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인간의 사상과 개념을 형성해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외국어로서 한 언어를 완전하게 터득하려면 반드시 그 나라의 문화를 함께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임병민, 심현택, 1999). 또한, 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052493
서울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조기영어교육 전공 , 2007. 8
2007
한국어
서울
v, 98 p. ; 26cm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언어는 인간의 사상과 개념을 형성해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외국어로서 한 언어를 완전하게 터득하려면 반드시 그 나라의 문화를 함께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임병민, 심현택, 1999). 또한, 현...
언어는 인간의 사상과 개념을 형성해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외국어로서 한 언어를 완전하게 터득하려면 반드시 그 나라의 문화를 함께 가르쳐야 하는 것이다(임병민, 심현택, 1999). 또한, 현재 교실의 환경 상 정보의 바다인 인터넷을 활용한 다양한 수업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교사들이 이용하기 편한 교육용 CD에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이완기, 차경환, 1999). 이 중, 현재 인터넷 사용자들 사이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UCC(User Created Contents, 이하 UCC)가 하나의 수업도구가 될 수 있다. 대표적인 UCC 사이트인 유튜브(youtube.com)를 비롯하여 몇몇 UCC 사이트에서 볼 수 있는 프리허그(freehug) 캠페인이나 캐논 변주곡 기타 연주 등은 우리에게 커다란 감동을 주었으며, 혹은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교육적인 효과도 준다고 많은 사람들이 말하고 있다. 이에 UCC를 현 영어 수업과 연결시키면 초등학생들의 흥미도 향상을 포함한 영미문화 이해도에 해당하는 교육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짧은 동영상은 전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져 전 세계 사람들의 문화를 여과 없이 보여준다. 또한 이러한 UCC는 인터넷에서 쉽게 검색이 가능하며 손쉽게 편집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를 잘 이용하면 영화나 애니메이션과 같은 인위적이고 제한적인 자료에서 벗어나 학교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자료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수업 모형의 하나로 UCC를 이용한 영미문화지도가 영어수업에 적합한지에 대한 효율성, 즉 성취도와 흥미도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UCC가 초등학교 영어 교실에서 활용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UCC를 활용한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의 성취도 즉 영미문화이해도와 흥미도 향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arning English not only includes learning English linguistics or grammar, but also learning American or British cultures.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having conversations and connecting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the importance of learning cultu...
Learning English not only includes learning English linguistics or grammar, but also learning American or British cultures. Because of the importance of having conversations and connecting with native English speakers, the importance of learning culture in English classes is well recognized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aching culture through User Created Contents (UCC)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For this purpose, an UCC-based instructional culture model was designed to integrate English culture with. Then, the effects of teaching culture through UCC were compared with that of teaching culture throug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hich uses only teacher lectures.
Th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7 weeks with 30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The classes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studied culture using UCC, and the control group, which studied culture using a traditional instructional method. Before participating in this study, each group’s knowledge of American or British culture was verified to be equal by using a uniform pre-test.
During the class,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class watched the UCC selected by the teacher or made their own UCC.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in control class just learned from their teacher's explanation of British or American cultures.
After 7 weeks of experimentation, achievement and interest in English were measured using a test and questionnaire. From thes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Using UCC appeared to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knowledge of culture than using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Also, based on the questionnaire,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was higher for students using UCC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compared with using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teaching with UCC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o learn American or British culture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It is also useful to improve student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itself. This study suggests that a variety of programs to teach cultures using UCC should be developed.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