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20년대 공주포교당의 포교의 방향 - 한용운⋅이영재의 불교개혁론과 관련해서 - = The Direction of Activities of the Period of 1920's Gongju Buddhist Missionary Center : In Context of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s the Argument of Buddhist Reform.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1920년대 공주포교당의 포교활동을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불교개혁론과 관련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조선시대 불교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의식집을 간행하는 것이 성행하였고, 수륙재와 우란분재도 성행하였다. 3장에서는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포교론과 의례관에 대해 알아본다. 만해 한용운은 포교방법으로 여러 가지를 제시하고 있고, 또한 불교의식을 간소화할 것을 주장한다. 이영재는 만해 한용운의 포교론과 의례관을 수용한다. 그리고 나서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포교소의 제도개혁, 운영방식, 건축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한다. 이는 만해 한용운이 밝히지 않은 것이다. 4장에서는 공주포교당의 포교활동에 대해 검토한다. 공주포교당의 포교활동은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포교론에 대해서는 수용하고, 의례관은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공주포교당에서는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견해에 영향을 받아서, 야학을 열고 이재민을 구호하고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렇지만 불교의식에서는 수륙재와 우란분재를 거행하고 있는데, 이는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견해를 수용하지 않은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1920년대 공주포교당의 포교활동을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불교개혁론과 관련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조선시대 불교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이 글에서는 1920년대 공주포교당의 포교활동을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불교개혁론과 관련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조선시대 불교문화의 한 단면을 살펴본다. 조선시대에는 불교의식집을 간행하는 것이 성행하였고, 수륙재와 우란분재도 성행하였다. 3장에서는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포교론과 의례관에 대해 알아본다. 만해 한용운은 포교방법으로 여러 가지를 제시하고 있고, 또한 불교의식을 간소화할 것을 주장한다. 이영재는 만해 한용운의 포교론과 의례관을 수용한다. 그리고 나서 그것을 기반으로 해서 포교소의 제도개혁, 운영방식, 건축에 대해서도 의견을 제시한다. 이는 만해 한용운이 밝히지 않은 것이다. 4장에서는 공주포교당의 포교활동에 대해 검토한다. 공주포교당의 포교활동은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포교론에 대해서는 수용하고, 의례관은 수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공주포교당에서는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견해에 영향을 받아서, 야학을 열고 이재민을 구호하고 지역문화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렇지만 불교의식에서는 수륙재와 우란분재를 거행하고 있는데, 이는 만해 한용운과 이영재의 견해를 수용하지 않은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eriod of 1920's Gongju buddhist missionary center's activity in context of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s the argument of buddhist reform. In chapter two, I will study the slice of Joseon dynasty buddhist culture, which to publish the collection of buddhist protocol, water land festival and ullambana are prevalent. In chapter three, I will study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s the argument of missionary activities and the viewpoint of buddhist protocol. Han Yong Un presents the various method of missionary activities and insists to simplify the buddhist protocol. Lee Young Jae presents to reform the system of buddhist missionary center etc, based on Han Yong Un's viewpoint. In chapter four, I will study Gongju buddhist missionary center's activity, which accepts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s the argument of missionary activities, and does not accept the viewpoint of buddhist protocol. So Gongju buddhist missionary center opens a night school, redeem the victims, and activates the local cultures because it is influenced by the viewpoint of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
      번역하기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eriod of 1920's Gongju buddhist missionary center's activity in context of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s the argument of buddhist reform. In chapter two, I will study the slice of Joseon dynasty buddhist culture, which ...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period of 1920's Gongju buddhist missionary center's activity in context of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s the argument of buddhist reform. In chapter two, I will study the slice of Joseon dynasty buddhist culture, which to publish the collection of buddhist protocol, water land festival and ullambana are prevalent. In chapter three, I will study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s the argument of missionary activities and the viewpoint of buddhist protocol. Han Yong Un presents the various method of missionary activities and insists to simplify the buddhist protocol. Lee Young Jae presents to reform the system of buddhist missionary center etc, based on Han Yong Un's viewpoint. In chapter four, I will study Gongju buddhist missionary center's activity, which accepts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s the argument of missionary activities, and does not accept the viewpoint of buddhist protocol. So Gongju buddhist missionary center opens a night school, redeem the victims, and activates the local cultures because it is influenced by the viewpoint of Han Yong Un and Lee Young Ja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용운, "한용운전집 2" 신구문화사 1973

      2 남희숙, "한국불교사연구입문 하권" 지식산업사 2013

      3 최유진, "한국 우란분재(盂蘭盆齋)의 역사적 전개와 연희양상" 국립민속박물관 (38) : 81-108, 2016

      4 한상길,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한국선학회 (29) : 259-292, 2011

      5 한상길,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의 사회적 의미" 한국선학회 (23) : 671-710, 2009

      6 김상영, "우란분재의 의미와 設行 역사" 불교학연구회 22 : 173-221, 2009

      7 김광식, "불교 근대화의 이상과 현실" 선인 2014

      8 "불교"

      9 이병욱, "만해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이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에 미친 영향" 대각사상연구원 (29) : 177-209, 2018

      10 "동아일보"

      1 한용운, "한용운전집 2" 신구문화사 1973

      2 남희숙, "한국불교사연구입문 하권" 지식산업사 2013

      3 최유진, "한국 우란분재(盂蘭盆齋)의 역사적 전개와 연희양상" 국립민속박물관 (38) : 81-108, 2016

      4 한상길,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한국선학회 (29) : 259-292, 2011

      5 한상길, "조선전기 수륙재 설행의 사회적 의미" 한국선학회 (23) : 671-710, 2009

      6 김상영, "우란분재의 의미와 設行 역사" 불교학연구회 22 : 173-221, 2009

      7 김광식, "불교 근대화의 이상과 현실" 선인 2014

      8 "불교"

      9 이병욱, "만해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이 이영재의 「조선불교혁신론」에 미친 영향" 대각사상연구원 (29) : 177-209, 2018

      10 "동아일보"

      11 이영재, "다보 4" 대한불교진흥원 1992

      12 金秀炫, "朝鮮中後期 觀音經典 刊行 硏究" 한국문화사학회 (24) : 139-158, 2005

      13 사문경, "1920年代 公州布敎堂의 運營과 活動" 한국불교학회 (34) : 367-393,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48 1.03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