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SS의 후성유전 조절 효소인 PRMT5와 HAT 활성의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T3-L1 지방세포에 MDI를 처리하여 지질축적 및 TG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SS는 세포독성에 ...
본 연구에서는 SS의 후성유전 조절 효소인 PRMT5와 HAT 활성의 억제를 통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T3-L1 지방세포에 MDI를 처리하여 지질축적 및 TG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SS는 세포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인 10 μM까지 처리했으며 지질과 TG 농도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따라서 SS는 항비만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vitro PRMT와 HAT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해 EGCG를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PRMT와 HAT 활성 효소 억제능은 SS 처리가 EGCG에 대비하여 각각 62%, 97% 억제하였다. 또한 3T3-L1 지방세포에서 specific HAT인 PCAF, CBP, p300의 유전자 발현량을 qRT-PCR로 확인한 결과, PCAF의 발현량이 SS 10 μM 처리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3T3-L1 지방세포에서 adipogenesis에 관여하는 인자인 PPARγ와 C/EBPα, lipogenesis에 관여하는 인자들(ACLY, ACC, FAS)의 단백질과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SS 10 μM 처리에서 adipogenesis 및 lipogenesis 관련 인자들의 단백질과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SS는 PRMT5와 HAT 활성 억제를 통해 항비만 효능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