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서비스 역량 강화를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설계 -정책공급자 대상 워크숍 사례를 중심으로- = Designing public service desig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public service competencies -Focused on the case of workshop for policy provid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159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서비스 행정 시대에 필요한 정책공급자의 공공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교육을 설계하고 실증 사례를 통해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공...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하는 서비스 행정 시대에 필요한 정책공급자의 공공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공공서비스디자인 교육을 설계하고 실증 사례를 통해 효과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공공서비스와 공공서비스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공공서비스 역량 요소와 공공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연계한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워크숍을 통해 실증한 사례 조사와 설문을 통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공공서비스디자인 프로젝트 내용을 기반으로 한 팀 활동과 실습 위주의 방법과 도구는 협업과 소통 역량 강화에 특히 효과가 있으며 전반적인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 프로그램 모델은 정책공급자 대상의 공공서비스 역량을 연계한 실습형 교육을 제시하고 실증하여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역량 중심의 교육 모델 설계로 역량 강화 효과성을 세분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public service design education to strengthen the public service competencies of policy providers necessary in the changing service administration era an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empirical cases. B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public service design education to strengthen the public service competencies of policy providers necessary in the changing service administration era an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through empirical cases.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of public service and public service design, an educational program linking public service competency elements with public service design methodology was designed, and the effects through case studies and surveys demonstrated through workshops were confirmed. Team activities and practice-oriented methods and tool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ublic service design project were particularly effective in strengthening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and overall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e educational program model of this study is meaningful by presenting and demonstrating practical education linking public service competencies for policy providers, and future studies will subdivide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model desig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