, we will always think and always try to renew ourselves in order to remain a 'living' human being rather than a 'dead' human being.
Adorno dreamed of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criticizing the modern Enlightenment that made 'living' humans into 'dead' humans. He realized that our history had achieved tremendous advances in technology, but at the same time resulted in a regression to 'dead' humans. Adorno explains the cause as a characteristic of the principle of rationality and identity of enlightenment. He criticized this principle of rationality and identity for supporting the ideology of domination by destroying the uniqueness of humans with diverse and colorful lifestyles and subordinating them to a unified one under the same concept. He criticized this regression of enlightenment and emphasized the constant need for art and philosophy as living beings. Humans must face a new world and enjoy the possibility of new experiences in order not to be trapped in their own castles. Adorno is convinced that this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the progress of true reason, can be found in art, not anywhere else. He explains that art is a place to face pain in reality and that 'reconciliation' takes place through 'denial'. Therefore, Adorno saw that the process of 'reconciliation' through 'denial' was the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that is, the real progress of reaso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his theoretical explanation of the truth of art, starting with his mimesis theory, in order to clarify that the process of 'denial' and 'reconciliation' through it is the real progress of reason.
This paper, first, explains the process of being given the function of criticizing the dominant rationality of the modern Enlightenment as ‘bestimmte negation’ of modern rationality, which extends further from the traditional meaning of ‘Nachahmung’ in Adorno's work. Next, through his Aesthetic Theory, we deal with the process of art becoming an ‘institution of Mimesis’ after this Mimesis attitude was excluded and expelled from the process of modern enlightenment. This is because the discussion that started with Adorno's concept of Mimesis and led to its escape, art, is both a criticism of the principle of identity of the modern Enlightenment that he rejected and an alternative measure that allows the enlightenment to take a step toward progress without regressing. The tragedy in the history of Western civilization, which stems from the principle of identity, can move toward overcoming tragedy, that is, 'reconciliation', through Adorno's philosophical and aesthetic task of 'realization of non-identity' in art, and he says, "Art has the value of recognition that can realize such non-identity as an opportunity for experience of truth along with philosophy." Won Jun-sik, A Study on Adorno’s Theory of Mimesis, 2007.
Chapter 2 of this paper explains the concepts of art and mimesis in the traditional sense. In order to explain Adorno's concept of 'Mimesis', the beginning part is to first explain the art of the traditional meaning and the concept of mimesis until his concept of mimesis, and then to predefine the concept of mimesis and art to be dealt with in this paper. Adorno's theory of mimes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his Aesthetics Theory, which attempted to establish art more theoretically. Moreover, since Adorno's philosophical and aesthetic tasks are not limited to aesthetic history but contain important opportunities to expand into philosophy, art, and history, the starting point of the discussion is used as an explanation of the concept of art and mimesis.
Chapter 3 of this paper explains the process of Mimesis moving toward the realization of non-identity as a model of "non-dominant rationality" based on the fact that Mimesis secures rationality in art, starting with Adorno's Mimesis theory. As a result, the Mimesis operation in art results in an aesthetic experience that cannot be reduced to a categorical unit of "concept" under the principle of non-identity, and this rationality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principle of identity tried to exclude and expel the aesthetic experience as a Mimesis reaction method, but paradoxically, its rationality also opens up the possibility of aesthetic exper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I would like to examine that aesthetic experience itself is a rational, prescribed denial of the recognition of the principle of identity, and plays a role of criticism.
Next, in Chapter 4, I will discuss the concept of the aesthetic imagination of Adorno art. Adorno's aesthetic imagination is the point where art reveals the aesthetic truth. In his argument that art is a carrier of the content of the truth, the aesthetic virtual concept can be said to be a core concept. Originally, the meaning of the word virtual begins with 'falsehood'. Adorno attempts to remedy the aesthetic virtual reality in art in order to reveal the aesthetic truth but at the same time not to collapse into nothing more than fiction.
Finally, in Chapter 5, I will discuss the truth problem of art that Adorno ultimately tried to solve in his aesthetics. He thought that the true truth of art could be obtained through the mediation of philosophy. For Adorno, art does not exist outside philosophy but is rather essential to philosophy. As art and philosophy relate to each other, it becomes possible to explain the relationship that art has with society. It explains how works of art, which seemed to be expelled from society,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ety, and Adorno's view that art is both an independent and autonomous area and mediated by society opens up a broader horizon of perception in the social and historical sense, without reducing works of art to just social elements. We examine that Adorno's approach provides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reality more broadly than befo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