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한국어 쓰기 지도 방안 연구 = A Study on How to teach Korean Writing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672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instructors teaching Korean writing class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based upon the premise that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class structure and teaching techniques are inevitabl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ocus on what and how to prepare for writing classes, and to present alternativ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education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Chapter I ident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examined previous projects related to the study, and described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ast and current research status of the research topic, and to derive justification, background, and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roject.
      Chapter II deals with theories related to conducting this study.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 were examined. This process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non-face-to-face education and the tradi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writing and writing ability, theories related to writing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were described.
      Chapter III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rough a survey by 60 instructors subject to this study. Instructors were adapting to online classes through YouTube, other colleagues or by training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many instructo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After analyzing the instructors’ current statuses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Seve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40 minute in-depth interview.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deriv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Chapter IV presents the problems and plans of writing guidance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are three problems with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the first difficulty is 'difficulty in feedback'. Feedback is an essential teaching technique in writing education. However, feedback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s a difficult task needing multiple steps. Various teaching methods were presented centered on form-based feedback and process-based feedback. The second problem dealt with is 'difficulty in managing learners'. Providing ‘learning motivation’ was the suggestion for confronting this difficulty in learner management, which could be accomplished by thorough preparation of the equipment used for non-contact education. The third is difficulty was in managing cla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stage of writing education' of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changed. The instructional stages of th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transformed and presented as a non-face-to-face environment writing instructional model.
      In addition, the appendix presents various teaching methods collected through surveys, in-depth interviews, YouTube, teaching methods for various non-face-to-face classes in other fields, and existing teaching methods applicable to non-face-to-face educational situations.
      Although instructors have taught Korean writing classes for a long time, it has inevitably become difficult to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in a suddenly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Managing learners without face-to-face contact makes it more difficult, so various non-face-to-face education methods are requi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existing writing teaching methods and transformed them to suit the non-face-to-face education field, and studied writing education methods in different non-face-to-face situations by collecting various experiences of instructors conducting the non-contact class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on instructors teaching Korean writing class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based upon the premise that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class structure and teaching techni...

      This study was conducted on instructors teaching Korean writing classes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based upon the premise that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educational environment, class structure and teaching techniques are inevitabl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ocus on what and how to prepare for writing classes, and to present alternativ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education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rocess.
      Chapter I ident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examined previous projects related to the study, and described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past and current research status of the research topic, and to derive justification, background, and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roject.
      Chapter II deals with theories related to conducting this study.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on-face-to-face education environment were examined. This process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non-face-to-face education and the traditional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writing and writing ability, theories related to writing education, and teaching methods were described.
      Chapter III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rough a survey by 60 instructors subject to this study. Instructors were adapting to online classes through YouTube, other colleagues or by training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many instructo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After analyzing the instructors’ current statuses and teaching methods through the questionnaire,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Seven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40 minute in-depth interview. The problems of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deriv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summarized into three categories.
      Chapter IV presents the problems and plans of writing guidance in a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 There are three problems with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the first difficulty is 'difficulty in feedback'. Feedback is an essential teaching technique in writing education. However, feedback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s a difficult task needing multiple steps. Various teaching methods were presented centered on form-based feedback and process-based feedback. The second problem dealt with is 'difficulty in managing learners'. Providing ‘learning motivation’ was the suggestion for confronting this difficulty in learner management, which could be accomplished by thorough preparation of the equipment used for non-contact education. The third is difficulty was in managing cla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the 'stage of writing education' of non-face-to-face Korean writing education changed. The instructional stages of th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transformed and presented as a non-face-to-face environment writing instructional model.
      In addition, the appendix presents various teaching methods collected through surveys, in-depth interviews, YouTube, teaching methods for various non-face-to-face classes in other fields, and existing teaching methods applicable to non-face-to-face educational situations.
      Although instructors have taught Korean writing classes for a long time, it has inevitably become difficult to demonstrate their capabilities in a suddenly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Managing learners without face-to-face contact makes it more difficult, so various non-face-to-face education methods are requir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existing writing teaching methods and transformed them to suit the non-face-to-face education field, and studied writing education methods in different non-face-to-face situations by collecting various experiences of instructors conducting the non-contact cla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이라는 새로운 상황에서 변화된 교육 환경의 인식과 특징, 수업의 구조 및 교재, 교수 기법 등의 변화가 필연적임을 전제로 비대면 환경에서 한국어 쓰기 수업을 하는 교수자들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제로 쓰기 수업을 준비하는 데에 있어서 교수자는 어떤 태도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비대면 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쓰기 지도 방안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방법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주제의 과거와 현재의 연구 현황을 살필 수 있었으며, 연구 목적의 당위성과 배경, 연구문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II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관련된 이론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비대면 교육 환경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비대면 교육과 대면 교육의 교육 환경에 대한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쓰기와 쓰기 능력의 정의, 쓰기 교육 관련 이론들과 교수 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교수자 60명의 설문을 통해 비대면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수자들은 유튜브나 다른 동료들 또는 교육기관의 재교육 등을 통해 수업에 적응해나가고 있었으나 많은 교수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설문으로 교수자의 현황과 쓰기교수방법을 분석한 후 다음으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7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40분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IV장에서는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쓰기 지도의 문제점과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문제점은 세 가지로 도출하였는데 첫 번째 다룬 어려움은 ‘피드백의 어려움’이다. 피드백은 쓰기 교육에서 필수적인 교수기법이다. 하지만 비대면 환경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것은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하는 힘겨운 작업이다. 형태중심피드백과 과정중심피드백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다룬 문제점은 ‘학습자 관리의 어려움’이다. 학습자 관리의 어려움은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것과 비대면 교육의 철저한 장비 준비로 극복하는 것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세번째로는 수업운영의 어려움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쓰기 교육의 단계’가 변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교수자들의 수업 단계를 수집, 변형하여 비대면 환경 쓰기 수업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부록에는 설문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다양한 교수 방법들과 유튜브, 다른 분야의 다양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 방법들, 그리고 기존의 교수방법들을 비대면 교육 상황에 적용 가능한 것을 함께 제시하였다.
      비록 교수자들은 오랜 기간 한국어 쓰기 수업을 지도했을지라도 갑자기 변화된 교육 환경에서 그 역량을 발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으며 또한 비대면으로 학습자를 관리하면서 수업을 하는 것은 더욱 그 어려움을 과중시키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다양한 비대면 교육의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쓰기 교수방법을 파악하여 비대면 교육현장에 맞게 변형시키기도 하고,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자들의 교육 현장의 다양한 경험을 수집하여 달라진 비대면 상황에서의 쓰기 교육 방법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이라는 새로운 상황에서 변화된 교육 환경의 인식과 특징, 수업의 구조 및 교재, 교수 기법 등의 변화가 필연적임을 전제로 비대면 환경에서 한국어 쓰기 수업을 ...

      본 연구는 ‘비대면 교육’이라는 새로운 상황에서 변화된 교육 환경의 인식과 특징, 수업의 구조 및 교재, 교수 기법 등의 변화가 필연적임을 전제로 비대면 환경에서 한국어 쓰기 수업을 하는 교수자들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실제로 쓰기 수업을 준비하는 데에 있어서 교수자는 어떤 태도로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비대면 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쓰기 지도 방안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I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방법 및 절차를 기술하였다.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연구 주제의 과거와 현재의 연구 현황을 살필 수 있었으며, 연구 목적의 당위성과 배경, 연구문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II장에서는 본 연구를 진행하는 데에 관련된 이론에 대해 다루었다. 먼저 비대면 교육 환경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비대면 교육과 대면 교육의 교육 환경에 대한 차이점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쓰기와 쓰기 능력의 정의, 쓰기 교육 관련 이론들과 교수 방법 등을 기술하였다.
      III장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교수자 60명의 설문을 통해 비대면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수자들은 유튜브나 다른 동료들 또는 교육기관의 재교육 등을 통해 수업에 적응해나가고 있었으나 많은 교수자들이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설문으로 교수자의 현황과 쓰기교수방법을 분석한 후 다음으로는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7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40분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문제점을 세 가지로 정리하였다.
      IV장에서는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쓰기 지도의 문제점과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문제점은 세 가지로 도출하였는데 첫 번째 다룬 어려움은 ‘피드백의 어려움’이다. 피드백은 쓰기 교육에서 필수적인 교수기법이다. 하지만 비대면 환경에서 피드백이 이루어지는 것은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하는 힘겨운 작업이다. 형태중심피드백과 과정중심피드백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수방법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다룬 문제점은 ‘학습자 관리의 어려움’이다. 학습자 관리의 어려움은 ‘학습동기’를 부여하는 것과 비대면 교육의 철저한 장비 준비로 극복하는 것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세번째로는 수업운영의 어려움이다. 심층면담을 통해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쓰기 교육의 단계’가 변화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교수자들의 수업 단계를 수집, 변형하여 비대면 환경 쓰기 수업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부록에는 설문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다양한 교수 방법들과 유튜브, 다른 분야의 다양한 비대면 수업에 대한 교수 방법들, 그리고 기존의 교수방법들을 비대면 교육 상황에 적용 가능한 것을 함께 제시하였다.
      비록 교수자들은 오랜 기간 한국어 쓰기 수업을 지도했을지라도 갑자기 변화된 교육 환경에서 그 역량을 발휘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으며 또한 비대면으로 학습자를 관리하면서 수업을 하는 것은 더욱 그 어려움을 과중시키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다양한 비대면 교육의 교육방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쓰기 교수방법을 파악하여 비대면 교육현장에 맞게 변형시키기도 하고,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자들의 교육 현장의 다양한 경험을 수집하여 달라진 비대면 상황에서의 쓰기 교육 방법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 차 iv
      • 표 목 차 vi
      • 목 차
      • 국문초록 ⅰ
      • 목 차 iv
      • 표 목 차 vi
      • 그림목차 viii
      • Ⅰ. 서론 1
      •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 2. 선행 연구 검토 3
      • 3. 연구 방법 및 절차 8
      • Ⅱ. 이론적 배경 10
      • 1. 비대면 교육 환경과 한국어교육 10
      • 1.1. 비대면 교육의 정의와 유형 14
      • 1.2. 비대면 교육의 특징 21
      • 2. 쓰기와 쓰기 능력의 정의 25
      • 2.1. 쓰기의 정의 25
      • 2.2. 쓰기 능력의 정의 27
      • 3. 쓰기 교육 관련 이론 30
      • 3.1. 쓰기 교수의 분류 30
      • 3.1.1. 결과 중심 쓰기 지도 38
      • 3.1.2. 과정 중심 쓰기 지도 39
      • 3.1.3. 장르 중심 쓰기 지도 및 그 외의 쓰기 지도 44
      • Ⅲ. 비대면 쓰기 교육의 현황과 교수자의 요구 분석 48
      • 1. 연구방법 및 절차 48
      • 2. 설문을 통한 연구 51
      • 2.1. 설문 연구 대상 및 방법 51
      • 2.2. 설문 내용 분석 53
      • 3. 심층면담을 통한 연구 66
      • 3.1. 심층면담 대상 및 방법 66
      • 3.2. 심층면담 내용 분석 69
      • 4. 설문 및 심층면담 분석 결과 84
      • Ⅳ.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85
      • 1.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문제점 85
      • 1.1. 피드백의 어려움 85
      • 1.2. 학습자 관리 및 통제의 어려움 87
      • 1.3. 쓰기 수업 진행의 어려움 88
      • 2. 비대면 한국어 쓰기 교육의 문제점 해결 방안 89
      • 2.1. 피드백의 어려움 89
      • 2.2. 학습자 관리 및 통제의 어려움 94
      • 2.3. 쓰기 수업 진행의 어려움 98
      • Ⅴ. 결론 및 제언 105
      • 참고문헌 107
      • Abstract 112
      • 부록 1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