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SNS 과의존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Overdependence on SNS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46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 과의존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 북부에 위치한 중학교 2곳에 재학 중...

      본 연구는 중학생의 SNS 과의존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시 북부에 위치한 중학교 2곳에 재학 중인 청소년과 청소년센터 3곳을 이용하는 청소년 346명을 대상으로 2020년 7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SNS 과의존은 우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SNS 과의존은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SNS 과의존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를 과하게 사용한 중학생은 사이버불링 가행행동이 높았으며, 우울한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가해행동도 높았다. 이런 결과는 중학생의 SNS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나 프로그램 개발에 사용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민정 ; 정경미 ; 김은성, "한국 청소년들의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성차 연구: 발현시기와 연령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93-114, 2012

      2 황성욱 ; 박재진,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 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91) : 68-95, 2011

      3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코로나19로 바뀐 일상: 청소년, 보호자 체감도 조사 및 대응방안" 1-14, 2020

      4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코로나19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발표"

      5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코로나19 이후 1년, 청소년 정신건강 변화 기록" 1-16, 2021

      6 김종길,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과 학업스트레스가 사이버 불링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학회 9 (9): 47-68, 2013

      7 고은주 ; 김계숙 ; 김진욱, "청소년의 우울이 사이버블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간 폐쇄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52 : 249-272, 2019

      8 곽금주,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 및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6 (6): 29-43, 1993

      9 유선미 ; 김정민 ; 김찬권,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63-82, 2017

      10 경승구 ; 김진욱,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 과의존, 게임중독, SNS 중독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52 : 179-200, 2019

      1 신민정 ; 정경미 ; 김은성, "한국 청소년들의 우울 및 불안에 대한 성차 연구: 발현시기와 연령별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31 (31): 93-114, 2012

      2 황성욱 ; 박재진,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 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한국광고홍보학회 (91) : 68-95, 2011

      3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코로나19로 바뀐 일상: 청소년, 보호자 체감도 조사 및 대응방안" 1-14, 2020

      4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코로나19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조사 발표"

      5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코로나19 이후 1년, 청소년 정신건강 변화 기록" 1-16, 2021

      6 김종길, "청소년의 폭력피해경험과 학업스트레스가 사이버 불링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학회 9 (9): 47-68, 2013

      7 고은주 ; 김계숙 ; 김진욱, "청소년의 우울이 사이버블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간 폐쇄적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52 : 249-272, 2019

      8 곽금주,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 및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6 (6): 29-43, 1993

      9 유선미 ; 김정민 ; 김찬권,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3 (33): 63-82, 2017

      10 경승구 ; 김진욱,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관한 연구: 스마트폰 과의존, 게임중독, SNS 중독 영향요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생명문화연구소 52 : 179-200, 2019

      11 고은혜 ; 배상률,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 SNS 이용행태 및 부모중재 유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51-472, 2016

      12 이창호,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이용실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13 조춘범, "청소년의 사이버불링 피해경험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71-92, 2015

      14 김은경, "청소년의 사이버 불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15 전지형 ; 김리원, "청소년의 SNS 중독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관계의 조절효과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499-506, 2021

      16 김혜영 ; 민정식, "청소년들의 사이버불링(Cyberbullying)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온오프라인 폭력피해경험 및 소셜미디어 중독, 자기통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8 (8): 323-333, 2014

      17 강차연, "청소년 심리 및상담" 교문사 2010

      18 이성식, "청소년 사이버일탈의 설명요인에 관한일 연구 : 기존 현실일탈에서의 주요 요인의 적용을중심으로" 57 : 121-154, 2004

      19 김진욱 ; 박수빈 ; 권진, "청소년 사이버윤리로서의 SNS과의존과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대한 연구 - 아버지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한 학업스트레스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 한국환경철학회 (28) : 127-155, 2019

      20 김신아 ; 방은혜 ; 한윤선,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동 예측요인 탐색을 위한 국내연구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7 (17): 18-33, 2017

      21 오태곤, "중학생의 사이버불링 피해 경험과 정서행동과의 관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8 (18): 207-215, 2013

      22 조맹제, "주요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32 (32): 381-399, 1993

      23 이주영 ; 오경자,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청소년기 우울과 비행의 시간적 발달 관계 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497-518, 2011

      24 김태희 ; 신현균,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빈곤 가정 아동의 우울 취약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역기능적 태도와 낮은 자존감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30 (30): 907-927, 2011

      25 임양화, "우울한 아동의 귀인유형" 8 (8): 69-76, 1989

      26 고은희 ; 김은정, "우울, 주의집중의 어려움, 인터넷 사용빈도 및 교사/친구관계가 청소년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2 (22): 1-26, 2015

      27 장여옥 ; 조남억,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지역 청소년을 중심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1 (11): 137-156, 2014

      28 이창호 ; 이경상, "소셜미디어 이용시간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 탐구 : 네트워크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259-285, 2013

      29 이상호, "소셜미디어 사용자의 중독에 관한 정책적 함의 연구: 한국형 SNS 중독지수(KSAI) 제안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55-265, 2013

      30 고상민 ; 황보환 ; 지용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와 온라인 사회적 자본:한국과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5 (15): 103-118, 2010

      31 한국정보화진흥원, "소리없는 폭력, 사이버왕따진단과 해법 세미나 자료집"

      32 강경래, "사이버블링(cyberbullying)의 이해와 대응방안" 한국소년정책학회 28 (28): 1-29, 2015

      33 이성식, "사이버불링의 가해와 피해의 관계에서 하위문화환경 및 개인성향에 따른 조건적 효과와 그 성별 차이" 한국피해자학회 24 (24): 87-112, 2016

      34 최진오, "사이버불링 피해경험이 사이버불링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불안의 매개효과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 (사)위기관리이론과실천 11 (11): 195-214, 2015

      35 김영희, "사이버불링 가・피해경험과 중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공감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6 이수경 ; 오인수, "사이버 괴롭힘과 오프라인 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비교 분석" 교육연구소 13 (13): 137-161, 2012

      37 장여옥,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인관계능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35-255, 2017

      38 박민정 ; 정미영, "대학생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30 (30): 38-46, 2019

      39 Patchin, J, W.,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bullying among youth : A test of general strain theory" 43 (43): 727-751, 2011

      40 Chou, H. T. G., "They are happier and having better lives than I am: The impact of using Facebook on perceptions of others'lives" 15 (15): 117-121, 2012

      41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42 Weiser, E. B., "The functions of Internet use and their soci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4 (4): 723-743, 2001

      43 Radloff, L. S.,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1 (1): 385-401, 1977

      44 Andreassen, C, S., "Social network site addiction-an overview" 20 (20): 4053-4061, 2014

      45 조성현 ; 서경현, "SNS 중독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내현적 자기애, 자기제시 동기 및 소외감을 중심으로" 한국건강심리학회 18 (18): 239-250, 2013

      46 이소영 ; 전혜정, "SNS 이용시간에 따른 청소년의 우울 및 충동성 차이"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7607-7616, 2015

      47 가상준 ; 김강민 ; 임재형, "SNS 사용문화가 청소년의 학교폭력 및 사이버폭력에 미치는 영향" 분쟁해결연구센터 11 (11): 159-208, 2013

      48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015

      49 Valkenburg, P. M., "Preadolescents’and adolescents’ online communication and their closeness to friends" 43 (43): 267-277, 2007

      50 Pantic, I.,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mental health" 17 (17): 652-657, 2014

      51 Parris, L., "High school students’perceptions of coping with cyberbullying" 44 (44): 284-306, 2012

      52 Andreassen C. S., "Deve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110 (110): 501-517, 2012

      53 Beck, A. T., "Depression. Clinical,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Aspects" 1967

      54 Kowalski, R. M., "Cyberbullying: Bullying in the digital age" John Wiley & Sons 2012

      55 Olweus, D., "Bullying at school :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Blackwell 1993

      56 Hinduja, S., "Bullying Beyond the Schoolyard: Preventing and Responding to Cyberbulling" Sage Publication 2009

      57 Patchin, J. W., "Bullies move beyond the schoolyard : A preliminary look at cyberbullying" 4 (4): 148-169, 2006

      58 Sobel, M. E.,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 : 290-312, 1982

      59 서울특별시립청소년활동진흥센터, "2021 서울특별시 청소년정책지표 조사" 서울특별시립청소년활동진흥센터 2021

      60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0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한국지능정보화진흥원 2020

      61 여성가족부, "2019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2020

      6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논문집 청소년시설환경 -> 청소년시설환경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8 1.094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