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이동 편의를 위한 모바일 지도 앱의 UX 디자인 = Designing Mobile Map App UX to Improve Transit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with Wheelchai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8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enactment of the 「The Mobility Enhancement for the Mobility Impaired Act」, each local government have been continuing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transit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with wheelchairs, but improvements in the practical...

      Since the enactment of the 「The Mobility Enhancement for the Mobility Impaired Act」, each local government have been continuing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transit convenience for the disabled with wheelchairs, but improvements in the practical aspects of the facility, such as the actual usability quality and occupancy satisfaction, have been relatively slow.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attempts to collect accessibility information through crowd sourcing in the mobile map app, the lack of service areas and information volumes has not overcome the limits of persistence. Thus, there is no service available to enable movement of disabled with wheelchairs.
      This study identified the pain points and requirements of the disabled with wheelchairs through user research to design and evaluate map app prototype for their transit conveience. As a result, the four factors of pain point experience – facilities/environment, non-predictability, individuality and sensibility – were derived and used for analyzing map app cases for wheelchair users. This study also evaluated the prototype and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bility of wheelchair users easily, even without deteriorating the usability of existing apps.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suggested meausres that can be empathized by the user and substantially enhance the transit convenie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제정으로 각 지자체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이동 편의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지원 시설물의 실제적 사용성 품질이나 탑승 만족도 등 ...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제정으로 각 지자체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이동 편의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지원 시설물의 실제적 사용성 품질이나 탑승 만족도 등 경험적 측면에서의 향상은 상대적으로더딘 편이다. 모바일 지도 앱 역시 크라우드 소싱으로 접근성 정보를 수집하려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지만, 서비스 제공 지역 및 정보 양 부족으로 인해 지속성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휠체어사용 장애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는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용자 조사를 통해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페인포인트와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이동 편의를 위한 지도 앱 프로토타입을 제작 및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시설/ 환경, 비예측성, 개별성, 감성의 4가지 이동 페인포인트 경험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지도 앱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사용자를 대상으로 프로토타입을 평가하여 기존 앱의 사용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도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이동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사용자가 공감할 수있고, 실질적으로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실용적인 의의를 가진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정아, "휠체어 탑승 가능 시외버스의 도입에 따른 휠체어장애인의 이동권 문제 고찰" 한국교통연구원 250 : 16-20, 2018

      2 김지해, "지체 장애인의 휠체어 디자인을 위한 정성적 사용자 조사 방법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141-153, 2018

      3 남병준, "장애인 이동권의 현황과 과제"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174 : 22-27, 2013

      4 정상윤,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35 (35): 117-125, 2019

      5 권지영,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통행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534-541, 2013

      6 허병무, "능동형 보행 보조기기 디자인" 대한기계학회 55 (55): 41-44, 2015

      7 김문기, "교통약자의 이동편익을 위한 영상정보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 89-92, 2010

      8 김지연,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위한 온ㆍ오프라인 접근성 지도 사례분석" 한국디자인학회 176-177, 2018

      9 윤대식, "교통약자의 유형별 통행특성 및 통행수단 선택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경산시를 사례로" 국토연구원 66 : 25-45, 2010

      10 류경신,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이용 편의성 향상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철도학회 125-130, 2015

      1 장정아, "휠체어 탑승 가능 시외버스의 도입에 따른 휠체어장애인의 이동권 문제 고찰" 한국교통연구원 250 : 16-20, 2018

      2 김지해, "지체 장애인의 휠체어 디자인을 위한 정성적 사용자 조사 방법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4 (24): 141-153, 2018

      3 남병준, "장애인 이동권의 현황과 과제" 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 174 : 22-27, 2013

      4 정상윤,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보행환경 조성을 위한 보행환경 평가 연구" 대한건축학회 35 (35): 117-125, 2019

      5 권지영, "도시철도를 이용하는 교통약자의 통행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534-541, 2013

      6 허병무, "능동형 보행 보조기기 디자인" 대한기계학회 55 (55): 41-44, 2015

      7 김문기, "교통약자의 이동편익을 위한 영상정보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 89-92, 2010

      8 김지연, "교통약자의 이동편의를위한 온ㆍ오프라인 접근성 지도 사례분석" 한국디자인학회 176-177, 2018

      9 윤대식, "교통약자의 유형별 통행특성 및 통행수단 선택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경산시를 사례로" 국토연구원 66 : 25-45, 2010

      10 류경신,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이용 편의성 향상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철도학회 125-130, 2015

      11 정승연, "교통약자를 위한 지하철 네비게이션 앱 디자인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812-813, 2018

      12 정동영, "교통약자를 위한 보행자 경험 체계 제안" 대한산업공학회 43 (43): 361-371, 2017

      13 이호숭, "교통약자를 위한 경로안내도 디자인" 한국디자인학회 25 (25): 153-164, 2012

      14 김원호, "교통약자 이동권 보장을 위한 첨단 교통서비스 전략" 국토연구원 354 : 33-42, 2011

      15 김원호, "교통약자 유형별 이동행태분석 및 맞춤형 대중교통정보제공방안 연구" 서울연구원 9 (9): 105-119, 2008

      16 Hassan, A. K., "Personalized accessibility map (PAM)" Taylor&Francis 20 (20): 99-108, 2014

      17 Park, H., "Improving mobile accessibility based on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the visually impaired" 대한인간공학회 275-280, 2016

      18 Lee, M., "Identifying User Experience Eleme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178-180, 2015

      19 Lee, M., "Developing UX Elements for Disabled People based on Literature Survey" 대한인간공학회 162-166, 2014

      20 Lee, M., "Developing UX Elements for Disabled People based on Literature Survey" 대한인간공학회 162-166, 2014

      21 Sze, N. N, "Access to urban transportation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lsevier 41 (41): 66-73, 2017

      22 국토교통부, "2017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2018

      23 국토교통부, "2017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최종보고서"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5 0.05 0.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1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