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지방의회 연구경향 분석과 향후 연구의제 제언:2011년부터 2022년까지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Research Trends in Local Councils and Future Agenda Proposals: An Analysis of Academic Papers from 2011 to 202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841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자치의 정착과 발전 이후 지방의회의 권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는 최근의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과 발맞추어 지방의회에 대한 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김귀영(2011)의 ‘지방의회 연구경향과 향후 연구의제에 관한 고찰’을 보완・발전시킨 논문이다. 2011년부터 2022년까지 12년간 국내 학술지에 실린 지방의회와 지방의원 관련 논문 390편의 연구경향을 분석해 이전 연구기간(1989-2010)과 연구경향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연구 가능성과 필요성이 높은 연구의제를 제언하였다. 분석기준별로는 연도별, 연구범위별, 분석대상의 수준별, 연구방법별 구분 방법에 더해 해당 연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연구중점별과 어느 학문분야에서 연구됐는지 연구분야별로도 연구경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주제별로는 지방의회의 내부요소(조직구성, 운영활동)와 외부환경(제도, 관계)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이어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의제를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지방자치의 정착과 발전 이후 지방의회의 권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는 최근의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과 발맞추어 지방의회에 대한 연구 또한 증가하고...

      지방자치의 정착과 발전 이후 지방의회의 권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고 이는 최근의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흐름과 발맞추어 지방의회에 대한 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김귀영(2011)의 ‘지방의회 연구경향과 향후 연구의제에 관한 고찰’을 보완・발전시킨 논문이다. 2011년부터 2022년까지 12년간 국내 학술지에 실린 지방의회와 지방의원 관련 논문 390편의 연구경향을 분석해 이전 연구기간(1989-2010)과 연구경향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연구 가능성과 필요성이 높은 연구의제를 제언하였다. 분석기준별로는 연도별, 연구범위별, 분석대상의 수준별, 연구방법별 구분 방법에 더해 해당 연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연구중점별과 어느 학문분야에서 연구됐는지 연구분야별로도 연구경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주제별로는 지방의회의 내부요소(조직구성, 운영활동)와 외부환경(제도, 관계)으로 구분해 분석하였다. 이어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의 연구의제를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interest in the authority of local councils has increased, leading to the recent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In line with this trend, research on local councils is also on the rise. This study builds upon Kim Gwi-young's (2011) work, “Review on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Agenda of Local Councils.” By analyzing 390 papers related to local councils and councilo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1 to 2022, this study compares current research trends with those from the previous period (1989-2010). For the analysis, we employed several criteria, including classification by year, research scope, levels of analysis, and research trends. This approach aims to explore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e research and its respective academic fields. Research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two main areas: internal elements (organizational composition, operational activities) and external environments (system, relations) of local councils.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we propose a future research agenda that highlights high-priority and necessary areas for further investigation.
      번역하기

      Afte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interest in the authority of local councils has increased, leading to the recent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In line with this trend, research on local councils is also on the rise. Th...

      Afte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local autonomy, interest in the authority of local councils has increased, leading to the recent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ct. In line with this trend, research on local councils is also on the rise. This study builds upon Kim Gwi-young's (2011) work, “Review on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Agenda of Local Councils.” By analyzing 390 papers related to local councils and councilo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1 to 2022, this study compares current research trends with those from the previous period (1989-2010). For the analysis, we employed several criteria, including classification by year, research scope, levels of analysis, and research trends. This approach aims to explore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e research and its respective academic fields. Research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two main areas: internal elements (organizational composition, operational activities) and external environments (system, relations) of local councils.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we propose a future research agenda that highlights high-priority and necessary areas for further investig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