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립공주박물관, 2006
2 가경고고학연구소, "천안 GM자동차 부품배송센터 신축사업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부분완료 약식보고서" 2014
3 권오영, "정지산유적과 백제의 喪葬儀禮" 국립공주박물관 1998
4 이병호, "웅진·사비기 백제 왕실의 조상 제사 변천" 한국고대학회 (55) : 5-38, 2018
5 금강고고학연구소, "아산 갈매리 대지조성 사업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 아산 갈매리 목책유적" 2014
6 이남석, "송산리 고분군" 서경문화사 2010
7 정치영, "석촌동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의 구조와 성격" 중부고고학회 20 (20): 67-89, 2021
8 이찬희, "석수, 지석의 岩種同定과 해석, In 무령왕릉신보고서Ⅲ" 국립공주박물관 2014
9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서천 본산리유적 발굴(시굴)조사 개략보고서" 2015
10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제사유적 艇止山" 1999
1 국립공주박물관, 2006
2 가경고고학연구소, "천안 GM자동차 부품배송센터 신축사업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부분완료 약식보고서" 2014
3 권오영, "정지산유적과 백제의 喪葬儀禮" 국립공주박물관 1998
4 이병호, "웅진·사비기 백제 왕실의 조상 제사 변천" 한국고대학회 (55) : 5-38, 2018
5 금강고고학연구소, "아산 갈매리 대지조성 사업부지 내 문화재 발굴조사 아산 갈매리 목책유적" 2014
6 이남석, "송산리 고분군" 서경문화사 2010
7 정치영, "석촌동 1호분 북쪽 연접적석총의 구조와 성격" 중부고고학회 20 (20): 67-89, 2021
8 이찬희, "석수, 지석의 岩種同定과 해석, In 무령왕릉신보고서Ⅲ" 국립공주박물관 2014
9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서천 본산리유적 발굴(시굴)조사 개략보고서" 2015
10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의 제사유적 艇止山" 1999
11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백제의 국제성과 무령왕" 2011
12 장수남, "백제 무령왕의 빈례 절차 연구" 백제연구소 (69) : 71-104, 2019
13 정재윤 ; 박초롱, "문헌 및 고고자료를 통해 본 고대 장송의례 - 백제를 중심으로 -" 백제학회 (31) : 29-53, 2020
14 김상렬, "무령왕릉에 보이는 상장 : 빈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2
15 조유전, "무령왕릉발굴20주년기념학술회의특집 : 송산리 방단계단형무덤에 대하여" 백제문화연구소 (21) : 43-59, 1991
16 齊東方, "무령왕릉과 동아시아 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4
17 권오영, "무령왕릉 출토 진묘수의 계보와 사상적 배경, In 무령왕릉-출토 유물 분석 보고서(Ⅱ)" 국립공주박물관 2006
18 정재윤, "무령왕릉 지석의 새로운 해석" 국립공주박물관 2018
19 권오영, "무령왕릉 다시보기" 한성백제박물관 2019
20 이장웅, "무령왕릉 다시보기" 2019
21 한성백제박물관, "무령왕릉 다시보기" 2019
22 신준, "무령왕릉 다시보기" 2019
23 조윤재, "무령왕릉 다시보기" 한성백제박물관 2019
24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기초자료집"
25 국립공주박물관, "무령왕릉 1971-2021 발굴50년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2021
26 강원표, "무령왕릉 1971-2021 발굴50년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국립공주박물관 2021
27 권오영, "고대 한국의 喪葬儀禮" 20 : 2000
28 "陳書"
29 小林仁, "鎭墓獸―고대 동아시아 무덤의 수호신" 국립공주박물관 2018
30 박중환, "金石文을 통해서 본 백제인의 來世觀" 호남사학회 (29) : 27-56, 2007
31 "讀禮通考"
32 이남석, "艇止山" 국립공주박물관 1999
33 "舊唐書"
34 王志高, "百濟武寧王陵形制結構的考察" (財)忠清文化財研究院 (創刊) : 2005
35 王志高, "百濟武寧王陵出土文物二題, In 베일에 싸인 백제사의 열쇠 공주 송산리고분군" 공주시·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국립공부박물관 2021
36 忠淸南道, "百濟 武寧王陵" 1991
37 국립공주박물관, "百濟 斯麻王"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1
38 이남석 ; 이현숙, "百濟 喪葬儀禮의 硏究 - 錦江流域 상장의례 遺蹟의 意味 -" 백제문화연구소 (54) : 311-336, 2016
39 宋 松, "漢嵩山太室闕銘拓本版本" 2020
40 趙海洲, "漢代陵墓前的闕門及其起源探討" (6) : 2005
41 浙江省文物管理委員會, "浙江瑞安桐溪與蘆蒲古墓清理" (10) : 1960
42 鄒厚本, "江蘇考古五十年" 南京出版社 2000
43 王志高, "江蘇南京市白龍山南朝墓" (1) : 1998
44 南京市博物院, "江蘇丹陽胡橋南朝大墓及磚刻壁畫" (2) : 1974
45 金吉植, "氷庫를 통해 본 公州 艇止山遺蹟의 性格" 韓國考古美術硏究所 12 : 2001
46 국립공주박물관, "武寧王陵과 東亞細亞文化" 2001
47 공주시, "武寧王陵 새로운 반세기를 준비하며" 2020
48 文化公報部 文化財管理局, "武寧王陵 發掘調査報告書" 1973
49 張寅成, "武寧王陵 墓誌를 통해 본 百濟人의 生死觀"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32 : 2000
50 武昌市革委會文化局文物工作組, "武昌吳家灣發掘一座古墓" (6) : 1975
51 陸建方, "梁朝桂陽王蕭象墓" (8) : 1990
52 "梁書"
53 "梁典"
54 국립공주박물관, "松山里 古墳群 基礎資料集 解說"
55 "建康實錄"
56 傅熹年, "唐長安大明宮含元殿原狀的探討" (7) : 1973
57 金吉植, "古代의 氷庫와 喪葬禮" 한국고고학회 47 : 137-176, 2002
58 조윤재, "古代 中國 鎭墓獸의 變容과 武寧王陵 鎭墓獸 再論" 백제연구소 (69) : 49-70, 2019
59 "南齊書"
60 張寅成, "南朝의 喪禮 硏究"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32 : 2000
61 南京市博物館總館, "南朝真跡南京新出南朝磚印壁畫墓與磚文精選" 江蘇鳳凰美術出版社 2016
62 王志高, "南朝帝王陵寢初探" (4) : 1999
63 "南史"
64 羅宗真, "南京西善橋油坊村南朝大墓的發掘" (6) : 1963
65 薑林海, "南京西善橋南朝墓" (11) : 1993
66 南京市博物院, "南京西善橋南朝墓" (1) : 1997
67 許志強, "南京獅子沖南朝大墓墓主身份的探討" (4) : 2015
68 南京博物院, "南京棲霞山甘家巷六朝墓群(M6)" (5) : 1976
69 阮國林, "南京梁桂陽王肖融夫婦合葬墓" (12) : 1981
70 南京市文物研究所, "南京梁平王蕭偉墓闕發掘報告" (7) : 2002
71 邵磊, "南京市靈山南朝墓發掘簡報" (11) : 2012
72 周保華, "南京市雨花台區西善橋南朝劉宋墓" (4) : 2013
73 李蔚然, "南京太平門外劉宋明曇憘墓" (1) : 1976
74 霍華, "南京堯化門南朝梁墓發掘簡報" (12) : 1981
75 南京市博物院, "南京堯化門南朝梁墓發掘簡報" (12) : 1981
76 尤振克, "南京博物院江蘇丹陽縣胡橋、建山兩座南朝墓葬" (2) : 1980
77 南京市博物館, "南京南郊六朝謝珫墓" (5) : 1998
78 劉振東, "冥界的秩序中國古代墓葬制度概論" 文物出版社 2015
79 王志高, "六朝建康城發掘與研究" 江蘇人民出版社 2015
80 王志高, "六朝帝王陵寢論述" 20 (20): 2004
81 "六朝事蹟編類"
82 李漢祥, "公州 艇止山遺蹟과 編年과 性格" 국립공주박물관 1998
83 尹根一, "公州 宋山里 古墳 發掘調査 漑報" 문화재관리국 (21) : 1988
84 임영진, "公州 宋山里 D地區 積石遺構의 性格" 백제문화연구소 1 (1): 109-128, 2013
85 楊 寬, "中國古代陵寢制度史研究" 上海古籍出版社 1985
86 劉敦楨, "中國古代建築史" 中國建築工業出版社 1983
87 (財)東邦文化財研究院, "世宗 坪基里 遺跡" 2015
88 Albert E. Dien, "Six Dynasties Civilization"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