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반 교사의 놀이지원에 관한 질적 탐구 = A Study on the Infant and Toddler Teacher's Practice for Play Support Based on the Infant- Centered⋅Play-oriented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24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present study pursued to provide the frame of explanation and to examine the teacher's practical experiences of infant-centered⋅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videos of play cases for the infant and toddler classes aged 0 to 2 years old in six daycare centers that were selected for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Competition. Data analysis was based on the methods of Grounded theory, the three-step analysis consists of open coding, axis coding, selective coding. In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the meaning and intention of the experience as a play supporter beyond the simple description of what teachers do.
      Results: Findings were as follows: Teachers started to support play by observing and reading the infant and toddler's play behavior sensitively. And teachers provided time, space, and play materials as an environment that could lead the infant and toddler to play. Teachers supported Infant and toddler to fully enjoy play by using methods suitable for their developmental level, and they were following the infant and toddler's play by observing and reading the play behavior while playing.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role of teachers as play supporter in the infant-centered⋅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and to conduct that various case studies and semantic analysis studi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번역하기

      Objective: The present study pursued to provide the frame of explanation and to examine the teacher's practical experiences of infant-centered⋅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videos of play cases for the infant and t...

      Objective: The present study pursued to provide the frame of explanation and to examine the teacher's practical experiences of infant-centered⋅play-oriented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videos of play cases for the infant and toddler classes aged 0 to 2 years old in six daycare centers that were selected for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Competition. Data analysis was based on the methods of Grounded theory, the three-step analysis consists of open coding, axis coding, selective coding. In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the meaning and intention of the experience as a play supporter beyond the simple description of what teachers do.
      Results: Findings were as follows: Teachers started to support play by observing and reading the infant and toddler's play behavior sensitively. And teachers provided time, space, and play materials as an environment that could lead the infant and toddler to play. Teachers supported Infant and toddler to fully enjoy play by using methods suitable for their developmental level, and they were following the infant and toddler's play by observing and reading the play behavior while playing.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the role of teachers as play supporter in the infant-centered⋅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and to conduct that various case studies and semantic analysis studi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y of infant and toddler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반 놀이사례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 역할과 경험을 분석하여 현장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A광역지방자치단체의 육아종합지원센터 놀이사례 동영상 공모전에 당선된 6개소 어린이집의 영아반 놀이영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0세반 1개소, 1세반 3개소, 2세반 2개소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의 방법을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3단계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 역할과 이에 따른 영아들의 놀이경험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는 영아의 행동을 민감하게 읽어내는 데서 놀이지원을 시작하였고, 영아를 놀이로 이끌 수 있는 환경으로서 시간, 공간, 놀이감을 제공하였다. 또한 발달 수준에 적합한 방식을 활용하여 영아들이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였으며, 놀이 진행 중에도 놀이 행동을 읽어내며 영아들의 놀이를 따라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영아반 교사역할을 제시하는 유용한 자료일 뿐 아니라, 영아반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추후 다양한 사례 발굴 및 의미 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반 놀이사례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 역할과 경험을 분석하여 현장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A광역지방자...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반 놀이사례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 역할과 경험을 분석하여 현장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A광역지방자치단체의 육아종합지원센터 놀이사례 동영상 공모전에 당선된 6개소 어린이집의 영아반 놀이영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0세반 1개소, 1세반 3개소, 2세반 2개소였다. 자료 분석은 근거이론의 방법을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3단계 분석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 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교사 역할과 이에 따른 영아들의 놀이경험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의 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교사는 영아의 행동을 민감하게 읽어내는 데서 놀이지원을 시작하였고, 영아를 놀이로 이끌 수 있는 환경으로서 시간, 공간, 놀이감을 제공하였다. 또한 발달 수준에 적합한 방식을 활용하여 영아들이 놀이를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였으며, 놀이 진행 중에도 놀이 행동을 읽어내며 영아들의 놀이를 따라가고 있었다. 본 연구는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의 영아반 교사역할을 제시하는 유용한 자료일 뿐 아니라, 영아반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하여 추후 다양한 사례 발굴 및 의미 분석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혜 ; 이진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만2세 영아반 자유놀이시간의 효율적 운영 방안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79-104, 2021

      2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3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021

      4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보건복지부 2020

      5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2019

      6 한유진 ; 이대균, "유아반 놀이 중심 교육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17 (17): 5-39, 2022

      7 김태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놀이지원자 역할실행에 대한 유아반 보육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8 윤민아,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5-30, 2019

      9 임명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놀이지원자로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변화" 한국보육학회 21 (21): 43-68, 2021

      10 서동미 ; 고선아, "영아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교사 지원 방안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81-103, 2021

      1 이지혜 ; 이진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만2세 영아반 자유놀이시간의 효율적 운영 방안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2 (22): 79-104, 2021

      2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3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해설서" 보건복지부 2021

      4 보건복지부,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보건복지부 2020

      5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부 2019

      6 한유진 ; 이대균, "유아반 놀이 중심 교육의 실천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한국육아지원학회 17 (17): 5-39, 2022

      7 김태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놀이지원자 역할실행에 대한 유아반 보육교사의 인식 및 어려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8 윤민아,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천에 대한 어려움과 현장 지원 요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9 (39): 5-30, 2019

      9 임명희,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놀이지원자로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변화" 한국보육학회 21 (21): 43-68, 2021

      10 서동미 ; 고선아, "영아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교사 지원 방안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5 (25): 81-103, 2021

      11 유기미, "영아반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적경험" 중부대학교 대학원 2022

      12 박경민, "영아반 교사들이 경험한 놀이중심 제4차표준 보육과정에 관한 이야기" 배재대학교 대학원 2022

      13 임승렬 ; 김연미 ; 이민지, "영아교사의 놀이 인식과 놀이지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231-250, 2021

      14 신미선,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15 Graue, M. E., "어린이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방법론" 파워북 2014

      16 이영, "부모⋅교사와 함께 하는 영아놀이" 다섯수레 2006

      17 김효진 ; 허혜경, "만2세반 영아중심⋅놀이중심 보육과정 실천과정에서 교사의 놀이 경험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573-591, 2021

      18 이옥희 ; 박성은 ; 송나리, "만 2세 다정반의 놀이 중심 보육과정 실천에 대한 실행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41 (41): 165-202, 2021

      19 배은진, "누리과정 효과성 분석 연구(Ⅲ): 유아관찰앱 개발 및 적용" 육아정책연구소 2020

      20 정주인 ; 권귀염, "놀이중심교육과정 시대: 변화를 위한 유아교사들의 시도" 한국유아교육학회 40 (40): 93-118, 2020

      21 진다정 ; 이승연,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운영과정과 의미 -하늘초병설유치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소 23 (23): 26-57, 2021

      22 우현경, "놀면서자란다 영아(0~2세 보육과정)"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20

      23 우현경, "놀면서 자란다 유아(3~5세 보육과정)"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2020

      24 Strauss, A., "근거이론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2008

      25 우현경, "‘아이들 놀이를 따라가 볼까?’ 제4차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영아 프로그램" 경기도육아종합지원센터 2021

      26 Kitson, N, "The excellence of play" Open University Press 88-98, 1994

      27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Allyn & Bacon 2006

      28 보건복지부, "3-5세 누리과정" 보건복지부 2019

      29 유승연,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의 놀이 실행과정 및 교사의 놀이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4 (24): 75-100, 2020

      30 김은영, "2019 개정 누리과정」모니터링 및 지원방안 연구(Ⅰ)" 육아정책연구소 2020

      31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32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이해자료"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33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2 1.92 2.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7 1.93 2.336 0.8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