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892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Yang, Myung H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eong-Ho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CSEP)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counselors need and expert's opinion and precedence research. In this study, Counselor self-efficacy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f the three factors assessed by the Counselor Self-Efficacy Scale(Yang & Kim, 2011). The three factors are counseling skill self-efficacy, counseling attitude self-efficacy, counseling coping with crises self-efficacy.

      The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the problems:
      1. Will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be developed validly?
      2. Will the validity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be verified empirically?
      2-1. Will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effectively increase the scores of overall counselor self-efficacy in the treatmen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2-2. Will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effectively increase the scores of sub-factor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eviously design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areas.: 1) confirmation of necessity for program development 2) formulation of goals and objectives 3) sel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 and production of measuring instrument 4) selection of the content and sequencing of the content 5) program concretization 6) implementation of preparatory program 7) revision of program and supplementation of program 8) implementation of program 9) evaluation of program 10) management of program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was made up of 13 sessions, 100~120 minutes per session. The Counselor Self-Efficacy Scale(Yang & Kim, 2011) was administered to 200 counselors who were working at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local youth counseling centers, and private counseling facilities in 16 cities and provinces. 24 counselors the mean score of the scale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ted to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12 counselors. The subject of treatment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a total of 13 session. The counselors of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was evaluated based on the program evaluation model previously designed in this study. In the program evaluation, the Counselor Self-Efficacy Scale(Yang & Kim, 2011)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test the effects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CSEP). A pretest before implementation of program and posttest immediately after implementation of program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A follow-up test was administered after 3 weeks to examine the durability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he statistical analysis 24 data were finally used. Besides these quantitative evaluation, qualitative evaluation was administer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PASW 18.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counselor self-efficacy.
      Second, the treatment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3 sub-factors which consist of counseling skill self-efficacy, counseling attitude self-efficacy, counseling coping with crises self-efficacy.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was developed validly.
      번역하기

      The Development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Yang, Myung H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eong-Ho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Yang, Myung Hee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eong-Hoi)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CSEP)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counselors need and expert's opinion and precedence research. In this study, Counselor self-efficacy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f the three factors assessed by the Counselor Self-Efficacy Scale(Yang & Kim, 2011). The three factors are counseling skill self-efficacy, counseling attitude self-efficacy, counseling coping with crises self-efficacy.

      The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the problems:
      1. Will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be developed validly?
      2. Will the validity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be verified empirically?
      2-1. Will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effectively increase the scores of overall counselor self-efficacy in the treatment group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2-2. Will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effectively increase the scores of sub-factor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ogram development model previously designed in this study.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s of the following areas.: 1) confirmation of necessity for program development 2) formulation of goals and objectives 3) sel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 and production of measuring instrument 4) selection of the content and sequencing of the content 5) program concretization 6) implementation of preparatory program 7) revision of program and supplementation of program 8) implementation of program 9) evaluation of program 10) management of program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was made up of 13 sessions, 100~120 minutes per session. The Counselor Self-Efficacy Scale(Yang & Kim, 2011) was administered to 200 counselors who were working at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local youth counseling centers, and private counseling facilities in 16 cities and provinces. 24 counselors the mean score of the scale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ted to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12 counselors. The subject of treatment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a total of 13 session. The counselors of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was evaluated based on the program evaluation model previously designed in this study. In the program evaluation, the Counselor Self-Efficacy Scale(Yang & Kim, 2011) was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test the effects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CSEP). A pretest before implementation of program and posttest immediately after implementation of program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A follow-up test was administered after 3 weeks to examine the durability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he statistical analysis 24 data were finally used. Besides these quantitative evaluation, qualitative evaluation was administered in this study.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variance analysis was us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PASW 18.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counselor self-efficacy.
      Second, the treatment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3 sub-factors which consist of counseling skill self-efficacy, counseling attitude self-efficacy, counseling coping with crises self-efficacy.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Counselor Self-Efficacy Program was developed valid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 Ⅰ.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1
      • 차 례
      • Ⅰ. 서론 1
      • 1. 연구 필요성 1
      • 2. 연구 문제 4
      • 3. 용어 정의 5
      • 4. 연구 의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1. 상담자 자기효능감 9
      • 가. 상담자의 특성 9
      • 나.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의미 13
      • 다. 상담자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소 18
      • 2.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22
      • 가.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개발 모형 22
      • 나.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평가 모형 53
      • 다.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의 효과 63
      • Ⅲ.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개발 과정 및 구성 결과 75
      • 1.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개발 과정 75
      • 가.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확인 75
      • 나. 목적 및 목표 설정 84
      • 다. 측정도구 선정 및 제작 85
      • 라. 내용 선정 및 내용 조직 85
      • 마. 프로그램 구체화 88
      • 바. 예비 프로그램 실시 89
      • 사.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89
      • 아. 프로그램 실시 90
      • 자. 프로그램 평가 90
      • 차. 프로그램 관리 91
      • 2.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구성 결과 91
      • Ⅳ.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평가 방법 및 평가 결과 94
      • 1.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평가 방법 94
      • 가. 프로그램 94
      • 나. 프로그램 참가 대상 94
      • 다. 평가 도구 96
      • 라. 평가 절차 99
      • 마. 실험 설계 및 자료 처리 99
      • 2.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평가 결과 101
      • 가. 진단평가 결과 101
      • 나. 형성평가 결과 105
      • 다. 총괄평가 결과 107
      • Ⅴ. 논의 및 결론 127
      • 1. 논의 127
      • 2. 결론 149
      • 3. 시사점 149
      • 4. 제한점 152
      • 5. 제언 153
      • 참고문헌 155
      • 영문초록 163
      • 부 록 165
      • 부록 1.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165
      • 부록 2.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348
      • 부록 3.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전문가 평정 검사지 350
      • 부록 4. 요구조사 질문지 358
      • 부록 5. 프로그램 만족도 질문지 363
      • 부록 6. 프로그램 참가자의 회기별 소감문 내용 요약 364
      • 부록 7. 프로그램 참가자의 최종 소감문 내용 요약 373
      • 표 차 례
      • 표 1. 국내․외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성요소 19
      • 표 2. 프로그램 개발 절차 분석표 30
      • 표 3. 상담자 자기효능감 관련 프로그램 개발 절차 개요 36
      • 표 4. 상담자 자기효능감 관련 선행연구 76
      • 표 5. 요구조사 대상자 79
      • 표 6. 요구조사 질문지 내용 및 분석 결과 82
      • 표 7.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85
      • 표 8.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개요 92
      • 표 9.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일반적 특성 95
      • 표 10.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 97
      • 표 11.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의 타당도 검증 결과 101
      • 표 12. 프로그램 내용 타당도 검증 결과 102
      • 표 13. 프로그램 평가 도구의 타당도 검증 결과 102
      • 표 14. 상담자 자기효능감 예비 프로그램 소감문 요약 103
      • 표 15. 프로그램 회기별 내용 및 활동 평가 결과 105
      • 표 16. 집단 유형별, 측정 시기별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108
      • 표 17. 상담자 자기효능감 전체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요약 109
      • 표 18. 상담자 자기효능감 전체 점수 단순 주효과 검증 결과 요약 110
      • 표 19. 실험집단의 상담자 자기효능감 전체 점수에 대한 측정 시기 간 사후 검증 결과 111
      • 표 20. 상담기술 자기효능감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요약 112
      • 표 21. 상담기술 자기효능감의 단순 주효과 검증 결과 요약 113
      • 표 22. 실험집단의 상담기술 자기효능감 점수에 대한 측정 시기 간 사후 검증 결과 114
      • 표 23. 상담태도 자기효능감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요약 114
      • 표 24. 상담태도 자기효능감의 단순 주효과 검증 결과 요약 116
      • 표 25. 실험집단의 상담태도 자기효능감 점수에 대한 측정 시기 간 사후 검증 결과 116
      • 표 26. 상담위기대처 자기효능감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요약 117
      • 표 27. 상담위기대처 자기효능감의 단순 주효과 검증 결과 요약 119
      • 표 28. 실험집단의 상담위기대처 자기효능감 점수에 대한 측정 시기 간 사후 검증 결과 119
      • 표 29. 목표 달성도 평가 결과 120
      • 표 30. 프로그램 만족도 평가 결과 125
      • 표 31. 프로그램 유익도 평가 결과 126
      • 그 림 차 례
      • 그림 1. 효능 기대와 결과 기대의 차이 14
      • 그림 2.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개발 모형 41
      • 그림 3.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 평가 모형 60
      • 그림 4. 상담자 자기효능감 프로그램의 내용과 전략, 기법 87
      • 그림 5. 상담자 자기효능감 전체의 집단 유형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109
      • 그림 6. 상담기술 자기효능감의 집단 유형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112
      • 그림 7. 상담태도 자기효능감의 집단 유형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115
      • 그림 8. 상담위기대처 자기효능감의 집단 유형과 측정 시기 간의 상호작용 효과 118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정인석, "상담심리학", 1991

      2 변창진, "프로그램 개발", 1994

      3 유동수, "감수성 훈련(2판)", 2007

      4 배호순, "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2003

      5 이동식, "상담의 동양적 접근", 1986

      6 조긍호, "한국인 이해의 개념 틀",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2003

      7 김성회, "주장훈련의 이론과 실제", 2007

      8 이형득, "카운슬러의 역할과 자질", 1992

      9 김용현,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양서원,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2010

      10 김은수, "사회복지 프로그램개발론", 弘益齋,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론, 2006

      1 정인석, "상담심리학", 1991

      2 변창진, "프로그램 개발", 1994

      3 유동수, "감수성 훈련(2판)", 2007

      4 배호순, "프로그램 평가론", 원미사, 2003

      5 이동식, "상담의 동양적 접근", 1986

      6 조긍호, "한국인 이해의 개념 틀",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2003

      7 김성회, "주장훈련의 이론과 실제", 2007

      8 이형득, "카운슬러의 역할과 자질", 1992

      9 김용현,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론", 양서원,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 2010

      10 김은수, "사회복지 프로그램개발론", 弘益齋,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론, 2006

      11 송병국,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 프로그램 요구 분석", 2007

      12 Cronbach, "Course Improvement through evaluation", Course improvement through evaluation, 1963

      13 Bandura.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1997

      14 권경인, 권석만, 김창대, "집단상담활동의 유형화 연구", 2001

      15 김성희, 양명희, "상담자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2011

      16 김진화,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의 이해", 2007

      17 권순명, "학교 상담의 과제와 개선 방향", 충남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학교상담의 과제와 개선방향, 2000

      18 이숙미,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9 황성철,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학현사,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2005

      20 이진아, "아내용 부부조화 프로그램 개발", 2011

      21 변종임,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2003

      22 Taba, Hilda, "Curriculum development : theory and practice", Harcourt, Brace & World, 197u

      23 Royse, Padgett, Logan, Thyer, "Program evaluation: An introduction (3th ed.)", Program evaluation: An introduction (3th ed), 2001

      24 하형진, "복지상담에서 상담자 훈련의 과제", 2006

      25 Bernard.J.M, Goodyear, "Clinical supervision: Lesson from the literature", 1998

      26 이재창, "전문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996

      27 박경희,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8 Kowalski, "The organization and planning of adult education Albany", 1988

      29 이명우, "상담사례개념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상담사례개념화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2004

      30 김미향, "중학생용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1 김성회, 최 성식,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 개발", 초등학생용 대인관계 조화 프로그램 개발, 2009

      32 권경인, 김창대, 손난희, 한영주, "상담 성과를 가져오는 한국적 상담자 요인", 한국상담학회, 2008

      33 방기연, "상담수퍼비전에서 제기되는 윤리적 문제들", 2011

      34 김진숙(Jin Sook Kim), "상담자교육에서 성찰적 실천의 의미와 적용",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05

      35 김영조, "한국 학교상담 연수교육과정 변천에 대한 연구", 2003

      36 서영석 ( Young Seok Seo ), 김동민(Dong Min Kim), 이수현 ( Su Hyun Lee ),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 척도 국내 타당화 연구", 韓國心理學會 相談心理 및 心理治療學會, 2007

      37 박명심, "고등학생용 진로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2007

      38 최윤정, "초등학생용 학업적 꾸물거림 극복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 문, 2010

      39 장성숙, "한국 문화와 현실역동 상담의 상담자-내담자 관계", 2003

      40 Las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 1992

      41 설기문, "학생발달을 위한 생활지도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 1989

      42 류진혜, "상담자 교육을 위한 인지 기술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상담자 교육을 위한 인지기술 훈련프로그램의 개발, 1999

      43 박정민, "상담자 회기 내 자기지각이 상담과정에 미치는 영향", 2006

      44 박인우, "효율적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제적 모형", 효율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제적 모형, 1996

      45 최성진, 최성진, "사회복지사의 소진(Burnou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6

      46 Sussman,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behavior research and practice", Handbook of program development for health behavior research and practice, 2001

      47 신경일, 신경일, "상담자 교육을 위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부산대학교, 상담자 교육을 위한 공감훈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1994

      48 Hill, Hoffman, Lent, Lent, R. W.,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unselor activity self-efficacy scales", 2003

      49 Stuffleebeam,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The relevance of the CIPP evaluation model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1973

      50 Hines, Johnston, McCoy, Harris, "School counselors' multicultural self-efficacy: A preliminary investigation", 2008

      51 김경화, 조용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평가시스템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005

      52 김미지, "초보상담자가 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문항개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초보상담자가 상담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관한 문항 개발, 2006

      53 Melchert, Wiljanen, Kolocek, Hays, "Testing models of counselor development with a measure of counseling self-efficacy", 1996

      54 김권영,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상담단계별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상담자활동 자기효능감이 상담단계별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 향, 2009

      55 손난희, "상담수퍼비전에서 초심상담자들의 자기고양적 성향과 위협지각", 상담수퍼비전에서 초심상담자들의 자기고양적 성향과 위협 지각, 2007

      56 이형국, "인지적 정보처리접근 중심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인지적 정보처리접근 중심 대학생 진로발달 증진 프로그램 개 발, 2010

      57 최은실, "초보상담자의 반응 부담이 내담자 상태 알아차림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초보상담자의 반응 부담이 내담자 상태 알아차림에 미치는 영 향, 2001

      58 김계현, "상담교육방법으로서의 개인 수퍼비전 모델에 관한 복수사례연구", 상담교육방법으로서의 개인 수퍼비전 모델에 관한 복수 사례연 구, 1992

      59 조문주, 조문주, "불안과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7

      60 이숙영, "국내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현황 및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관련요인",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2003

      61 주은지, 이혜경, 주은선, "한국적 인본주의 상담 모형 모색-인본주의 상담 자들의 자기보고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상담심리 및 심리치료학회, 2007

      62 권희경 ( Hee Kyung Kwon ), 장재홍 ( Jae Hong Jang ), "상담자 개입의 적절성과 상담자 태도가 상담과정 및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상담자 개입의 적절성과 상담자 태도가 상담과정 및 상 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2002

      63 윤호균, "정신분석 인간중심의 상담 및 불교의 비교: 인간 및 심리적 문 제에 대한 견해", 1982

      64 김영혜(Young Hye Kim), 최해림 ( Hae Rim Choi ),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 -상담심리 석,박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한국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관한 연구-상담심리 석박 사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2006

      65 황인호, "상담자의 자기효능감과 역전이 행동 및 상담협력관계가 상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66 최해림, 홍수현, "상담 초기단계에서 상담자의 자기효능감 및 상태불안이 상담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 초기단계에서 상담자의 자기효능감 및 상태불안이 상담 협력관계에 미치는 영향, 2001

      67 김미경,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상담자의 공감 반응 수준 및 내담자의 지각된 공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상담자의 공감 반응 수준 및 내담자의 지각된 공감에 미치는 영향, 1998

      68 조민경,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활동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2012

      69 김정민(Kim Jung-Min), 강다연(Kang Da-Yeon), "정서경험특성, 상담자활동자기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011

      70 강석영, 강석영,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동 및 내담자 협력관계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상담성과의 관계에서 상담자 역전이 행 동 및 내담자 협력관계의 매개효과, 2008

      71 최철환, "집단상담의 초기 단계에서 지도자의 자기효능감과 집단내의구조화가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집단상담의 초기단계에서 지도자의 자기효능감과 집단 내의 구조화가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1997

      72 김광수,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한국청소년상담원 편저, 청소 년상담 프로그램 개발론 (pp. 63-146)", "청소년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한국청소년상담원 편저, 2001

      73 이선옥, "상담자 자기효능감과 포커싱적 태도가 역전이 관리능력에 미 치는 영향: 포커싱적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12

      74 Nilsson, Duan, "Experiences of prejudice, role difficulties, and counseling self-efficacy among U.S. racial and ethnic minority supervisees working with white supervisors", "Experiences of prejudice,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