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들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에 따른 또래관계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Food Pattern to Peer Interaction in Childr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8625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들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에 따른 또래간의 상호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만4세 및 만5세 취학 전 아동의 어머니와 교사 각각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사용된 검사도구로는 유아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을 묻는 설문지를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유아의 또래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에게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식을 하지 않는 집단이 과식을 하는 집단보다 또래관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규칙적인 식생활 습관을 가진 집단의 또래 관계가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식의 정도가 전반적인 또래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정적 또래관계(공격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좋은 식생활 습관을 가진 아동은 또래간의 관계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음식패턴과 또래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해서 살펴볼 때 올바른 식생활 습관 형성과 음식에 대한 고른 수용태도가 또래간의 관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에서의 꾸준한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들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에 따른 또래간의 상호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만4세 및 만5세 취학 전 아동의 어머니와 교사 각각 228명을 대상으...

      본 연구는 유아들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에 따른 또래간의 상호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만4세 및 만5세 취학 전 아동의 어머니와 교사 각각 22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사용된 검사도구로는 유아의 식생활 습관 및 음식패턴을 묻는 설문지를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유아의 또래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교사에게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식을 하지 않는 집단이 과식을 하는 집단보다 또래관계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규칙적인 식생활 습관을 가진 집단의 또래 관계가 긍정적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편식의 정도가 전반적인 또래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부정적 또래관계(공격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좋은 식생활 습관을 가진 아동은 또래간의 관계도 좋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음식패턴과 또래간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해서 살펴볼 때 올바른 식생활 습관 형성과 음식에 대한 고른 수용태도가 또래간의 관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에서의 꾸준한 식생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food pattern to their peer interaction in children. The subjects were 228 4-aged and 5-aged preschoolers' mothers and teachers. Their mothers were asked on their children's eating habit and food pattern, and the teachers were asked 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children who do not eat to excess have better peer relationship to their friend than the children who eat to much.
      Second, children who have a regular eating habits prone to have a positive peer interaction.
      Third, biased nutritioners have some more negative relations to their friends though they have no negative relations on general peer inter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ho have good eating habits also have a good peer interaction.
      And finally, food pattern also is an reliable index to peer relation.
      The results support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good eating habit, balanced diet and a good peer interac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food pattern to their peer interaction in children. The subjects were 228 4-aged and 5-aged preschoolers' mothers and teachers. Their mothers were asked on their children's 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relation between eating habits and food pattern to their peer interaction in children. The subjects were 228 4-aged and 5-aged preschoolers' mothers and teachers. Their mothers were asked on their children's eating habit and food pattern, and the teachers were asked 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children who do not eat to excess have better peer relationship to their friend than the children who eat to much.
      Second, children who have a regular eating habits prone to have a positive peer interaction.
      Third, biased nutritioners have some more negative relations to their friends though they have no negative relations on general peer inter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ildren who have good eating habits also have a good peer interaction.
      And finally, food pattern also is an reliable index to peer relation.
      The results support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good eating habit, balanced diet and a good peer inter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4
      • 목차 = ⅰ
      • Ⅰ. 서론 =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 2. 연구문제 = 3
      • 3. 용어의 정의 = 4
      • Ⅱ. 이론적 배경 = 5
      • 1. 식생활 습관의 개념과 중요성 = 5
      • 2. 사회적 능력의 개념 = 6
      • 3. 식생활 습관과 또래간의 관계 = 8
      • Ⅲ. 연구방법 = 12
      • 1. 연구대상 및 연구 절차 = 12
      • 2. 연구 도구 = 12
      • 가. 식생활 습관에 관한 조사 도구 = 12
      • 나. 또래관계에 관한 조사 도구 = 14
      • Ⅳ. 결과 및 해석 = 15
      • 1. 문항 분석 = 15
      • 2. 식생활 습관과 또래관계 결과 = 16
      • 가. 과식과 또래관계 = 16
      • 나. 식사의 규칙성과 또래관계 = 19
      • 다. 편식과 또래관계 = 22
      • 라. 식사태도와 또래관계 = 24
      • 3. 선호하는 음식패턴에 따른 또래관계 결과 = 27
      • Ⅴ. 결론 및 논의 = 33
      • 참고문헌 = 40
      • Abstract = 42
      • 부록 = 4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