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대북라디오선교방송을 중심으로 = Exploring the Ways of Missions in North Korea through Media: Focused on the radio missionary broadcasting to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54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nation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adio has been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of the countries began radio broadcasting as a form of psychological warfare to defend each of the political and ...

      Since the nation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adio has been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of the countries began radio broadcasting as a form of psychological warfare to defend each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overthrow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 overtones of the radio have varied in response to the regime changes. Still, radio has been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ward North Korea fo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South Korea’s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includes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the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using shortwaves and the overseas-based broadcasting and the broadcasting company operated by missionary organizations which cover various subjects.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To that extent, this study extends its focus from the FEBC to other radio broadcastings, which are currently conducting missionary activities in North Korea. There are two sorts of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using medium waves and the radio broadcasting operated by mission organizations using shortwave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and flow of radio missionary broadcastings to North Korea, which have not gained enough academic attention, and examines how they can be used for the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re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media environment in North Korea is rapidly changing. Accordingly, new media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oward North Korea requires a transition and new broadcasting strategies. This study thus suggests for the radio missionary media new strategies covering content creations and media combinations, suitable for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North Korea and the new generation in the Nor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분단 이후 라디오 전파는 남과 북의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다. 대북방 송은 각자의 체제를 옹호하며 상대를 전복시키려는 심리전 형태로 시작됐으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바...

      분단 이후 라디오 전파는 남과 북의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다. 대북방 송은 각자의 체제를 옹호하며 상대를 전복시키려는 심리전 형태로 시작됐으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바뀌면서 그 모습을 달리해왔다. 분단 7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는 수단으로 라디오 전파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북방송은 지상파라디오방송(KBS한민족방송과 FEBC극동방송, 초기 CBS기독교방송)과 단파를 활용한 민간대북방송(국민통일방송, 자유북한방송, 북한개혁방송), 해외 주체 대북방송(VOA미국의소리방송, RFA자유아시아방송, 영국 BBC 등), 선교단체가 운영하는 대북방송(OKCN광야의소리, TWR북방선교방송) 등 주체도 다양해진 상황이다.
      분단 초기부터 대북방송을 지속해오고 있는 지상파 라디오방송은 KBS한민족 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이다. 선교방송이 우리나라 대북라디오방송 역사의한 축을 담당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극동방송 외에도 현재 전파를 활용해 북한선교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에 주목한다. 대북선교방송은 중파를 활용한 지상파 라디오방송과 선교단체에서 운영하는 단파 라디오방송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선교 영역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의 역사와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선교를 위해 대북선교방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북한의 미디어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제 북한선교에도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대북선교방송도 이제는 새로운 방송 전략이 필요한 전환의 시점에 놓여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라디오 선교 매체가 변화하는 북한의 미디어 환경, 그리고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어떤 방향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방송사편찬위원회, "한국방송70년사" 한국방송협회 1997

      2 오원환, "탈북민의 탈남현상에 대한 이해와 정(情)과 친절(親切)의 정치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소통학회 18 (18): 263-300, 2019

      3 유관지, "캄캄한 땅에 생명의 소리를 밝히다" 72-81, 2021

      4 최명국, "중공 거류교포에 대한 선교방송 효과에 관한 연구 : 교포편지의 분석을 中心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2

      5 "순교자의 소리방송 라디오사역 홈페이지"

      6 유영대, "북한주민 102명 신앙생활하다 체포"

      7 김기봉,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108-130, 2010

      8 강동완,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5

      9 고영은, "북한 사회의 기독교 인식 변화 분석"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5 (45): 223-250, 2013

      10 "북방선교방송 홈페이지"

      1 방송사편찬위원회, "한국방송70년사" 한국방송협회 1997

      2 오원환, "탈북민의 탈남현상에 대한 이해와 정(情)과 친절(親切)의 정치학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소통학회 18 (18): 263-300, 2019

      3 유관지, "캄캄한 땅에 생명의 소리를 밝히다" 72-81, 2021

      4 최명국, "중공 거류교포에 대한 선교방송 효과에 관한 연구 : 교포편지의 분석을 中心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2

      5 "순교자의 소리방송 라디오사역 홈페이지"

      6 유영대, "북한주민 102명 신앙생활하다 체포"

      7 김기봉,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108-130, 2010

      8 강동완,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5

      9 고영은, "북한 사회의 기독교 인식 변화 분석"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5 (45): 223-250, 2013

      10 "북방선교방송 홈페이지"

      11 이창현, "민간대북방송의 현황과 제작진의 인식연구" 통일부 2020

      12 조수진, "민간대북방송 출현 이후 대북방송의 변화" 국민대학교 2018

      13 조수진, "민간 대북방송 출현 이후 대북라디오방송의 변화" 한국소통학회 19 (19): 177-215, 2020

      14 "미주모퉁이돌선교회 유튜브 채널"

      15 Dayan, D., "미디어 이벤트 : 역사를 생중계하다" 한울아카데미 2012

      16 이정춘., "독일통일의 매체정책에 관한 연구" 27 : 413-464,

      17 심영섭, "독일통일 과정에서 위성방송의 역할에 대한 연구" 2 (2): 53-79, 2015

      18 이내수, "대적 Communication의 효과적 수행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78

      19 안민자, "대북방송의 정체성 변화와 프로그램편성 연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9

      20 남북언론연구회, "대북방송백서" 남북언론연구회 2013

      21 조수진, "대북방송"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22 KBS라디오센터, "뉴미디어시대 라디오 프로듀서 되기" 한국방송출판 18-19, 2001

      23 조수진, "남한의 대북방송 전문가들이 갖는 통일과정에서 방송의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Q방법론을 이용한 북한자유화방송론과 남북교류협력방송론의 차이 규명" 한국언론정보학회 76 (76): 61-91, 2016

      24 이상일, "남북한교회가 함께 부를 노래"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4 (44): 373-394, 2012

      25 "기독교방송"

      26 극동방송, "극동방송40년사" 극동방송40년사편찬위 1996

      27 "극동방송"

      28 "광야의소리방송 홈페이지"

      29 조수진, "「극동방송」의 대북방송 역사연구 : 1956년 개국부터 90년대 말까지"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4

      30 김상우, "‘일상생활의 사회학’의 현황과 전망" 한국문화사회학회 1 (1): 91-122, 2006

      31 Qualter, H. T., "Opinion control in the Democracy" St.Martin’s Press 1985

      32 CBS50년사 편찬위원회, "CBS50년사" 기독교방송 2004

      33 이창현, "4.27남북정상회담 방송의 미디어 이벤트 특성과 영향에 대한 연구" 202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10-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 Korea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11-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통합신학연구원 ->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영문명 : 미등록 -> Center for Studies of Christian Thoughts 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58 0.85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