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건·복지계열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14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건·복지전공 대학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 학업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대학에서 보건․복지계열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임의표본추출방식을 통해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자기기입식 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29명을 분석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요인과 학업스트레스 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 요인과 대학생활적응 간에 부분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스트레스는 보건·복지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요인에 대해 완충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친구, 가족, 교수 등의 다양한 사회적 지지 체계의지지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낮추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건·복지전공 대학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 학업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본 연구는 보건·복지전공 대학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적응 사이에 학업스트레스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상남도 G지역과 J지역 대학에서 보건․복지계열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임의표본추출방식을 통해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 자기기입식 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229명을 분석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요인과 학업스트레스 요인이 대학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가 사회적 지지 요인과 대학생활적응 간에 부분매개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스트레스는 보건·복지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 요인에 대해 완충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생의 친구, 가족, 교수 등의 다양한 사회적 지지 체계의지지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학업스트레스 정도를 낮추면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결과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im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s factor of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s in health or social welfare on their college adjustment and whether or not academic stress would perform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s factor and college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health or social welfare in Gyeongsang Namdo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s factor and academic stress factor of the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ge adjustment. Second, the academic stress factor was found to hav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s factor and college adjust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academic stress factor played a buffering role in the social supports factor that affected the college adjustment of the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im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s factor of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s in health or social welfare on their college adjustment and whether or not academic stress would perform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

      This study is aim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social supports factor of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s in health or social welfare on their college adjustment and whether or not academic stress would perform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s factor and college adjust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college students who majored in health or social welfare in Gyeongsang Namdo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 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orm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s factor and academic stress factor of the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ollege adjustment. Second, the academic stress factor was found to have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s factor and college adjust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academic stress factor played a buffering role in the social supports factor that affected the college adjustment of the college stud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근거
      • Ⅲ.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근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과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빛누리,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 불안과 경험적 회피의 이중매개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용래, "학습자스트레스, 학교적응(대처) 및 학업성적" 21 : 5-31, 2004

      3 오지연,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자기효능감, 소진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6

      4 구승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25-237, 2011

      5 신현숙,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적응과의 관계" 9 (9): 189-225, 2001

      6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14-23, 2010

      7 박효정,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15 (15): 513-521, 2008

      8 김지현,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의 매개적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217-232, 2011

      9 이희영, "양육 행동과 대학생활적응 : 문화성향의 중재 효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37-355, 2008

      10 서미,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7 (7): 271-288, 2006

      1 김빛누리, "학업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 불안과 경험적 회피의 이중매개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2 김용래, "학습자스트레스, 학교적응(대처) 및 학업성적" 21 : 5-31, 2004

      3 오지연, "치위생(학)과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자기효능감, 소진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6

      4 구승신,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1 (11): 225-237, 2011

      5 신현숙,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적응과의 관계" 9 (9): 189-225, 2001

      6 박현주, "일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 우울, 대처방법과 임상실습 만족도" 한국간호교육학회 16 (16): 14-23, 2010

      7 박효정,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15 (15): 513-521, 2008

      8 김지현, "어머니의 자녀관련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지지/통제의 매개적 역할" 한국가정관리학회 29 (29): 217-232, 2011

      9 이희영, "양육 행동과 대학생활적응 : 문화성향의 중재 효과"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337-355, 2008

      10 서미,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학회 7 (7): 271-288, 2006

      11 이지연, "사회적 지지망에 관한 발달적연구" 14 (14): 5-28, 2000

      12 채선미,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 자아 강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15 (15): 1-16, 2011

      13 서수균, "대학생활적응도테스트 타당화연구" 36 (36): 1-12, 2002

      14 이숙정,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2 (22): 589-607, 2008

      15 고경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5 (15): 379-391, 2015

      16 송윤정,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17 박희수,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 한국자치행정학회 28 (28): 197-218, 2014

      18 윤향숙, "대학생의 자아분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10 (10): 1-25, 2011

      19 김지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0 조수진, "대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정도와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0

      21 김종운,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48-259, 2013

      22 권순일, "대학생 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S대 경영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10 (10): 1-29, 2009

      23 박범혁, "개인의 심리적 특성과 부모와의 애착 및 대학생활적응" 한국가정관리학회 25 (25): 45-57, 2007

      24 곽윤경, "간호대학생의 자존감,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4 (14): 2178-2186, 2013

      25 고미숙,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감성지능,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 생활 적응"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80-291, 2015

      26 김건희,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대처, 유머감각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01-313, 2014

      27 이경완, "간호대학생의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4 (14): 15-27, 2013

      28 전원희, "간호대학생의 분노표현방식, 사회적지지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5 (15): 219-228, 2015

      29 L. Magnussen, "Undergranduate nursing student experience" 5 (5): 261-267, 2003

      30 L. Magnussen, "Undergranduate nursing student experience" 5 (5): 261-267, 2003

      31 R. M. Baron,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32 M. E. Schneider, "The Role of Ethnic Identific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in Latinos' Adjustment to College" 25 (25): 539-554, 2003

      33 J. K. Kiecolt-Glaser, "Soocial support as moderator of after effect of stress in female psychiatric impatiients" 93 (93): 192-199, 1984

      34 J. Hefner,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among college students" 79 (79): 491-199, 2009

      35 S. E. Wilks, "Resilience in Undergraduate Social Work Students: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Academic Stress" 29 (29): 276-288, 2010

      36 S. Cohen,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13 (13): 99-125, 1983

      37 J. W. LaBrie, "Poor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rinking motives and alcohol consequences: A look at college adjustment, drinking motives, and drinking outcomes" 37 (37): 379-386, 2012

      38 T. R. Ramler, "Mindfulness and the College Transition:The Efficacy of an Adapted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ntervention in Fostering Adjustment among First-Year Students" 7 (7): 179-188, 2016

      39 R. W. Baker,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31): 179-289, 1984

      40 G. R. Pierce, "General and relationship-based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are two constructs better than one" 61 : 1028-1039, 1991

      41 L. J. Crockett, "Acculturative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Relations to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Mex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13 (13): 347-355, 2007

      42 C. Lee, "A Closer Look at Self-Esteem,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Strategy:A Prospective Study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Across the Transition to College" 33 (33): 560-585, 2014

      43 조강래, "3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원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증상과 대처방식: 일반계 고등학생남녀비교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2007

      44 정효주, "3년제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아존중감, 정서지능,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21 (21): 188-196,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