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명옥, "현대 한국어의 공시 형태론" 서울대 출판부, 2008
2 최명옥, "한국어 형태론의 문제점과 그 대안" 서강인문논총 22 : 19 ~ 52, 2007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 Ⅶ(경상북도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4 최명옥,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 13 ~ 39, 2006
5 申承遠, "의성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 活用을 中心으로" 영남대, 1982
6 정 철, "의성지방의 모음체계" 동양문화연구(경북대) 2 : 1 ~ 16, 1975
7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자료(Ⅲ)" 영남어문학 28 : 71 ~ 134, 1995
8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자료(Ⅱ)" 영남어문학 22 : 115 ~ 177, 1992
9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자료(Ⅰ)" 영남어문학 20 : 233 ~ 296, 1991
10 정 철, "의성 방언의 축약과 운율소" 어문논총 28 (1) : 111 ~ 123, 1994
1 최명옥, "현대 한국어의 공시 형태론" 서울대 출판부, 2008
2 최명옥, "한국어 형태론의 문제점과 그 대안" 서강인문논총 22 : 19 ~ 52, 2007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 Ⅶ(경상북도 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4 최명옥,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태학사 : 13 ~ 39, 2006
5 申承遠, "의성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 活用을 中心으로" 영남대, 1982
6 정 철, "의성지방의 모음체계" 동양문화연구(경북대) 2 : 1 ~ 16, 1975
7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자료(Ⅲ)" 영남어문학 28 : 71 ~ 134, 1995
8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자료(Ⅱ)" 영남어문학 22 : 115 ~ 177, 1992
9 신승원, "의성 지역어의 조사자료(Ⅰ)" 영남어문학 20 : 233 ~ 296, 1991
10 정 철, "의성 방언의 축약과 운율소" 어문논총 28 (1) : 111 ~ 123, 1994
11 최명옥, "월성지역어의 음운론" 영남대 출판부, 1982
12 최명옥, "어문학 연구의 넓이와 깊이" 역락 : 393 ~ 431, 2006
13 최명옥, "어간의 재구조화와 교체형의 단일화 방향" 성곡논총 24 : 1599 ~ 1642, 1993
14 김봉국, "복수기저형의 설정과 그 타당성 검토" 어학연구 39 (3) : 559 ~ 578, 2003
15 최명옥, "변칙동사의 음운현상에 대하여: p-, s-, t- 변칙동사를 중심으로" 국어학 14 : 41 ~ 68, 1985
16 최명옥, "변칙동사의 음운현상에 대하여 : lɨ-, lə-, ɛ(jə)-, h-변칙동사를 중심으로" 어학연구 24 (1) : 149 ~ 188, 1988
17 최명옥, "국어음운론" 태학사 태학사, 2004
18 배주채, "고흥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 1994
19 정 철, "경북의성방언의 전설고모음화현상" 어문논총 23 (1) : 27 ~ 41, 1989
20 국립국어원, "경북 지역어 조사 보고서 : 의성군 봉양면 Ⅶ(경상북도편)" 2009
21 申承遠, "경북 의성지역어의 음운론적 분화 연구" 嶺南大學校 大學院, 1997
22 최명옥, "경북 상주지역어의 공시음운론" 방언학 4 : 193 ~ 231, 2006
23 최명옥, "경북 동해안 방언 연구" 영남대 출판부, 1980
24 김봉국, "강원도 남부지역 방언의 음운론" 서울대, 2002
25 鄭 喆, "慶北 義城方言의 音韻論的 硏究" 서울대, 1989
26 곽충구, "21세기국어학의 과제" 월인 : 1123 ~ 1166,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