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커피 원두 추출물을 이용한 효모 발효특성 및 항염증 효과 = Proper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Fermented Product Using Yeast on Roasted Coffee Beans Extrac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295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asted coffee beans hot-water extracts fermentation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SRCM102539. Live cell counts, soluble solids, pH, and total acidity of unfermented roasted coffee beans extracts (UFRCE) were 4.50 log CFU/mL, 21.27°Brix, 4.99, and 0.21%, respectively, and of fermented roasted coffee beans extracts (FRCE) were 6.72 log CFU/mL, 7.60°Brix, 4.56, and 0.30%, respectively. The organic acids present in FRCE were succinic acid (373.00 mg%), acetic acid (190.91 mg%), and citric acid (67.41 mg%). The glucose content of UFRCE was 23.89% (w/v), and the ethanol content of FRCE was 8.41% (w/v).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two extracts were evaluated using lipopolysaccharide (1 μg/ mL)-stimulated RAW 264.7 cells. FRCE inhibited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2 levels by 41.82% and 55.71%, respectively. Inhibition percentages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β for FRCE were 40.14% and 71.13%, respectively. Furthermore, FRCE inhibited the mRNA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by 58.01% and 41.23%, respectively. The study shows that fermentation with S. cerevisiae SRCM102539 increas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asted coffee beans extract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asted coffee beans hot-water extracts fermentation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SRCM102539. Live cell counts, soluble solids, pH, and total acidity of unfermented roasted c...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asted coffee beans hot-water extracts fermentation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SRCM102539. Live cell counts, soluble solids, pH, and total acidity of unfermented roasted coffee beans extracts (UFRCE) were 4.50 log CFU/mL, 21.27°Brix, 4.99, and 0.21%, respectively, and of fermented roasted coffee beans extracts (FRCE) were 6.72 log CFU/mL, 7.60°Brix, 4.56, and 0.30%, respectively. The organic acids present in FRCE were succinic acid (373.00 mg%), acetic acid (190.91 mg%), and citric acid (67.41 mg%). The glucose content of UFRCE was 23.89% (w/v), and the ethanol content of FRCE was 8.41% (w/v).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two extracts were evaluated using lipopolysaccharide (1 μg/ mL)-stimulated RAW 264.7 cells. FRCE inhibited nitric oxide and prostaglandin2 levels by 41.82% and 55.71%, respectively. Inhibition percentages of tumor necrosis factor-α and interleukin-1β for FRCE were 40.14% and 71.13%, respectively. Furthermore, FRCE inhibited the mRNA level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2 by 58.01% and 41.23%, respectively. The study shows that fermentation with S. cerevisiae SRCM102539 increas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roasted coffee beans extra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브라질산 생두에 고초균 발효를 하여 로스팅된 원두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액을 제조하였으며, 혼합액(RCE, 70% roasted coffee extract, 20% glucose, 1% yeast extract, 9% distilled water)에 Saccharomyces cerevisiae SRCM102539 균주를 접종하고 정치 배양(30°C, 5일)하여 효모 발효를 진행하였다. 효모 발효물의 발효 기간(5일)에 1일 간격으로 생균수, 이화학적 특성(수용성 고형분 함량, pH, 총산도), 유리당, 유기산 및 에탄올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효모 발효 전(0일 차, UFRCE), 후(5일 차, FRCE)의 생균수, 수용성 고형분 함량, pH 및 총산도의 변화는 4.50 log CFU/mL에서 6.72 log CFU/mL, 21.27°Brix에서 7.60 °Brix, 4.99에서 4.56, 0.21%에서 0.30%로 나타났다. HPLC 분석을 통한 UFRCE의 포도당 함량은 23.89%(w/v)였으나 FRCE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에탄올 함량은 FRCE에서 8.41%(w/v)로 분석되었다. FRCE의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373.00 mg%), acetic acid(190.91 mg%,), citric acid(67.41 mg%) 3종이 검출되었다. Lipopolysaccharide (1 μg/mL)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FRCE의 항염증 효과는 NO 및 PGE2 생성량의 감소, 세포 외로 분비된 사이토카인(TNF-α, IL-1β) 생성억제율 및 염증 관련 유전자(iNOS, COX-2) 발현량을 mRNA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FRCE 및 UFRCE는 0.5 mg/mL 이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양성대조구로 chlorogenic acid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FRCE의 항염증 효과는 0.5 mg/mL 처리 시 LPS 단독 처리구에 비해 NO, PGE2, TNF-α 및 IL-1β 생성량을 각각 41.82%, 55.71%, 40.14% 및 71.13% 감소시켰고, mRNA 수준에서 iNOS 및 COX-2의 발현량을 각각 58.01% 및 41.23%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커피 추출물을 이용한 효모 발효물이 효모 발효 과정을 통해 항염증 효능이 더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브라질산 생두에 고초균 발효를 하여 로스팅된 원두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액을 제조하였으며, 혼합액(RCE, 70% roasted coffee extract, 20% glucose, 1% yeast extract, 9% distilled water)에 Saccharomyces ...

      본 연구는 브라질산 생두에 고초균 발효를 하여 로스팅된 원두를 이용하여 커피 추출액을 제조하였으며, 혼합액(RCE, 70% roasted coffee extract, 20% glucose, 1% yeast extract, 9% distilled water)에 Saccharomyces cerevisiae SRCM102539 균주를 접종하고 정치 배양(30°C, 5일)하여 효모 발효를 진행하였다. 효모 발효물의 발효 기간(5일)에 1일 간격으로 생균수, 이화학적 특성(수용성 고형분 함량, pH, 총산도), 유리당, 유기산 및 에탄올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효모 발효 전(0일 차, UFRCE), 후(5일 차, FRCE)의 생균수, 수용성 고형분 함량, pH 및 총산도의 변화는 4.50 log CFU/mL에서 6.72 log CFU/mL, 21.27°Brix에서 7.60 °Brix, 4.99에서 4.56, 0.21%에서 0.30%로 나타났다. HPLC 분석을 통한 UFRCE의 포도당 함량은 23.89%(w/v)였으나 FRCE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에탄올 함량은 FRCE에서 8.41%(w/v)로 분석되었다. FRCE의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373.00 mg%), acetic acid(190.91 mg%,), citric acid(67.41 mg%) 3종이 검출되었다. Lipopolysaccharide (1 μg/mL)로 염증반응이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FRCE의 항염증 효과는 NO 및 PGE2 생성량의 감소, 세포 외로 분비된 사이토카인(TNF-α, IL-1β) 생성억제율 및 염증 관련 유전자(iNOS, COX-2) 발현량을 mRNA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FRCE 및 UFRCE는 0.5 mg/mL 이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양성대조구로 chlorogenic acid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FRCE의 항염증 효과는 0.5 mg/mL 처리 시 LPS 단독 처리구에 비해 NO, PGE2, TNF-α 및 IL-1β 생성량을 각각 41.82%, 55.71%, 40.14% 및 71.13% 감소시켰고, mRNA 수준에서 iNOS 및 COX-2의 발현량을 각각 58.01% 및 41.23%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커피 추출물을 이용한 효모 발효물이 효모 발효 과정을 통해 항염증 효능이 더 증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숙 ; 김유진 ; 임예니 ; 권오란, "한국 성인 남녀의 커피 섭취와 건강관련 삶의 질 및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 2013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1 (51): 538-555, 2018

      2 김영수 ; 송근섭, "키위 첨가 전통고추장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4 (34): 1091-1097, 2002

      3 황은선 ; 문소진, "커피콩 로스팅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및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1 (51): 697-705, 2022

      4 문경은 ; 오현화 ; 정도연 ; 김영수, "인삼농축액 발효식초의 진세노사이드 전환 및 RAW 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0 (50): 226-235, 2021

      5 심소연 ; 박우상 ; 신현승 ; 옥민 ; 조영수 ; 안희영, "유용 효모균주를 이용한 발효참당귀분말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9 (29): 1136-1143, 2019

      6 박태진 ; 심지한 ; 홍혜현 ; 한동환 ; 김승영, "생물전환 기법을 이용한 토란 뿌리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35 (35): 162-168, 2020

      7 가동순 ; 전현일 ; 오현화 ; 조승화 ; 정도연 ; 김영수 ; 송근섭, "사과와인과 농축 사과와인의 제조 및 이들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8 (48): 999-1006, 2019

      8 정지은 ; 조은주, "발효에 의한 대추의 항염증 증진 효과" 대한암예방학회 16 (16): 263-268, 2011

      9 김난영 ; 김혜자 ; 이주희 ; 이은경 ; 강옥화 ; 권동렬 ; 소홍섭 ; 이기남 ; 정명수, "물추출 발효대황과 에탄올추출 발효대황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비교" 한의병리학회 25 (25): 227-233, 2011

      10 김설아 ; 정선우 ; 안현주 ; 임찬규 ; 전미경 ; 장연진, "로스팅 단계에 따른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 원두의 형태 및 총 폴리페놀, 카페인, 클로로겐산의 함량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1 (51): 344-351, 2022

      1 김혜숙 ; 김유진 ; 임예니 ; 권오란, "한국 성인 남녀의 커피 섭취와 건강관련 삶의 질 및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 : 2013 ~ 2016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1 (51): 538-555, 2018

      2 김영수 ; 송근섭, "키위 첨가 전통고추장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4 (34): 1091-1097, 2002

      3 황은선 ; 문소진, "커피콩 로스팅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및 아크릴아마이드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1 (51): 697-705, 2022

      4 문경은 ; 오현화 ; 정도연 ; 김영수, "인삼농축액 발효식초의 진세노사이드 전환 및 RAW 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0 (50): 226-235, 2021

      5 심소연 ; 박우상 ; 신현승 ; 옥민 ; 조영수 ; 안희영, "유용 효모균주를 이용한 발효참당귀분말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9 (29): 1136-1143, 2019

      6 박태진 ; 심지한 ; 홍혜현 ; 한동환 ; 김승영, "생물전환 기법을 이용한 토란 뿌리 추출물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35 (35): 162-168, 2020

      7 가동순 ; 전현일 ; 오현화 ; 조승화 ; 정도연 ; 김영수 ; 송근섭, "사과와인과 농축 사과와인의 제조 및 이들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8 (48): 999-1006, 2019

      8 정지은 ; 조은주, "발효에 의한 대추의 항염증 증진 효과" 대한암예방학회 16 (16): 263-268, 2011

      9 김난영 ; 김혜자 ; 이주희 ; 이은경 ; 강옥화 ; 권동렬 ; 소홍섭 ; 이기남 ; 정명수, "물추출 발효대황과 에탄올추출 발효대황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비교" 한의병리학회 25 (25): 227-233, 2011

      10 김설아 ; 정선우 ; 안현주 ; 임찬규 ; 전미경 ; 장연진, "로스팅 단계에 따른 아라비카 커피(Coffea arabica) 원두의 형태 및 총 폴리페놀, 카페인, 클로로겐산의 함량 변화" 한국식품영양과학회 51 (51): 344-351, 2022

      11 이수경 ; 김문무, "대식 세포인 Raw264.7 cell에서 scopoletin의 항염증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5 (25): 1377-1383, 2015

      12 엄성환 ; 이배진 ; 김영목, "다시마 추출액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대한 효모 발효의 영향" 한국수산과학회 43 (43): 117-124, 2010

      13 장만생 ; 이거룡, "Saccharomyces cerevisiae JIS 균주로 발효한 오디와인의 대사체 분석"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7 (27): 232-241, 2020

      14 이하민 ; 채정호 ; 정영은,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 추출물 SCP-20의 스트레스 반응, 불안 및 우울에 대한 효과:이중 맹검 위약 통제 연구" 대한불안의학회 5 (5): 8-13, 2009

      15 김기현 ; 이준형 ; 권기석 ; 서을원 ; 이중복, "Monascus sp. BHN-MK로 발효생산한 홍국 에탄올 추출물의 Raw 264.7 대식세포에 있어 친-염증성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30 (30): 352-358, 2020

      16 송채영 ; 오태우 ; 김훈환 ; 이유빈 ; 김정옥 ; 김곤섭 ; 하영래, "LPS로 활성화한 RAW 264.7 세포에서 HK표고버섯균사체의 NF-kB 활성 억제를 통한 항염증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32 (32): 491-500, 2022

      17 백지윤 ; 강기성 ; 이아영 ; 김현영, "LPS로 유도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닭발, 오가피, 두충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한국생물공학회 35 (35): 330-336, 2020

      18 조범길 ; 방인석, "JAK/STAT 신호전달 경로를 통한 LPS 유도 RAW 264.7 세포의 염증에 대한 노니의 항염증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32 (32): 125-134, 2022

      19 Kim HK, "Effects of naturally occurring flavonoid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the macrophage cell line RAW 264. 7 and their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58 : 759-765, 1999

      20 ISO, "Determination of cytotoxicity. In: Biological evaluation of medical devices-Part 5: ISO 10993-5 Test for in vitro cytotoxicity"

      21 Shan J, "Chlorogenic acid inhibits lipopolysaccharide-induced cyclooxygenase-2 expression in RAW264. 7cells through suppressing NF-κB and JNK/AP-1 activation" 9 : 1042-1048, 2009

      22 정수한 ; 김민형 ; 박재희 ; 정윤화 ; 고광석, "Cellula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ffee Extracts with Different Roasting Level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 (20): 626-635, 2017

      23 홍혜현 ; 박태진 ; 강민성 ; 김승영, "Biorenovation 생물전환 기법을 이용한 비트 추출물의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 대한 항염증 효과" 한국생물공학회 36 (36): 123-129, 2021

      24 Rao X, "An improvement of the 2-ΔΔCT method for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data analysis" 3 (3): 71-85,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