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필수지명의 선정 = The Current Status of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and Selection of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Geography Fie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6330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사회』 교과서에는 1학년 지리 영역에서 가장 많은 지명이 취급되...

      본 연구는 사회과 지리 영역에서 지명교육의 현상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학교『사회』 교과서에는 1학년 지리 영역에서 가장 많은 지명이 취급되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한국과 세계의 기초 지명에 대한 기억과 위치를 묻는 설문조사에서는 매우 낮은 결과가 나왔다. 이 사실은 국제화와 지구촌화 시대에 충격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지리적 문맹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제의 하나로 국가 수준의 사회과 지리교육과정에「필수지명」을 선정해야 한다. 그것은 사회과 지리교육 및 생애학습 시대의 기초·기본이 되는 유용한 지식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 기초 작업의 일환으로서 교과서 빈출 지명, 사회적 실용성, 지역적 균등성에 근거하여 한국과 세계의 지역상을 형성하기에 필요한 좌표축으로서 필수지명을 각각 사례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하여 더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and seeks ways to improve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geography field. In South Korea, most geographical names are taught in the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and seeks ways to improve geographical names education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geography field. In South Korea, most geographical names are taught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asked thi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fundamental geographical names in Korea and the world, the score turned out to be surprisingly low.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 geographical illiteracy, it is necessary to select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in geography education because it is basic and useful to know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in geography field and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and life-long learning. This paper suggests an example of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based on their frequency of appearance in textbooks, social use and regional balance. However, the issue of selection and determination of minimum essential geographical names requires more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초등학생들의 세계에 대한 인지 특성과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8 (8): 364-374, 2002

      2 "초등학생들의 세계 이해도 발달" 14 (14): 289-298, 2006

      3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지명 분석" 37 (37): 227-240, 2003

      4 "지리 선택 과목의 쟁점과 개발 방향" 14 (14): 31-45, 2006

      5 "중학교 사회3" 지학사 2005

      6 "중학교 사회2" 지학사 2005

      7 "중학교 사회1" 지학사 2005

      8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대륙 및 국가에 대한 인지 특성" 12 (12): 733-747, 2006

      9 "사회과 교육 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10 "독도가 남해에 있다는 중고생들, 사회과목 탓" 2006.12.27

      1 "초등학생들의 세계에 대한 인지 특성과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8 (8): 364-374, 2002

      2 "초등학생들의 세계 이해도 발달" 14 (14): 289-298, 2006

      3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지명 분석" 37 (37): 227-240, 2003

      4 "지리 선택 과목의 쟁점과 개발 방향" 14 (14): 31-45, 2006

      5 "중학교 사회3" 지학사 2005

      6 "중학교 사회2" 지학사 2005

      7 "중학교 사회1" 지학사 2005

      8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대륙 및 국가에 대한 인지 특성" 12 (12): 733-747, 2006

      9 "사회과 교육 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

      10 "독도가 남해에 있다는 중고생들, 사회과목 탓" 2006.12.27

      11 "대학생의 공간 인지도" 13 (13): 163-173, 2005

      12 "社會系敎科における學習動機の內面化について -位置認知力との相關分析を通して" 63 : 21-30, 2005

      13 "社會科地理敎育における基本的地名に關する一考察" 47 (47): 64-73, 2000

      14 "地名と地小の地理敎育" 古今書院 1995

      15 "Journal of Geography" 176-178, 1983

      16 "Geography?s place in Basic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143-144, 1984

      17 "Geography?s place in Basic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143-144, 1984

      18 "Geography for Educators: Standards, Themes, and Concepts, Prentice Hall" New Jersey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1.01 1.112 0.6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