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Copulas 기반의 결합가뭄지수를 이용한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 곡선의 적용 = An Application of Drought Severity-Area-Duration Curves Using Copulas-Based Joint Drought Inde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3197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copulas 기반의 결합가뭄지수를 적용한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곡선을 작성하여 가뭄의 시공간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전국 60개 지점의 기상청 월강수량자료로부...

      본 연구에서는 copulas 기반의 결합가뭄지수를 적용한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곡선을 작성하여 가뭄의 시공간적 거동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전국 60개 지점의 기상청 월강수량자료로부터 JDI를 산정한후, 이를 다시 EOF와 Kriging 기법을 이용하여 $10{\times}10$ km의 공간적 해상도를 가진 JDI 값으로 할당하였다. 격자기반의 JDIs를 가뭄의 지속기간별 영향면적별로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가뭄 사상을 표현하기 위하여 JDI-SAD 곡선을 작성하였다. JDI-SAD 곡선을 통하여 과거에 발생한 가뭄 사상을 시공간적으로 특성화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가뭄 상황에 대한 정확한 영향평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drought Severity-affected Area-drought Duration (SAD) curves a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emporal and spatial behavior of drought. A copulas-based joint drought index which is studied recently is applied to express the severity of ...

      In this study, drought Severity-affected Area-drought Duration (SAD) curves a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emporal and spatial behavior of drought. A copulas-based joint drought index which is studied recently is applied to express the severity of drought. JDIs across the country with 60 points are calculated monthly basis, and using EOF and Kriging techniques, locational JDIs are spatially extended into gridbased JDIs with spatial resolution of $10{\times}10$ km. JDIs by lattice is analyzed by drought duration and by affected area, and JDI-based SAD curves are created to represent Korean historical drought events. Though created curves, drought events that occurred in the past in our country can be spatially and temporally characterized. In addition, curv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termine the exact situation on the current drought condition have an impact to some ext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철상, "한강유역 강수의 산지효과 추정-Ⅱ. EOF분석-" 대한토목학회 24 (24): 41-46, 2004

      2 경민수,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질 측정망 구성" 대한토목학회 26 (26): 291-300, 2006

      3 윤강훈,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강우의 공간해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7 (37): 233-240, 2004

      4 김상단, "종합적인 가뭄상황판단을 위한 Copulas 기반의 결합가뭄지수의 적용" 한국방재학회 12 (12): 223-230, 2012

      5 김호성, "극한가뭄의 시공간적 특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SAD 곡선의 적용" 대한토목학회 30 (30): 561-569, 2010

      6 경민수,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문의 가뭄심도-가문면적-가문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27 (27): 267-276, 2007

      7 김보경,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가뭄심도-가뭄면적-가문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26 (26): 69-78, 2006

      8 McKee, T.B.,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179-184, 1993

      9 Kim, S., "Spatio- temporal characterization of Korean drought using severity-area-duration curve analysis" 25 : 22-30, 2011

      10 장연규, "SPI 가뭄지수의 EOF 분석을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인 특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9 (39): 691-702, 2006

      1 유철상, "한강유역 강수의 산지효과 추정-Ⅱ. EOF분석-" 대한토목학회 24 (24): 41-46, 2004

      2 경민수, "통계적 기법을 이용한 경안천 유역의 수질 측정망 구성" 대한토목학회 26 (26): 291-300, 2006

      3 윤강훈,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강우의 공간해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7 (37): 233-240, 2004

      4 김상단, "종합적인 가뭄상황판단을 위한 Copulas 기반의 결합가뭄지수의 적용" 한국방재학회 12 (12): 223-230, 2012

      5 김호성, "극한가뭄의 시공간적 특성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SAD 곡선의 적용" 대한토목학회 30 (30): 561-569, 2010

      6 경민수,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문의 가뭄심도-가문면적-가문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27 (27): 267-276, 2007

      7 김보경, "가뭄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연구 : 가뭄심도-가뭄면적-가문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 26 (26): 69-78, 2006

      8 McKee, T.B.,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179-184, 1993

      9 Kim, S., "Spatio- temporal characterization of Korean drought using severity-area-duration curve analysis" 25 : 22-30, 2011

      10 장연규, "SPI 가뭄지수의 EOF 분석을 이용한 가뭄의 시공간적인 특성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39 (39): 691-702, 2006

      11 최치현, "SAD 해석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가뭄의 시공간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방재학회 10 (10): 89-97, 2010

      12 Hisdal, H., "Estimation of regional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for Denmark" 281 : 230-247, 2003

      13 유철상, "EOF 해석 및 다변량시계열 모형을 이용한농업가뭄 대비능력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 39 (39): 617-626, 2006

      14 Yoo, C., "EOF Analysis of surface soil moisture field variability" 27 (27): 831-842, 2004

      15 Wilhite, D.A., "Drought as a natural hazard: concepts and definitions" Routledge 3-18, 2000

      16 Tomozeju, R., "Detection of Changes in the Summer Precipitation Time Series of the Region Emilia-Romagna, Italy" 67 : 193-200, 2000

      17 Nelsen, R.B., "An Introduction to Copulas" Springer 17-23, 2006

      18 Kao, S.C., "A copula-based joint deficit index for droughts" 380 : 121-13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0.78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