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네트워크 분석과 한국 고대사 연구의 접목 가능성 -함안 성산산성 목간을 중심으로- = Applicability of Network Analysis in Ancient Korean History Studies -Focusing on the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88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network analysis' and ancient history research was examined for the data of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in Haman. Network analysis is also call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he analysis target is �...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network analysis' and ancient history research was examined for the data of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in Haman. Network analysis is also call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he analysis target is ‘nodes’, and their connections are ‘links’, and the analysis concept of ‘centrality’ is widely used.
      In Western archeology and ancient history research, network analysis research ha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late 2000’s, and it is divided into three types: geography, archaeological material, and literature data. The domestic archaeologist also started to use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in 2019, and in ancient history research,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started to be used in research on history of historiography from 2020.
      In order to combine network analysis with research on Korean ancient histor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d use of geography, archeological material, and literature data, establishment of Open Access DB, intervention of ancient history researchers to criticize historical materials, use of excavated text data, and a diachronic perspective.
      The source of Korean ancient history that is consistent with this discussion is the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The name of the region divided into the upper administrative unit and the lower administrative unit are written on the tablets. In these areas, goods were sent along the Naktonggang River to Sŏngsan fortress.
      toponymic data of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and the network structures of Sŏngsan fortress and upper administrative units were visualized with UCINET and Netdraw programs. The analysis of this study is at a rudimentary level, but in the future, if archaeological and geographic data related to wooden tablets are combined together, an in-depth analysis will be possible.
      If network analysis is applied to research on ancient history, excavated text data such as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with a lot of data and archaeological properties will be a good analysis targ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함안 성산산성 목간 데이터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과 고대사 연구의 접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분석은 다수 행위자의 상호작용과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론으...

      본고에서는 함안 성산산성 목간 데이터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과 고대사 연구의 접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네트워크 분석은 다수 행위자의 상호작용과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SNA)으로도 불린다. 분석 대상은 노드(nodes), 이들의 연결은 링크(links) 등으로 명명되며, 중심성(centrality)이라는 분석 개념이 널리 활용된다.
      서양의 고고학, 고대사 연구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네트워크 분석 연구가 급증하였는데, 데이터 종류에 따라 지리‧물질문화‧문헌 데이터 등 3가지로 구분된다. 국내 고고학계에서도 2019년부터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기 시작하였고, 고대사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사학사적 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연구동향에서 네트워크 분석과 한국 고대사 연구의 접목에 필요한 시사점이 도출된다. 예를 들어, 지리‧물질문화‧문헌 데이터의 통합 활용, Open Access DB 구축, 데이터의 사료비판 등에 고대사 연구자의 개입, 데이터 수량 확보를 위한 출토 문자자료나 사학사적 데이터 활용, 분석 과정에서 통시적 조망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사점에 부합하는 한국 고대사 자료는 함안 성산산성 목간이다. 성산산성 목간은 주로 지명과 인명 등을 적은 하찰목간이다. 지명은 상위 행정단위와 하위 행정단위의 순서로 기재되었고, 본파, 아나, 말나 등의 하위 지역단위를 추가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지명은 목간 수량으로 볼 때 낙동강 중상류, 낙동강 상류, 변경 지역 등으로 크게 구분된다.
      본고에서는 성산산성 목간의 지명 데이터를 대상으로 시론적인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성산산성과 상위 행정단위의 네트워크 구조를 UCINET과 Netdraw 프로그램으로 시각화하였다. 예를 들어, 감문과 고타는 하위 지역단위와 자연촌이 결합한 복잡한 구조, 구리벌은 수량이 많지만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보였다. 이러한 지명 데이터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은 초보적인 수준에 그쳤다. 향후 물품명이나 목간 형태, 서체, 교통로 등을 결합하여 분석하면, 지역별 하위 네트워크나 신라의 촌 지배방식 등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도 가능할 것이다.
      향후 고대사 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을 접목한다면, 데이터 수량이 비교적 많고 고고학적 속성을 함께 갖춘 성산산성 목간과 같은 출토 문자자료가 좋은 분석 대상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해발고도, 교통로 등 지리 데이터도 함께 결합하여 분석해볼 수 있다. 단, 자료의 신뢰도 검증과 역사적 맥락의 해석에는 고대사 연구자의 개입이 필수적이며, 분석 과정이나 결과 해석에서 ‘통시성’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onathan Turner, "현대사회학 이론" 나남 2019

      2 전덕재, "함안성산산성 출토 신라 하찰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3) : 2009

      3 김도영,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제작 유형과 제작 단위" 한국목간학회 (26) : 223-261, 2021

      4 전덕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구현황과 쟁점" 신라문화연구소 (31) : 1-35, 2008

      5 전덕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내용과 중고기 신라의 수취체계" 한국역사연구회 (65) : 223-251, 2007

      6 박현정,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개요" 한국목간학회 (21) : 37-75, 2018

      7 이경섭, "함안 城山山城출토 新羅木簡연구의 흐름과 전망" (10) : 2013

      8 윤선태, "한국의 고대목간 Ⅱ" 2017

      9 이용현, "한국고대목간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10 홍은경, "한국 신석기시대 사회관계망분석(SNA)을 위한 예비검토" 중부고고학회 18 (18): 5-36, 2019

      1 Jonathan Turner, "현대사회학 이론" 나남 2019

      2 전덕재, "함안성산산성 출토 신라 하찰목간의 형태와 제작지의 검토" (3) : 2009

      3 김도영,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제작 유형과 제작 단위" 한국목간학회 (26) : 223-261, 2021

      4 전덕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구현황과 쟁점" 신라문화연구소 (31) : 1-35, 2008

      5 전덕재,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내용과 중고기 신라의 수취체계" 한국역사연구회 (65) : 223-251, 2007

      6 박현정,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개요" 한국목간학회 (21) : 37-75, 2018

      7 이경섭, "함안 城山山城출토 新羅木簡연구의 흐름과 전망" (10) : 2013

      8 윤선태, "한국의 고대목간 Ⅱ" 2017

      9 이용현, "한국고대목간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10 홍은경, "한국 신석기시대 사회관계망분석(SNA)을 위한 예비검토" 중부고고학회 18 (18): 5-36, 2019

      11 클라우스 슈밥,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12 강동석, "지석묘사회의 네트워크 구조와 성격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105 (105): 5-43, 2019

      13 전덕재,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48) : 85-124, 2007

      14 하효지 ; 문성민 ; 최경철 ; 홍은빈 ; 이상국 ; 이경원, "조선시대 역사적 인물들 간의 정치적 관계에 대한 시각적 분석: 서거정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32 (32): 147-161, 2019

      15 박준영, "역사·고고학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 고대 영산강유역과 가야 권역 출토 구슬 자료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9 (79): 85-115, 2022

      16 허수, "어휘 연결망을 통해 본 ‘제국’의 의미― ‘제국주의’와 ‘제국’을 중심으로 ―" 대동문화연구원 (87) : 501-562, 2014

      17 윤선태, "신라 중고기의 村과 徒" 한국고대사학회 25 : 131-170, 2002

      18 곽기영, "소셜네트워크분석" 청람 2017

      19 이경섭, "성산산성 출토 신라 짐꼬리표[荷札] 목간의 地名 문제와 제작 단위" 신라사학회 (23) : 535-578, 2011

      20 이경섭, "성산산성 목간과 신라사 연구" 한국고대사학회 (97) : 175-212, 2020

      21 김용학, "사회연결망 분석의 기초개념 : 구조적 권력과 연결망 중심성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8 : 141-163, 1987

      22 김용학, "사회 연결망 이론" 박영사 2003

      23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03

      24 서호준, "빅데이터와 한국 고대사 연구경향" 대구사학회 144 : 1-71, 2021

      25 고일홍, "북한의 발해 연구사 서술을 위한 새로운 접근 — 북한 학술지 목록화 사업 결과물을 활용한 내용분석" 인문학연구원 77 (77): 193-237, 2020

      26 임동민, "백제 한성기 해양 네트워크 연구" 고려대학교 2022

      27 고일홍, "네트워크 시각화와 고고학 자료의 활용 낙랑고분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9 (79): 49-84, 2022

      28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방법의 활용과 한계" 청람 2018

      29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청람 2012

      30 권인한, "고대 지명형태소 ‘本波/本彼’에 대하여" 2 : 2008

      31 정진수 ; 김학용, "고구려, 백제, 신라 왕조실록 인명 네트워크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1 (11): 474-480, 2011

      32 고일홍, "고고학 자료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외래유물 유통망 검토: 영남지역 무덤 출토 오수전의 해석을 위한 융복합적 시도" 아시아연구소 11 (11): 49-78, 2021

      33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韓國의 古代木簡 Ⅱ"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7

      34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韓國의 古代木簡"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4

      35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韓國木簡字典"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1

      36 武田幸男, "眞興王代における新羅の赤城經營" (93) : 1979

      37 溝口孝司, "彌生社會の組織とその成層化: コミュニケーション・偶發性・ネットワーク" (57) : 2010

      38 이경섭, "城山山城 출토 荷札木簡의 製作地와 機能" 한국고대사학회 (37) : 113-156, 2005

      39 이용현, "城山山城 木簡에 보이는 신라의 지방경영과 곡물·인력 관리-城下麥 서식과 本波, 喙의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학술원 (17) : 5-51, 2021

      40 朱甫暾, "咸安城山山城出土木簡의 基礎的檢討" (19) : 2000

      41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咸安城山山城Ⅰ"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8

      42 이경섭, "咸安 城山山城 木簡의 硏究現況과 課題" 신라문화연구소 (23) : 205-228, 2004

      43 윤선태, "咸安 城山山城 出土 新羅 荷札의 再檢討" 수선사학회 (41) : 147-178, 2012

      44 朴方龍, "南山新城碑第9碑에 대한 檢討" (53) : 1994

      45 허수, "『개벽』 논조의 사회주의화에 관한 새로운 접근 — 토픽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8 (78): 221-262, 2021

      46 이상국, "‘빅데이터’ 분석 기반 한국사 연구의 현황과 가능성: 디지털 역사학의 시작" 한국통계학회 29 (29): 1007-1023, 2016

      47 Brughmans, Tom, "Thinking Through Networks: A Review of Formal Network Methods in Archaeology" 20 (20): 2013

      48 Leif Isaksen, "The application of network analysis to ancient transport geography-A case study of Roman Baetica" 4 : 2008

      49 Ruffini Giovanni, "Social Networks in Byzantine Egyp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50 Christian Rollinger, "Prolegomena. Problems and Perspectives of Historical Network Research and Ancient History" 4 : 2020

      51 Graham, "Networks, agent-based models and the Antonine itineraries" 19 (19): 2006

      52 Anna Collar, "Networks in Archaeology: Phenomena, Abstraction, Representation" 22 (22): 2015

      53 Carl Knappett, "Network Analysis in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4 Emma Blake, "Network Analysis in Archa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3

      55 Peeples, Matthew A., "Finding a place for Networks in Archeology" 27 (27): 2019

      56 Brughmans, T., "Connecting the Dots: Towards Archaeological Network" 29 (29): 2010

      57 Diane Harris Cline, "Athens as a Small World" 4 : 2020

      58 임동민, "Advanced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Korean Ancient History - Study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cipher Wooden Tablets and the restoration of ancient historical remains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 한국사연구소 24 (24): 13-45, 2019

      59 강나리, "A Study of Past Research on Sŏngsan Fortress Wooden Tablets and an Examination of Exacavated Wooden Tablet Documents" 한국사연구소 22 (22): 115-154, 2017

      60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4차 산업혁명과 한국사 연구" 역사인 2019

      61 정구복, "(개정증보) 역주 삼국사기4-주석편(하)"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2.615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