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정용,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2 중앙문화재연구원,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및 생활권 2-4지역 내 저습8유적(북쪽)연기 나리성리유적" 2015
3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및 생활권 2-4지역 내 저습7·8유적(남쪽)연기 나성리유적" 2015
4 이홍종, "한신대학교박물관 20년의 발자취" 한신대학교박물관 2010
5 정수옥, "한솔동 백제고분군의 역사성과 그 가치" 백제학회 2021
6 성정용, "한솔동 백제고분군의 역사성과 그 가치" 백제학회 2021
7 백제학회, "한솔동 백제고분군의 역사성과 그 가치" 2021
8 양기석, "한국사6-백제" 1995
9 박현숙, "학술회의 / 백제 웅진시대와 공주 공산성 : 웅진 천도와 웅진성" 백제문화연구소 (30) : 117-132, 2001
10 조범환, "중국인 유이민의 백제 귀화와 정착 과정에 대한 검토-「陳法子墓誌銘」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9) : 7-36, 2015
1 성정용,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려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2009
2 중앙문화재연구원,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및 생활권 2-4지역 내 저습8유적(북쪽)연기 나리성리유적" 2015
3 한국고고환경연구소,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및 생활권 2-4지역 내 저습7·8유적(남쪽)연기 나성리유적" 2015
4 이홍종, "한신대학교박물관 20년의 발자취" 한신대학교박물관 2010
5 정수옥, "한솔동 백제고분군의 역사성과 그 가치" 백제학회 2021
6 성정용, "한솔동 백제고분군의 역사성과 그 가치" 백제학회 2021
7 백제학회, "한솔동 백제고분군의 역사성과 그 가치" 2021
8 양기석, "한국사6-백제" 1995
9 박현숙, "학술회의 / 백제 웅진시대와 공주 공산성 : 웅진 천도와 웅진성" 백제문화연구소 (30) : 117-132, 2001
10 조범환, "중국인 유이민의 백제 귀화와 정착 과정에 대한 검토-「陳法子墓誌銘」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탐구학회 (19) : 7-36, 2015
11 정재윤, "웅진시대 백제 정치사의 전개와 그 특성"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12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연기 송원리 유적" 2010
13 강종원, "수촌리 백제고분군 조영세력 검토" 백제연구소 (42) : 39-60, 2005
14 이남석, "수촌 고분군과 백제의 웅진천도" 웅진사학회 11 : 2006
15 조은하, "송원리고분군 출토 백제토기 연구" 한국고대학회 (33) : 301-343, 2010
16 金聖洙, "세종지역의 3~5세기 묘제 연구" 공주대학교 2018
17 호서고고학회, "세종시,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2013
18 이훈, "세종시,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호서고고학회 2013
19 강동석, "세종시 일원 유적과 경관 변화-청동기시대~삼국시대를 중심으로" 호서고고학회 2021
20 한국고고환경연구소, "세종 나성리 유적" 2018
21 정재윤, "사비 천도의 배경과 시행 과정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학회 (55) : 39-66, 2018
22 최창희, "부강 포구의 백길, 철도 그리고 상인" 세종특별자치시·국립민속박물관 2016
23 김수태, "백제의 천도" 한국고대사학회 36 : 19-64, 2004
24 최욱진, "백제의 웅진 천도 배경과 천도지 선정과정 검토" 백산학회 (94) : 69-106, 2012
25 박순발, "백제의 왕권은 어떻게 강화되었나 -한성백제의 중앙과 지방"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 2014
26 정재윤, "백제의 서산 지역 진출과 운영" 호서사학회 (72) : 367-405, 2014
27 서영일, "백제의 사회경제와 과학기술"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07
28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계획도시, 세종나성동" 2020
29 허의행, "백제의 계획도시, 세종 나성동" 국립공주박물관 2020
30 최장렬, "백제의 계획도시 세종 나성동" 국립공주박물관 2020
31 성정용, "백제의 계획도시 세종 나성동" 국립공주박물관 2020
32 윤선태, "백제사비도성과 우이-목간으로 본 사비도성의 안과 밖" 충청문화재연구원 2 : 2006
33 서오선, "백제문화 국제학술 세미나 특집 : 웅진시대 백제문화의 재조명 / 천도이전의 웅진지역문화" 백제문화연구소 (26) : 19-24, 1997
34 이남석, "백제문화 국제학술 세미나 특집 : 웅진시대 백제문화의 재조명 / 웅진지역 백제유적의 존재의미 - 백제의 웅진천도와 관련하여 -" 백제문화연구소 (26) : 25-52, 1997
35 권오영, "백제 한성기의 도성과 지방도시" 중부고고학회 11 (11): 85-110, 2012
36 盧重國, "백제 정치사 연구" 일조각 1988
37 강종원, "백제 국가권력의 확산과 지방" 서경문화사 2012
38 박윤우, "백제 沙氏 세력의 부상과 세력 기반" 백제학회 (35) : 5-30, 2021
39 이영철, "백제 地方都市의 성립과 전개 - 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사학회 (81) : 107-151, 2016
40 이현숙, "금강 유역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의 교류와 지역권" 한국고대사학회 (73) : 79-124, 2014
41 성정용, "馬韓·百濟地域 墳丘墓의 出土遺物과 性格" 한국고대학회 (49) : 67-87, 2016
42 박초롱, "禰氏 一族의 백제 이주와 성장" 한국목간학회 (23) : 125-149, 2019
43 강유나, "百濟의 大木岳郡 設置 背景과 그 性格-天安 龍院里 勢力을 중심으로-" 백제학회 (32) : 29-54, 2020
44 朴信映, "百濟 穹窿形 石室의 構造와 變遷"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5
45 강종원, "百濟 熊津奠都와 貴族勢力의 動向" 한국고대사학회 (52) : 313-352, 2008
46 강종원, "百濟 沙氏勢力의 中央貴族化와 在地基盤" 백제연구소 (45) : 19-36, 2007
47 강종원, "百濟 左將의 政治的 性格" 29 : 1999
48 兪元載, "熊津百濟史硏究" 주류성 1997
49 李基白, "熊津時代 百濟의 貴族勢力" 9 : 1978
50 盧重國, "漢城百濟의 沒落과 首都 移轉"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64 : 2004
51 이홍종 ; 허의행, "漢城百濟期 據點都市의 構造와 機能 - 羅城里遺蹟을 中心으로 -" 백제연구소 (60) : 87-118, 2014
52 호서고고학회, "『세종의 과거와 현재』15년간의 발굴 성과와 과제" 2021
53 이현숙, "『세종의 과거와 현재』15년간의 발굴 성과와 과제" 호서고고학회 2021
54 정재윤, "4~5세기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 고구려발해학회 44 : 59-89, 2012
55 盧重國, "4~5世紀 百濟의 政治運營" 6 : 1994
56 신경애, "4-5세기 백제 지방세력의 동향 : 웅진천도 전후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