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약제 중단 후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평가한 기도가역성 지표의 변화: 예비 연구 = Changes in the Indices of Bronchial Reversibility Assessed by the Office Spirometry and Their Relationship to Asthma Symptoms after Discontinuing Controller Medication in Children with Controlled Asthma: Pilot Stud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688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It is important to assess the level of control in asthmatic children who were well-controlled and thus discontinued controller medications. Office spirometry has been regarded to provide objective measures. We aimed to see time changes in lung function indices measured by the office spirometry and their relationship to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after discontinuation of controller medications.
      Methods:As a pilot study, a total of 20 well-controlled children with persistent asthma were included. After discontinuing controller medications, each made follow-up visits at the 2nd, 6th, and 12th week. At each visit, spirometric values before and after bronchodilators were evaluated by the office-based spirometer. Time changes and their relationship to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were assessed.
      Results:Among 20 children, 13 (65%) were successfully followed-up for 12 weeks with asthma kept stable. They presented similar spirometric values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bronchodilator responses [BDRs] based on the FEV1 and PEFR) across all time-points. No differences in spirometric values were found between those who were stable and those who exhibited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BDRs calculated from FEV1 values (BDRFEV1) correlated well with those calculated from PEFR values (BDRPEFR).
      Conclusion:When controller medications were discontinued in children with well-controlled asthma, many of them were able to maintain the stable condition. Since the spirometric measures including BDR failed to differentiate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the usefulness of office spirometry needs to be reevaluated by the larger population of children with controlled asthma after discontinuing medications.
      번역하기

      Purpose:It is important to assess the level of control in asthmatic children who were well-controlled and thus discontinued controller medications. Office spirometry has been regarded to provide objective measures. We aimed to see time changes in lung...

      Purpose:It is important to assess the level of control in asthmatic children who were well-controlled and thus discontinued controller medications. Office spirometry has been regarded to provide objective measures. We aimed to see time changes in lung function indices measured by the office spirometry and their relationship to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after discontinuation of controller medications.
      Methods:As a pilot study, a total of 20 well-controlled children with persistent asthma were included. After discontinuing controller medications, each made follow-up visits at the 2nd, 6th, and 12th week. At each visit, spirometric values before and after bronchodilators were evaluated by the office-based spirometer. Time changes and their relationship to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were assessed.
      Results:Among 20 children, 13 (65%) were successfully followed-up for 12 weeks with asthma kept stable. They presented similar spirometric values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bronchodilator responses [BDRs] based on the FEV1 and PEFR) across all time-points. No differences in spirometric values were found between those who were stable and those who exhibited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BDRs calculated from FEV1 values (BDRFEV1) correlated well with those calculated from PEFR values (BDRPEFR).
      Conclusion:When controller medications were discontinued in children with well-controlled asthma, many of them were able to maintain the stable condition. Since the spirometric measures including BDR failed to differentiate clues for asthma exacerbation, the usefulness of office spirometry needs to be reevaluated by the larger population of children with controlled asthma after discontinuing medica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잘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조절 약제의 사용 중단 후, 폐 기능 지표를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로 측정하여 그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호흡기 증상 악화 여부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예비 연구로서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지속성 천식으로 확진 받고 조절제를 사용 중인 학동기 소아로, 3개월 이상 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는 소아 20명을 대상으로 조절제를 중단하고 12주 동안 추적 관찰 하였다. 조절제 중단 당일, 2주, 6주, 12주 차에 외래에 내원하여 천식 조절 상태에 대한 설문과 이학적 검진을 시행하고, 휴대용 폐활량계로 기관지 확장제 흡입 전후의 폐 기능 지표를 측정하여 그 추이를 관찰하고 임상 소견과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총 13명(65%)의 소아가 조절 상태를 유지한 채 추적 관찰을 완료하였는데, 이들에서 기관지 확장제 반응(BDRFEV1, BDRPEFR)은 방문 시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관찰 시기별로 천식 증상을 보였거나 천명음을 청진할 수 있었던 증상 악화군과 나머지 안정군은 기관지 확장제 반응 뿐 아니라 폐 기능 검사 지표 (FEV1, PEFR)에 있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모든 측정 시점에서 측정된 BDRFEV1과 BDRPEFR은 동일 소아에서 반복 측정된 영향을 보정하여 산출 시, 좋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잘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조절제 사용 중단 시 다수에서 천식 악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를 이용하여 평가한 폐 기능 지표가 호흡기 증상 악화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규명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약제 중단 후 천식 상태의 평가에서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큰 규모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목적:잘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조절 약제의 사용 중단 후, 폐 기능 지표를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로 측정하여 그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호흡기 증상 악화 여부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목적:잘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조절 약제의 사용 중단 후, 폐 기능 지표를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로 측정하여 그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호흡기 증상 악화 여부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예비 연구로서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내원하여 지속성 천식으로 확진 받고 조절제를 사용 중인 학동기 소아로, 3개월 이상 잘 조절된 상태가 유지되는 소아 20명을 대상으로 조절제를 중단하고 12주 동안 추적 관찰 하였다. 조절제 중단 당일, 2주, 6주, 12주 차에 외래에 내원하여 천식 조절 상태에 대한 설문과 이학적 검진을 시행하고, 휴대용 폐활량계로 기관지 확장제 흡입 전후의 폐 기능 지표를 측정하여 그 추이를 관찰하고 임상 소견과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총 13명(65%)의 소아가 조절 상태를 유지한 채 추적 관찰을 완료하였는데, 이들에서 기관지 확장제 반응(BDRFEV1, BDRPEFR)은 방문 시기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각 관찰 시기별로 천식 증상을 보였거나 천명음을 청진할 수 있었던 증상 악화군과 나머지 안정군은 기관지 확장제 반응 뿐 아니라 폐 기능 검사 지표 (FEV1, PEFR)에 있어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모든 측정 시점에서 측정된 BDRFEV1과 BDRPEFR은 동일 소아에서 반복 측정된 영향을 보정하여 산출 시, 좋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잘 조절된 천식 소아에서 조절제 사용 중단 시 다수에서 천식 악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를 이용하여 평가한 폐 기능 지표가 호흡기 증상 악화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규명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약제 중단 후 천식 상태의 평가에서 외래용 간이 폐활량계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큰 규모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대진, "건강한 학동기 아동의 폐기능검사 추정정상치"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2 (12): 105-113, 2002

      2 Bahçeciler NN, "Which factors predict success after discontinuation of inhaled budesonide therapy in children with asthma?" 39 : 37-46, 2002

      3 Dekker FW, "Validity of peak expiratory flow measurement in assessing reversibility of airflow obstruction" 47 : 162-166, 1992

      4 Perera BJ, "Successful withdrawal of inhaled corticosteroids in childhood asthma" 10 : 385-388, 2005

      5 Miller MR, "Standardisation of spirometry" 26 : 319-338, 2005

      6 Deykin A, "Sputum eosinophil counts predict asthma control after discontinuation of inhaled corticosteroids" 115 : 720-727, 2005

      7 Linna O, "Spirometry, bronchodilator test or symptom scoring for the assessment of childhood asthma" 85 : 564-569, 1996

      8 Anderson SD, "Provocative challenges to help diagnose and monitor asthma: exercise, methacholine, adenosine, and mannitol" 14 : 39-45, 2008

      9 Leuppi JD, "Predictive markers of asthma exacerbation during stepwise dose reduction of inhaled corticosteroids" 163 : 406-412, 2001

      10 Yoon KA, "Normal predicted values of pulmonary function test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36 : 25-37, 1993

      1 송대진, "건강한 학동기 아동의 폐기능검사 추정정상치"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12 (12): 105-113, 2002

      2 Bahçeciler NN, "Which factors predict success after discontinuation of inhaled budesonide therapy in children with asthma?" 39 : 37-46, 2002

      3 Dekker FW, "Validity of peak expiratory flow measurement in assessing reversibility of airflow obstruction" 47 : 162-166, 1992

      4 Perera BJ, "Successful withdrawal of inhaled corticosteroids in childhood asthma" 10 : 385-388, 2005

      5 Miller MR, "Standardisation of spirometry" 26 : 319-338, 2005

      6 Deykin A, "Sputum eosinophil counts predict asthma control after discontinuation of inhaled corticosteroids" 115 : 720-727, 2005

      7 Linna O, "Spirometry, bronchodilator test or symptom scoring for the assessment of childhood asthma" 85 : 564-569, 1996

      8 Anderson SD, "Provocative challenges to help diagnose and monitor asthma: exercise, methacholine, adenosine, and mannitol" 14 : 39-45, 2008

      9 Leuppi JD, "Predictive markers of asthma exacerbation during stepwise dose reduction of inhaled corticosteroids" 163 : 406-412, 2001

      10 Yoon KA, "Normal predicted values of pulmonary function test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36 : 25-37, 1993

      11 Lim DH, "Normal predicted values of pulmonary function test in Korean primary school-aged children" 37 : 240-249, 1994

      12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Normal predicted values of PEFR [Internet]"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13 Pellegrino R, "Interpretative strategies for lung function tests" 26 : 948-968, 2005

      14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Global strategy for asthma management and prevention: 2008 update [Internet]"

      15 National Asthma Education and Prevention Program, "Expert panel report 3 (EPR-3):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thma- summary report 2007" 120 (120): 94-138, 2007

      16 Pijnenburg MW, "Exhaled nitric oxide predicts asthma relapse in children with clinical asthma remission" 60 : 215-218, 2005

      17 Mortimer KM, "Evaluating the use of a portable spirometer in a study of pediatric asthma" 123 : 1899-1907, 2003

      18 Dundas I, "Diagnostic accuracy of bronchodilator responsiveness in wheezy children" 60 : 13-16, 2005

      19 Prosperini G, "Changes in sputum counts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fter budesonide: monitoring anti-inflammatory response on the basis of surrogate markers of airway inflammation" 110 : 855-861, 2002

      20 Bland JM, "Calculating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repeated observations: Part 1: Correlation within subjects" 310 : 446-, 1995

      21 Guilbert TW, "Boehmer SJ, Szefler SJ, et al. Long-term inhaled corticosteroids in preschool children at high risk for asthma" 354 : 1985-1997, 2006

      22 Degryse J, "Accuracy of office spirometry performed by trained primary-care physicians using the MIR Spirobank hand-held spirometer" 83 : 543-552, 2012

      23 Korean Academy of Asthma,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05 Korean Guideline for Asthma Manage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4-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알레르기및호흡기학회지 ->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s
      외국어명 :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 알레르기 천식 호흡기질환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4 0.3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1 0.971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