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 = Ecological Approaches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660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시각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시각이미지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시각 생태론 (visual ecology) 을 개념화하고 적절한 미술교육적 방...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논의를 시각 생태학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시각이미지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시각 생태론 (visual ecology) 을 개념화하고 적절한 미술교육적 방안을 이론적 차원에서 논의한다. 시각 이미지는 삶의 중요한 생태환경으로 전제하고 이에 대한 시각문화미술교육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특히 시각 이미지가 제공하는 생태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사회/이미지간의 역동적 상관성에 초점을 둔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이끌어 낸다 이는 삶의 공간에서 시각 이미지가 인간의 인지와 의식에 작용하는 영향력에 대한 심층적 이해의 필요성을 근거로 한다. 제시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시각식 생태학, 문화적 생태학, 가상적(환영적) 생태학, 심층적(의식적) 생태학으로 구체화시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생태학적 접근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에 근거한 새로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을 인문학적인 관점에서 이끌어 낸다.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범주를 보다 일상적인 삶의 장연과 관계된 생태 인식과 공간에서 검토한 본 연구는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 담론의 범주를 확장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how to expand the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How we respond to visual images impacts our consciousness.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visual images and ourselves crates an eco...

      This research aims to address how to expand the scop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from ecological perspectives. How we respond to visual images impacts our consciousness.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visual images and ourselves crates an ecosystem within which visual culture evolves as well as our knowledge. beliefs, values. interests. and consciousness are constructed. Based on this ecological approach. this paper explores the notion of ecological aspects of visual images. It primarily conceptualizes the needs for our investigation into visual ecology. The goal of VCAE does not need to be limited way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and empower students to be active participants. More attempts to explore both the value and meaning of visual images and the visual environment as a habitat-where our understanding of the self. community. and society is constructed-is necessary. as this research proposes. Visual images construct a visual environment, fertilizing our evolution and adaptation of self-understanding. It makes sense of the visual ecology. The impact of the dynamic interconnection among humans, society, and images is well established. Meanings and values of this impact require our deliberation from socio-cultural. semiotic, phenomenological. epistemological. and even ontological points of view. In order to highlight this deliberation, more ecological analyses of visual culture, such as visual ecology, cultural ecology. digital ecology, virtual(illusory) ecology, and deep ecology, are established. The result of this theoretical discussion opens humanistic approaches to VCAE that are expected to expand our current landscape of VCAE toward visual ecology within our living context, interplayed with visual imag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생태학적 접근과 시각 생태학
      • Ⅲ. 시각문화미술교육과 생태학
      • Ⅳ.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지니는 인문학적 가치
      • <요약>
      • Ⅰ. 서론
      • Ⅱ. 생태학적 접근과 시각 생태학
      • Ⅲ. 시각문화미술교육과 생태학
      • Ⅳ.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 지니는 인문학적 가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정애, ""인간이 만든 환경"에서의 시각문화교육"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9 (9): 75-87, 2008

      2 박정애, "하이브리드 미술제작에서의 정체성의 형성: 미술 교육과정에의 함축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19, 2012

      3 마순자, "자연, 풍경 그리고 인간: 서양 풍경화의 전통에 관한 연구" 아카넷 2003

      4 이재영, "인문학적 접근으로 바라본 시각문화미술교육"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1-22, 2012

      5 박이문, "예술과 생태" 미다스북스 2010

      6 이재영, "심층동기와 내적 비전에 끼치는 시각 이미지의 효과와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4 : 147-167, 2008

      7 Keifer-Boyd, K.,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교육과학사 2010

      8 이재영, "시각 이미지 패러디의 재개념화를 통한 영화 포스터 패러디의 시각문화 미술교육적 가치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0 (10): 111-131, 2009

      9 강주희, "생태적 정체성의 내면화를 위한 가치지향 생태미술교육" 한국미술교육학회 26 (26): 57-82, 2012

      10 이재영,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예술교육" 9-20, 2011

      1 박정애, ""인간이 만든 환경"에서의 시각문화교육"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9 (9): 75-87, 2008

      2 박정애, "하이브리드 미술제작에서의 정체성의 형성: 미술 교육과정에의 함축성"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19, 2012

      3 마순자, "자연, 풍경 그리고 인간: 서양 풍경화의 전통에 관한 연구" 아카넷 2003

      4 이재영, "인문학적 접근으로 바라본 시각문화미술교육" 한국미술교육학회 23 (23): 1-22, 2012

      5 박이문, "예술과 생태" 미다스북스 2010

      6 이재영, "심층동기와 내적 비전에 끼치는 시각 이미지의 효과와 시각문화미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4 : 147-167, 2008

      7 Keifer-Boyd, K., "시각문화와 미술교육" 교육과학사 2010

      8 이재영, "시각 이미지 패러디의 재개념화를 통한 영화 포스터 패러디의 시각문화 미술교육적 가치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0 (10): 111-131, 2009

      9 강주희, "생태적 정체성의 내면화를 위한 가치지향 생태미술교육" 한국미술교육학회 26 (26): 57-82, 2012

      10 이재영,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예술교육" 9-20, 2011

      11 이지연, "사회와 환경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는 테크놀리지 기반 시각문화미술교육"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1 : 201-227, 2007

      12 고인석, "사이버 공동체에서 아바타의 존재론적 지위: 매체와 준주체로서의 아바타, In 인터-미디어와 탈경계 문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225, 2009

      13 김영순, "미디어와 문화교육 : 미디어 읽기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5

      14 김형숙, "문화정체성 구축을 위한 다문화미술교육: 디아스포라 작가 탐구를 통한 실행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63-85, 2012

      15 박이문,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 : 생태학적 세계관을 위하여" 당대 1996

      16 유승호, "디지털 시대의 영상과 문화" 미술문화 2006

      17 이지연, "디지털 사진을 통한 생태 미술교육: 앤디 골드워시의 작품세계와 미술교육에의 응용 가능성 연구"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33-151, 2012

      18 Duncum, P., "Visual culture in the art class: Case studies"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2006

      19 jagodzinski, j., "Visual art and education in an era of designer capitalism: Deconstructing the oral eye" Palgrave Macmillan 2010

      20 Brent Wilson, "Third Site Bioquiry: Meditations on Biographical Inquiry and Third-Site Pedagogy"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8 (8): 51-76, 2007

      21 Bhaha, H. K.,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1994

      22 Miller, J. P., "The holistic teacher" The Ont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1993

      23 Campbell, L. H., "The heart of art education: Holistic approaches to creativity, integration, and transformation"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2012

      24 Paul Duncum, "The Return of the Haptic"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2 (12): 135-162, 2011

      25 jan jagodzinski, "The Challenge for Art|Education: The Digitalized World of New Media"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13 (13): 113-131, 2012

      26 Tavin, K. M., "Teaching visual culture: Deconstructing Disney in the elementary art classroom" 56 (56): 21-35, 2003

      27 Ulbricht, J., "Reflections on visual culture and material culture : An example from southwest Chicago" 49 (49): 59-72, 2007

      28 Sturken, M., "Practices of looking: An introductionto visual culture" Oxford Unviersity Press 2001

      29 Reiners, W. A.,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the practices of e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0 Lippard, L., "Mixed blessings: New art in a multicultural America" Random House 1990

      31 Lee, J-Y., "Korean students' holistic engagement with visual culture, In The heart of art education: Holistic approaches to creativity, integration, and transformation"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124-132, 2012

      32 Simmons, I. G., "Humanity & environment: A cultural ecology" Addison Wesley Longman 1997

      33 Gradle, S., "Ecology of place : Art education in a relational world" 48 (48): 392-411, 2007

      34 Erickson, M., "Crossing borders in search of self" 53 (53): 46-52, 2000

      35 Bolin, P. E., "Beyond visual culture : Seven statement of support for material culture studies in art eduction" 44 (44): 246-253, 2003

      36 Blandy, D., "Art, ecological restoration, and art education" 39 (39): 230-243, 1998

      37 Garoian, C. R., "Art education and the aesthetics of land use in the age of Ecology" 39 (39): 244-261, 1998

      38 Anderson, R., "Art as culturally significant meaning, In Calliope's sister: A comparative study of philosophies of art" Prentice Hall 238-261, 1990

      39 Dissanayake, E., "Art and intimacy: How the arts bega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0

      40 Weisman, E., "Aesthetic behaviors and cultural transaction, In The heart of art education: Holistic approaches to creativity, integration, and transformation"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45-53,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미술교육학회논총 -> 미술교육논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5 0.74 0.91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