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사에 접속하는 “모노다(ものだ)”의 의미와 기능 -의미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monoda" with a Verb -Focused on Derivative Relations of the Meanings and Fun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63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동사에 접속하는 “모노다(ものだ)”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의미 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동사에 접속하여 모달리 티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모...

      본 논문은 동사에 접속하는 “모노다(ものだ)”의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의미 와 기능의 파생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고찰 한 것이다. 동사에 접속하여 모달리 티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모노다(ものだ)”에 대해서는 종래에 연구사례가 많이 있으나, 실제의 예문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물체에서 추상화되는 이행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는 종래에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물 체를 나타내던 것이 추상화되어 모달리티 형식으로 이행하는 경로에 대하여 연속성의 관점에서 기술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구체적인 물체에서 추상화되는 이행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구체적인 물체를 나타내는 경우는 “모노다(ものだ)”가 주로 사물명사를 가리키며 구체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모노다(ものだ)”가 작품이나 언어를 나타내는 경우는 의미가 약간 추상화된다. 다음으로 “모노다(ものだ)”가 가리키는 대상이 더욱 추상화되면 제도, 조직, 심리를 나타내게 된다. 계속해서 “모노다(ものだ)”가 어떤 행위를 나타내게 되는 경우가 보인다.
      둘째, 모달리티 형식으로의 이행은 다음과 같이 ①본성, 당연을 나타내는 경우, ②당위를 나타내는 경우, ③놀람을 나타내는 경우의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모달리티 형식으로 이행한 경우는 “모노다(ものだ)”의 형태가 고정화되며 특별한 의미와 기능을 획득했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③놀람을 나타내는 경우는 부사와의 공기가 특징적이며 구문적으로 제약이 생긴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동사에 접속하는 “모노다(ものだ)”는 구체적인 물체 에서부터 모달리티 형식으로의 이행이 확인가능하며, 이 이행에는 연속성이 보 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monoda” connected with a verb using derivative relationships. A lot of research were previously conducted about the "monoda" which shows a modal meaning by connecting to a verb. However, little re...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monoda” connected with a verb using derivative relationships. A lot of research were previously conducted about the "monoda" which shows a modal meaning by connecting to a verb. However, little research examined the transition from a concrete object to an abstraction by analyzing actual example sentences. In this paper, our goal is to describe the transition from a concrete object to a modality form in terms of continu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bstraction transition from a concrete obje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representing a concrete object, "monoda" refers mainly to nouns and has specificity. And if "monoda" expresses a work or a language, the meaning becomes a little abstract. Next, when the object pointed to by "monoda" is further abstracted, it represents institution, organization, and psychology. There is a case in which "monoda" continues to represent an action.
      Second, the transition to the form of modal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s follows: ① to express natures and naturally, ② to express obligation, and ③ to express surprise. In the case of transition to the modality form, the form of "monoda" is fixed and special meaning and functions are obtained. Especially when the transition represents ③ surprise, it is characteristically used together with an adverb and it generates a syntactic restriction.
      In conclusions, it is confirmed the transition from specific objects to the modality format, which is connected with a verb, and this transition also shows continu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