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the Pedagogical Conflicts and Dilemmas of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5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o review pedagogical conflicts and dilemmas of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an autoethnography approach. The research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I, as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experienced pedagogical conflict and dilemma between the role as a teacher educator focusing on academic excellence and field(school)-oriented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ly, I, as an autoethnographer and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also experienced pedagogical conflict and dilemma between the role of facilitating self-initiated learning of graduate students and pedagogical coaching, driven by educational authority and instruction of teacher educator. Thirdly, I, as a researcher and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experienced conflict and dilemma while developing, maintaining or restructuring the exis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se conflicts and dilemmas of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caused by the tension and borderline between pedagogy and andragogy in lifelong education for school teacher as an adult learner.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a trigger to improve intrinsic function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in-service training of school teachers. Also, this paper will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to enhance educational competence and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o review pedagogical conflicts and dilemmas of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an autoethnography approach. The research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I, as a teacher educa...

      The purpose of the paper was to review pedagogical conflicts and dilemmas of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an autoethnography approach. The research finding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I, as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experienced pedagogical conflict and dilemma between the role as a teacher educator focusing on academic excellence and field(school)-oriented teaching professionalism. Secondly, I, as an autoethnographer and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also experienced pedagogical conflict and dilemma between the role of facilitating self-initiated learning of graduate students and pedagogical coaching, driven by educational authority and instruction of teacher educator. Thirdly, I, as a researcher and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d experienced conflict and dilemma while developing, maintaining or restructuring the exis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se conflicts and dilemmas of a teacher educator in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caused by the tension and borderline between pedagogy and andragogy in lifelong education for school teacher as an adult learner.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a trigger to improve intrinsic function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r develop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nd in-service training of school teachers. Also, this paper will suggest alternative perspectives to enhance educational competence and ensur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를 내부자의 관점에서 세밀하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교육자로서의 나는 교육대학원에서 성인학습자들인 현장교사를 가르칠 때, 교수자 중심의 학문적 수월성과 학습자 중심의 현장기반 교수 전문성 사이에서 교수목표의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교사교육자로서 나는 현장교사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유도와 대학 교수자의 교육적 코칭 사이에서 교수적 갈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한 교육대학원의 교사교육자인 나는 현행 교육대학원의 유지 및 발전과 재구조화 사이에서 갈등과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이러한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페다고지(pedagogy)와 안드라고지(andragogy)의 긴장과 경계에서 비롯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 교사교육자의 내부적 관점에서 교육대학원에서의 교육적 이슈를 조명함으로써 현장교사의 재교육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본질적 기능과 역할을 제고하고, 교육대학원의 교육역량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안적 관점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를 내부자의 관점에서 세밀하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

      이 연구는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를 내부자의 관점에서 세밀하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교육자로서의 나는 교육대학원에서 성인학습자들인 현장교사를 가르칠 때, 교수자 중심의 학문적 수월성과 학습자 중심의 현장기반 교수 전문성 사이에서 교수목표의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그리고 교사교육자로서 나는 현장교사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 유도와 대학 교수자의 교육적 코칭 사이에서 교수적 갈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한 교육대학원의 교사교육자인 나는 현행 교육대학원의 유지 및 발전과 재구조화 사이에서 갈등과 딜레마를 경험하였다.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이러한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볼 때, 페다고지(pedagogy)와 안드라고지(andragogy)의 긴장과 경계에서 비롯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 교사교육자의 내부적 관점에서 교육대학원에서의 교육적 이슈를 조명함으로써 현장교사의 재교육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대학원의 본질적 기능과 역할을 제고하고, 교육대학원의 교육역량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대안적 관점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며
      • II. 선행연구 고찰
      • 1. 교육대학원과 교사교육자에 대한 국내연구
      • 2. 고등교육기관과 교사교육자에 대한 외국연구
      • III. 연구방법
      • I. 들어가며
      • II. 선행연구 고찰
      • 1. 교육대학원과 교사교육자에 대한 국내연구
      • 2. 고등교육기관과 교사교육자에 대한 외국연구
      • III. 연구방법
      • 1. ‘초록교육대학원’과 자문화기술자로서의 ‘나’
      • 2. 연구의 방법
      • IV.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
      • 1. 학문적 수월성 추구하기 VS 현장기반 교수 전문성 개발하기
      • 2. 자기주도적 학습 유도하기 VS 교육적 권위로 코칭하기
      • 3. 교육대학원 유지하기: “학생 충원” VS 교육대학원의 재구조화: “현실 인정”
      • Ⅴ. 나가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성, "한 교사교육자의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31-67, 2011

      2 전상훈, "교육대학원 평가체제의 발전 방향 탐색" 한국교육정치학회 17 (17): 31-50, 2010

      3 김병찬,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 분석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5-54, 2015

      4 유경훈, "교육대학원 경험 의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9) : 131-160, 2011

      5 이일용, "교원양성정책의 변화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9-39, 2012

      6 Elliott-Johns, S. E., "Working towards meaningful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as professional learning" 8 (8): 105-122, 2014

      7 Starr, L. J., "The use of autoethnography in educational research: Locating who we are in what we do" 3 (3): 1-9, 2010

      8 Lunenberg, M., "The teacher educator as a role model" 23 (23): 586-601, 2007

      9 Lunenberg, M., "The professional teacher educator: Roles, behaviou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ors" Sense Publishers 2014

      10 European Commission, "The profession of teacher educator in Europe" 2010

      1 이동성, "한 교사교육자의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교육인류학회 14 (14): 31-67, 2011

      2 전상훈, "교육대학원 평가체제의 발전 방향 탐색" 한국교육정치학회 17 (17): 31-50, 2010

      3 김병찬,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 분석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5-54, 2015

      4 유경훈, "교육대학원 경험 의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교육문제연구소 (39) : 131-160, 2011

      5 이일용, "교원양성정책의 변화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역할과 과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19-39, 2012

      6 Elliott-Johns, S. E., "Working towards meaningful reflection in teacher education as professional learning" 8 (8): 105-122, 2014

      7 Starr, L. J., "The use of autoethnography in educational research: Locating who we are in what we do" 3 (3): 1-9, 2010

      8 Lunenberg, M., "The teacher educator as a role model" 23 (23): 586-601, 2007

      9 Lunenberg, M., "The professional teacher educator: Roles, behaviour,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ors" Sense Publishers 2014

      10 European Commission, "The profession of teacher educator in Europe" 2010

      11 Ellis, C., "The ethnographic I: A methodological novel about autoethnography" AltaMira Press 2004

      12 Saldaῇa, J., "The coding manual for qualitative researchers" Sage 2009

      13 Loughran, J., "Teaching about teaching: Purpose, passion, and pedagogy" Falmer Press 1997

      14 Swennen, A., "Teacher educators: their identities, sub-identities and implica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36 (36): 131-148, 2010

      15 Lassonde, C. A., "Self-study research methodologies for teacher educators" Sense Publishers 2009

      16 Samparas, A., "Self-study for teacher-educators: Crafting a pedagogy for educational change" Peter Lang 2002

      17 Knowles, M. S., "Self-directed learning" Association Press 1975

      18 Bax, S., "Roles for a teacher educator in context-sensitive teacher education" 51 (51): 232-241, 1997

      19 Hostetler, K., "Retrieving meaning in teacher education: The question of being" 58 (58): 231-244, 2007

      20 Darling-Hammond, L., "Preparing teachers for a changing world: What teachers should learn and be able to do" Jossey Bass 390-441, 2005

      21 Richardson, L., "New writing practices in qualitative research" 17 : 5-20, 2000

      22 Blume, R., "Humanizing teacher education" 52 (52): 411-415, 1971

      23 Feiman-Nemser, S., "From preparation to practice: Designing a continuum to strengthen and sustain teaching" 103 (103): 1013-1055, 2001

      24 Tillema, H., "Facing dilemmas: Teacher-educators’ ways of constructing a pedagogy of teacher education" 10 (10): 203-217, 2005

      25 Richardson, V., "Encouraging reflective practice in education: An analysis of issues and programs" Teachers College Press 3-19, 1990

      26 Wall, S., "Easier said than done: Writing an autoethnography" 7 (7): 38-53, 2008

      27 Korth, B. B., "Defining teacher educator through the eyes of classroom teachers" 33 (33): 1-12, 2009

      28 Guilfoyle, K., "Constructing the meaning of teacher educator: The struggle to learn the roles" 22 (22): 11-27, 1995

      29 Darling-Hammond, L., "Constructing 21st-century teacher education" 57 (57): 300-314, 2006

      30 Bullough, R. V. Jr., "Being and becoming a mentor: School-based teacher educators and teacher educator identity" 21 (21): 143-155, 2005

      31 Chennat, S., "Being a reflective teacher educator" 2 (2): 1-14, 2014

      32 Duncan, M., "Autoethnography: Critical appreciation of an emerging art" 3 (3): 28-39, 2004

      33 Hayler, M., "Autoethnography, self-narrative and teacher education" Sens Publishers 2011

      34 Chang, H., "Autoethnography as method" Left Coast Press, Inc 2008

      35 Legge, M., "Autoethnography and teacher education: Snapshot stories of cultural encounter" 39 (39): 117-134, 2014

      36 Reed-Danahay, D, "Auto/Ethnography: Rewriting the self and the social" Berg 1997

      37 Simms, M., "A teacher-educator uses action research to develop culturally conscious curriculum planners" 21 (21): 1-10,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