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의 생산자 서비스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고찰 = The Empirical Study on Producer Service Industry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247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세분화된 업종을 구분한 후, 각 업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우선 OLS 회귀 결과, 중국의 모든 생산자 서비스업 세분 업종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능선회귀(ridge regression)를 수행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생산자 서비스업의 부가가치와 GDP 증가율 사이의 Granger 인과검정 결과에 따르면, 두 변수 사이의 인과 관계는 유의하지 않다. 이는 역인과성 문제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GDP 증가율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잠재적 요인들을 통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2SLS 회귀를 실시한 결과,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생산자 서비스업 모든 세부 업종에서 공기업 직원 수가 부가가치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두 번째 단계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생산자 서비스업의 세분화된 업종 중에서 도매 및 소매업은 경제에 대해 가장 큰 양(+)의 효과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운송·보관 및 우편업과 부동산업이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금융업, 숙박 및 요식업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구변수를 활용하여 역인과성 문제를 통제한 실증분석 결과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추세를 제거하기 위해 상이한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강건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모든 결과에서 도매 및 소매업과 운송·보관 및 우편업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기본결과에 강건성을 부여해준다. 특히, HP filter와 quadratic filter를 사용한 회귀의 전반적인 적합도가 log difference을 이용한 결과에 비해 더 높았으며, 이러한 강건성 검정을 통해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영향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본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보강할 수 있었다.
      또한, GDP의 로그 값을 종속변수로 이용한 추가 분석을 통해, 운송·보관 및 우편업이 경제에 가장 큰 양(+)의 효과가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우선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이 중국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이는 데이터의 한계로 인한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 데이터가 개선되면 중국 각 지역별로 분석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 국내연구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다른 국가의 연구와의 비교 분석은 하지 못하였다. 향후 국외 연구를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비교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생산자 서비스업의 일부 업종만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현재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발전 정도를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향후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발전에 따라 본 연구에서 고려한 업종들 이외의 다른 업종들도 중요해진다면 그러한 업종들을 추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세분화된 업종을 구분한 후, 각 업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본 연구는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세분화된 업종을 구분한 후, 각 업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 분석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우선 OLS 회귀 결과, 중국의 모든 생산자 서비스업 세분 업종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능선회귀(ridge regression)를 수행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결론을 도출하였다. 하지만 생산자 서비스업의 부가가치와 GDP 증가율 사이의 Granger 인과검정 결과에 따르면, 두 변수 사이의 인과 관계는 유의하지 않다. 이는 역인과성 문제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따라 GDP 증가율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잠재적 요인들을 통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2SLS 회귀를 실시한 결과,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생산자 서비스업 모든 세부 업종에서 공기업 직원 수가 부가가치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두 번째 단계의 추정결과에 따르면, 생산자 서비스업의 세분화된 업종 중에서 도매 및 소매업은 경제에 대해 가장 큰 양(+)의 효과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운송·보관 및 우편업과 부동산업이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금융업, 숙박 및 요식업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도구변수를 활용하여 역인과성 문제를 통제한 실증분석 결과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추세를 제거하기 위해 상이한 처리방법을 사용하여 강건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 모든 결과에서 도매 및 소매업과 운송·보관 및 우편업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기본결과에 강건성을 부여해준다. 특히, HP filter와 quadratic filter를 사용한 회귀의 전반적인 적합도가 log difference을 이용한 결과에 비해 더 높았으며, 이러한 강건성 검정을 통해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영향력을 확인함과 동시에 본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보강할 수 있었다.
      또한, GDP의 로그 값을 종속변수로 이용한 추가 분석을 통해, 운송·보관 및 우편업이 경제에 가장 큰 양(+)의 효과가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도매 및 소매업, 부동산업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우선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이 중국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은 수행하지 못하였지만, 이는 데이터의 한계로 인한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 데이터가 개선되면 중국 각 지역별로 분석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 국내연구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다른 국가의 연구와의 비교 분석은 하지 못하였다. 향후 국외 연구를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비교 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생산자 서비스업의 일부 업종만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는 현재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발전 정도를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향후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발전에 따라 본 연구에서 고려한 업종들 이외의 다른 업종들도 중요해진다면 그러한 업종들을 추가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제3절 선행 연구 9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 제3절 선행 연구 9
      • 제2장 이론적 배경 22
      • 제1절 생산자 서비스업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
      • 제2절 경제성장에 관한 이론적 고찰 26
      • 제3장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현황 35
      • 제1절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변천 과정 35
      • 제2절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의 성장 동향 40
      • 제3절 중국 생산자 서비스업 발전의 양상과 문제점 52
      • 제4장 실증분석 66
      • 제1절 데이터 66
      • 제2절 분석 모형 78
      • 제3절 회귀분석 결과 80
      • 제5장 강건성 검정 93
      • 제1절 추세 제거 93
      • 제2절 종속변수 변환 104
      • 제6장 결론 109
      • 참고문헌 125
      • 부록 136
      • Abstract 150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Leroy R. VR Fuchs, "The Service Economy by IFJ", 35(5): 424-427, 1969

      2 Romer P M.,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J]", 98(5, Part 2): S71-S102, 1990

      3 张斌, 丁玮, 陈群, "江苏生产性服务业发展研究", p.73-74, 2016

      4 Coffey W J, "The geographies of producer servicesJ", 21(2): 170-183, 2000

      5 郑吉昌, "生产性服务业与现代经济增长", p.23-29, 2005

      6 吕志胜, 金雪涛, "我国生产性服务业结构问题分析", p.62-64, 2006

      7 최동현, "서비스 생산성 특성에 관한 이해", 한국서비스 경영학회 학술대회 p.281-291, 2014

      8 Von Mises L., "The Economic Nature of Profit and Loss 9-53J", 91: 373-417, 1998

      9 魏建国, 何娟, 刘向荣, 刘清泉, 李廷波, "中国农业生产率提高路径的实证研究", p.30-39, 2014

      10 田振中, "生产性服务业发展影响因素实证研究", p.112-115, 2017

      1 Leroy R. VR Fuchs, "The Service Economy by IFJ", 35(5): 424-427, 1969

      2 Romer P M., "Endogenous technological change[J]", 98(5, Part 2): S71-S102, 1990

      3 张斌, 丁玮, 陈群, "江苏生产性服务业发展研究", p.73-74, 2016

      4 Coffey W J, "The geographies of producer servicesJ", 21(2): 170-183, 2000

      5 郑吉昌, "生产性服务业与现代经济增长", p.23-29, 2005

      6 吕志胜, 金雪涛, "我国生产性服务业结构问题分析", p.62-64, 2006

      7 최동현, "서비스 생산성 특성에 관한 이해", 한국서비스 경영학회 학술대회 p.281-291, 2014

      8 Von Mises L., "The Economic Nature of Profit and Loss 9-53J", 91: 373-417, 1998

      9 魏建国, 何娟, 刘向荣, 刘清泉, 李廷波, "中国农业生产率提高路径的实证研究", p.30-39, 2014

      10 田振中, "生产性服务业发展影响因素实证研究", p.112-115, 2017

      11 Harrington J W., "Producer services research in US regional studiesJ", 47(1): 87-96, 1995

      12 钟韵, 阎小培, "我国生产性服务业与经济发展关系研究", p.63-81, 2003

      13 권오혁, 한표환, 이병의, "생산자 서비스산업의 지방유치 및 육성.", p.1-176, 1994

      14 김태현, 최선미, 최동현, "서비스 생산자의 동적 현상에 대한 고찰", 한국생산 관리학회지. p.3-29, 2009

      15 杨杰, 叶小榕, "生产性服务业对我国经济发展的影响研究", p.12-19, 2017

      16 금성근, "생산자 서비스업의 권역별 입지요인 분석", 국내박사학위논문 부산 대학교, 2008

      17 한우진, "생산자 서비스의 지역간 이동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강원 대학교 대학원, 2020

      18 王璐璐, 邓炜, 姜广涛, "产业转型升级背景下的中国制造业创新路径", p.90-101, 2017

      19 程大中, "生产者服务论:兼论中国服务业发展与开放", p.12-25, 2006

      20 김현수, "디자인과 서비스생산자에 대한 과학적 접근", 한국IT서비스학회지. p.269-285, 2008

      21 Hansen N., "Do producer services induc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J", 30(4): 465-476, 1990

      22 원석희, "서비스 생산자 개선을 위한 운영관리적 접근", 한국생산관리학회지 p.57-83, 2001

      23 未江涛, "生产性服务业集聚影响因素与集聚态势的实证", p.129-132, 2011

      24 정쇄, "강소성 생산자 서비스 산업 발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배 재대학교 대학원, 2019

      25 林楠, "以生产性服务业与制造业融合发展带动产业升级", p.12-21, 2015

      26 张丽, "生产性服务业对制造业技术进步的促进作用研究", p.79-85, 2009

      27 박현수, "전주시 생산자 서비스 산업의 공간적 분포 특성",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8 박광태, 임호순, 이민호, "항공사 지점의 서비스 생산자 평가에 대한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p.3-18, 2003

      29 Hansen N., "The strategic role of producer services in regional developmentJ", 16(1-2): 187-195, 1993

      30 류재영, 서창적, "서비스 생산자에 대한 개념 및 측정에 대한 고찰", 한국서비 스경영학회 학술대회. p.143-154, 2009

      31 Baumol W J., "Macroeconomics of unbalanced growth: the anatomy of urban crisisJ", 57(3): 415-426, 1967

      32 Illeris S., "Producer services: the key sector for future economic development?J", 1(3): 267-274, 1989

      33 Eswaran M, Kotwal A, "The role of the service sector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J", 68(2): 401-420, 2002

      34 Coffey W J, Bailly A S., "Producer services and flexible production: an exploratory analysis[J]", 22(4): 95-117, 1991

      35 姚耀, 高森, 路守检, "生产性服务业与经济增长的关系研究:以上海市为例", p.61-71, 2006

      36 조린, "생산자 서비스업의 경제발전 촉진 효과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 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37 Daniels P W., "Economic development and producer services growth: the APEC experienceJ", 39(2): 145-159, 1998

      38 Yeh A G O, Yang F F, Xu Z, "Will rural urbanization produce a new producer service space in China?J", 67: 105-117, 2017

      39 王欢,常芳,刘涵,等, "西北农村地区学校规模与学生学业表现关系的实证研究", p.28-35, 2019

      40 김민철, 박광태, "서비스 업종에 있어서의 생산자 측정방안. 生産性論集", 운 송서비스업종을 중심으로. p.213-228, 1999

      41 Lindahl D P, Beyers W B, "The creation of competitive advantage by producer service establishmentsJ", 75(1): 1-20, 1999

      42 류재영, 서창적, "서비스 품질을 포함한 서비스 생산자 측정에 관한 연구", 서 비스경영학회지. p.25-43, 2009

      43 정인석, "중국여행 상품의 특성에 따른 서비스 생산자 제고 전략", 生産性論 集. p.279-313, 2009

      44 김수은, "서비스무역이 총요소생산자와 실질임금에 미치는 영향.", 국내박사 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45 박승현, "生産者서비스의 立地的 特性 및 地域經濟效果에 관한 硏究", 국내석 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1997

      46 신종칠, "부동산중개서비스의 판매생산자에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生産性 論集. p.259-289, 2007

      47 이현훈, "서비스시장 개방이 경제성장 및 생산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經濟 發展硏究. p.67-94, 2007

      48 박귀홍, "新産業으로서의 生産者 서비스産業의 發展戰略에 관한 硏究", 국내 석사학위논문 慶星大學校 貿易大學院, 1993

      49 전용관, "서비스 생산형태의 따른 서비스 회복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3

      50 이제홍, "전자상거래 기반 물류정보 에스크로 서비스 생산자에 관한 연구", 生産性論集. p.169-187, 2004

      51 정인석, "국제 항공사 VIP 라운지의 서비스 생산성와 전략적 위상에 관한 연 구", 生産性論集. p.247-277, 2009

      52 류재영, 서창적, "서비스 생산자와 서비스 품질 간의 관계 및 측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p.127-150, 2009

      53 Xi Q, Sun R, Mei L., "The impact of special economic zones on producer services productivity: Evidence from ChinaJ", 65: 101558, 2021

      54 Francois J F., "Trade in producer services and returns due to specialization under monopolistic competitionJ", 109-124, 1990

      55 김현강, 김희탁, "이사화물서비스의 서비스 품질과 가치 -서비스 생산자에 대한 시사점", 生産性論集. p.123-147, 2006

      56 罗晓宁, "生产性服务业发展对经济增长作用的动态研究——基于 VAR 模型的分 析", p.65-72, 2014

      57 박동규, "은행산업에의 적용을 위한 서비스 생산자 분석 및 측정 방법론의 고찰", 生産性論集. p.37-58, 1992

      58 江静, 刘志彪, "生产性服务业发展与制造业在全球价值链中的升级——以长三角 地区为例", p.2010, 2010

      59 陈建军,陈菁菁, "生产性服务业与制造业的协同定位研究——以浙江省 69 个城 市和地区为例", p.18-28, 2010

      60 하봉찬, "국제경제 : 서비스경제로의 이행과 노동생산자 변화에 대한 국제비 교연구", 국제지역연구. p.119-134, 2012

      61 王之军, 石奇, 焦艳, "制造业结构差异与生产性服务业发展阶段——基于效率提 升视角的门槛研究", p.16-25, 2013

      62 백다미, 주원, "새로운 경제시스템 창출을 위한 경제주평 : 서비스업 생산자 비교와 시사점", 한국경제주평. p.1-18, 2014

      63 李善同, "中国生产者服务:内容, 发展与结构——基于中国1987-2002年投入产 出表的分析", p.12-19, 2007

      64 张亚斌, 刘靓君, "生产性服务业对我国经济增长的影响研究——基于东中西部面 板数据的实证分析", p.11-18, 2008

      65 Stein R., "Producer services, transaction activities, and cities: Rethinking occupational categories in economic geographyJ", 10(6): 723-743, 2002

      66 李善同, 高传胜, "中国服务业 : 突破方向与政策着力点——基于中美日德四国投 入产出数据的比较分析", p.34-43, 2008

      67 喻胜华, 李丹, 祝树金, "生产性服务业集聚促进制造业价值链攀升了吗——基于 277个城市微观企业的经验研究", p.57-71, 2011

      68 Guo W, Huang F., "How does the co-agglomeration of high-tech industries and producer services affect the quality of economic growthJ", 6: 128-42, 2020

      69 김수연, 최선미, 박기범, "서비스 생산/전달 과정에서 고객의 능동적 참여가 고객이 인지하는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산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 집. p.1-20, 2014

      70 김유경, "서비스 생산과정에서의 고객참여가 고객만족 및 결과변수에 미치 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 학술대회 p.13-37, 2009

      71 박상희, "생산자 서비스업의 공간분포특성 및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7

      72 Muller E, Zenker A, "Business services as actors of knowledge transformation: the role of KIBS in regional and national innovation systemsJ", 30(9): 1501-1516, 2001

      73 彭徽, 匡贤明, "中国制造业与生产性服务业融合到何程度——基于2010—2014年 国际投入产出表的分析与国别比较", p.100-116, 2014

      74 Mariani M, Borghi M., "Industry 4.0: A bibliometric review of its managerial intellectual structure and potential evolution in the service industriesJ", 149: 119752, 2019

      75 김수은, 석준호, 김철, "국제경제 : 한국 경제의 서비스화와 생산자: 중간재 생산자 서비스와 비생산자 서비스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p.125-150, 2011

      76 백다미, "새로운 경제시스템 창출을 위한 경제주평 -서비스 중간투입의 경제 적 효과 분석-생산자 서비스업 육성이 필요하다", 한국경제주평. p.1-20, 2015

      77 Goe W R.,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spatial organization, restructuring, and external contracting of producer services within a metropolitan regionJ", 32(1): 23-44, 19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