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우울 및 불안의 관계 : 사회적 지지를 통한 양육스트레스의 조절된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arenting Str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9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this mediation process stress i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154 married immigrant women in a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Second,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anxiety. Thir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Fourth,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anxiety. Our findings suggest that culturally sensitive and family-focused support interventions could be effective in addressing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this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Additionally, the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this mediation process stress is moderated by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154 married immigrant women in a metropolitan city participated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Second, parenting str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anxiety. Third,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depression. Fourth, social suppor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anxiety. Our findings suggest that culturally sensitive and family-focused support interventions could be effective in addressing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승은 ; 김두섭,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 및 경제활동과 우울증: 일본, 중국, 베트남 아내의 비교" 한국인구학회 31 (31): 131-158, 2008

      2 이경숙 ; 정경미 ; 박진아 ; 김혜진,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축약형(Korean version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363-377, 2008

      3 진미경 ; 조유진,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4 (14): 77-89, 2011

      4 서보준 ; 김근혜,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가활동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13 (13): 823-838, 2022

      5 여성가족부, "제 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6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학지사 2015

      7 최유리 ; 하은혜,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22 (22): 21-34, 2019

      8 김현경, "이주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385-409, 2009

      9 이인정, "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우울에 대한 영향 요인: 저소득층과 중산층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1 (31): 27-43, 2014

      10 김범준, "외국인노동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2018

      1 차승은 ; 김두섭, "혼인이주 여성의 출산 및 경제활동과 우울증: 일본, 중국, 베트남 아내의 비교" 한국인구학회 31 (31): 131-158, 2008

      2 이경숙 ; 정경미 ; 박진아 ; 김혜진,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축약형(Korean version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K-PSI-SF)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여성심리학회 13 (13): 363-377, 2008

      3 진미경 ; 조유진,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14 (14): 77-89, 2011

      4 서보준 ; 김근혜,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가활동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13 (13): 823-838, 2022

      5 여성가족부, "제 3차 다문화가족정책 기본계획(2018~2022)"

      6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학지사 2015

      7 최유리 ; 하은혜, "정신장애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 22 (22): 21-34, 2019

      8 김현경, "이주 근로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2 (22): 385-409, 2009

      9 이인정, "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우울에 대한 영향 요인: 저소득층과 중산층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31 (31): 27-43, 2014

      10 김범준, "외국인노동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2018

      11 최나야 ; 우현경 ; 정현심 ; 박혜준 ; 이순형, "영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가정과삶의질학회 27 (27): 255-268, 2009

      12 고은비, "영유아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3 이안나 ; 강영신, "여성결혼이민자의 지각된 차별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28 (28): 71-91, 2023

      14 이성순 ; 이종복,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보건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대전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4) : 79-113, 2013

      15 임혁,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4) : 189-221, 2010

      16 박민희 ; 양숙자 ; 지연경,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29 (29): 298-311, 2015

      17 김연수,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229-256, 2012

      18 김영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호남대학교 2017

      19 김영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와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와 자녀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4 (14): 521-536, 2023

      20 위지희 ; 채규만, "양육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4 (34): 945-970, 2015

      21 권애란 ; 홍창희, "아동기 신체학대와 자살의 관계에서 PTSD 증상, 우울 및 사회적 지지의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34 (34): 897-929, 2022

      22 양옥경 ; 김연수,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6) : 79-110, 2007

      23 신준섭,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37 : 241-269, 1999

      24 문영경, "사회적 지원이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30 (30): 165-177, 2012

      25 박소은 ; 이채원,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8) : 359-384, 2012

      26 나란볼락 ; 유금란,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이주민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7 (27): 35-49, 2021

      27 이승종, "문화이입과정 스트레스와 유학생의 신념체계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9 : 157-176, 1996

      28 정기선 ; 한지은,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회 32 (32): 87-114, 2009

      29 임수진 ; 오수성 ; 한규석,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요인 -광주․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14 (14): 515-528, 2009

      30 이발래 ; 오영섭, "국내 이주민의 정신건강 법률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753-760, 2018

      31 행정안전부, "국내 거주 외국인주민 수 215만 명, 발표 이래 첫 감소"

      32 이혜경 ; 전혜인,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18 (18): 413-432, 2013

      33 남지혜 ; 홍달아기, "결혼이주여성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문화적응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7 (27): 101-125, 2022

      34 최수안 ; 오영섭,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동향 탐색"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38) : 273-300, 2021

      35 찐티하이, "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특성이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2019

      36 조인주 ; 현안나,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영향요인들의 구조적 관계 분석 - 문화변용과 적응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177-206, 2012

      37 전경숙,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관련요인" 한국정신간호학회 26 (26): 402-411, 2017

      38 프리만, 트로이 크리스찬 ; 안정신, "결혼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문화적응스트레스, 양육효능감과 유아기질의 영향: 중국, 베트남, 일본 여성 비교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27 (27): 73-95, 2023

      39 홍은미 ; 신승연,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다문화평화연구소 9 (9): 101-121, 2015

      40 박명숙,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46) : 1-23, 2014

      41 박현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및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내재화문제에 미치는 종단매개효과분석: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7 : 353-376, 2014

      42 이미경 ; 안상근, "결혼이주여성 배우자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50 (50): 155-181, 2018

      43 신준옥,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다문화평화연구소 10 (10): 175-196, 2016

      44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 요강"

      45 Doma, H.,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of humanitarian migrants resettled in Australia" 22 (22): 1739-, 2022

      46 Rotenberg, V., "The subjective estimation of integration into a new society and the level of distress" 16 (16): 117-123, 2000

      47 Zimet, G. D.,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52 (52): 30-41, 1988

      48 Park, G. A.,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parental stress and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2022 : 2022

      49 Schaefer, C., "The health-related functions of social support" 4 (4): 381-406, 1981

      50 Bitsika, V.,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14 (14): 151-161, 2004

      51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52 Wang, X., "Social support moderates stress effects on depression" 8 (8): 1-5, 2014

      53 Derogatis, L. R., "SCL-90-R : Administration, Scoring, and Procedures Manual-II" Clinical Psychometric Research 1983

      54 Biddle, B. J., "Recent developments in role theory" 12 (12): 67-92, 1986

      55 Hayes, A. F., "Process macro를 이용한 매개분석 조절분석 및 조절된 매개분석" 신영사 2015

      56 Gallagher, 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morbidity in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33 (33): 1129-1136, 2008

      57 Lazarus, R. S., "Perspectives in Interactional Psychology" Plenum 287-327, 1978

      58 Leyendecker, B., "Parenting in a new land" 23 (23): 57-71, 2018

      59 Abidin, R. R., "Parenting Stress Index (PSI) Manual (3rd ed)"

      60 이형권, "PROCESS macro를 이용한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신영사 2020

      61 Aiken, L. S., "Multiple Regression :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Sage Publication 1991

      62 Cariello, A. N., "Moderating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 between discrimination and health via depression in Latinx immigrants" 10 (10): 98-, 2022

      63 Bhugra, D., "Migration and mental health" 109 (109): 243-258, 2004

      64 Chaudhry, T., "Mental illness stigmas in South Asian Americans : A cross-cultural investigation" 10 (10): 154165-, 2019

      65 Schouler-Ocak, M., "Mental health of migrants" 62 (62): 242-, 2020

      66 Drew, L. M., "Inter-generational role investments of greatgrandparents : consequenc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24 (24): 95-111, 2004

      67 SmithBattle, L., "Gaining ground from a family and cultural legacy : A teen mother's story of repairing the world" 47 (47): 521-535, 2008

      68 Abidin, R. R., "Forensic Uses of Clinical Assessment Instruments" Routledge 346-379, 2013

      69 Gjesfjeld, C. D., "Econo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maternal depression : Is social support deterioration occurring?" 34 (34): 135-143, 2010

      70 Sandhu, D. S.,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s : Preliminary findings" 75 (75): 435-448, 1994

      71 Xu, X., "Cultural, human, and social capital as determinants of corporal punishment : Toward an integrated theoretical model" 15 (15): 603-630, 2000

      72 He, H., "Cultural roots of parenting : Mothers’parental social cognitions and practices from western US and Shanghai/China" 12 : 2021

      73 Berry, J. W., "Comparative studies of acculturative stress" 21 (21): 491-511, 1987

      74 Hovey, J. D., "Cognitive, affective, and physiological expressions of anxiety symptomatology among Mexican migrant farmworkers : Predictors and generational differences" 38 : 223-237, 2002

      75 Liu, J. L., "Asian American adolescents' mental health literacy and beliefs about helpful strategies to address mental health challenges at school" 59 (59): 2062-2084, 2022

      76 Liem, A., "Acculturative stress and coping among migrant workers : A global mixed-methods systematic review" 13 (13): 491-517, 2021

      77 Kiang, L., "Acculturation conflict, cultural parenting self-efficacy, and perceived parenting competence in Asian American and Latino/a families" 56 (56): 943-961, 2017

      78 Feeney, B. C., "A new look at social support : A theoretical perspective on thriving through relationships" 19 (19): 113-147, 2015

      79 통계청, "2021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