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asch 모형을 이용한 Marlowe-Crowne의 사회적 정향성 척도 타당화 = Using Rasch Measurement Model to Evaluate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791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적 정향성(正向性)이란 “문화적으로 인정되고 지지 받는 행동을 추구함으로써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를 의미하며,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은 적으나 문화적으로 적절하고 옳다고 생각되는 쪽으로 편향되어 반응함으로써 자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표현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러한 응답자의 경향은 사회과학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자기보고식 검사에 대한 응답자의 반응을 왜곡시킴으로 인해서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응답자들의 왜곡된 반응을 통제해주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Crowne & Marlowe(1960)가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33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Marlowe-Crowne의 사회적 정향성 척도(Social Desirability Scale: SDS)를 개발 하였다. Marlowe와 Crowne이 개발한 척도는 MMPI나 Edwards(1957)의 척도와 비교할 때 정신병리학적 측면을 최소화한 척도란 점에서 지난 40년 동안 성격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활용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rowne & Marlowe(1960)가 개발한 33개 문항의 사회적 정향성 척도를 우리말로 번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척도평균점수가 다른 선행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신뢰도 또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성별, 학력별 통계 검증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대학생보다 대학원생이 사회적 정향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X문항 분포도 와 문항적합도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검사 문항의 난이도와 적합도가 타당했으며, 전체문항이 비교적 하나의 단일요인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는 첫째, 검사 대상의 확대를 위한 아동용, 청소년용 척도 개발, 성별, 학력 변인이외의 사회적 정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배경변인 효과 및 그에 따른 차별기능문항과의 관계 분석, 한국어판 간편형 사회적 정향성 척도 개발 연구 등을 제안 하였다.
      번역하기

      사회적 정향성(正向性)이란 “문화적으로 인정되고 지지 받는 행동을 추구함으로써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를 의미하며,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은 적으나 문화적으로 적절하고 옳다고 생...

      사회적 정향성(正向性)이란 “문화적으로 인정되고 지지 받는 행동을 추구함으로써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를 의미하며,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은 적으나 문화적으로 적절하고 옳다고 생각되는 쪽으로 편향되어 반응함으로써 자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표현하는 경향을 말한다. 이러한 응답자의 경향은 사회과학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자기보고식 검사에 대한 응답자의 반응을 왜곡시킴으로 인해서 검사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에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응답자들의 왜곡된 반응을 통제해주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Crowne & Marlowe(1960)가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33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Marlowe-Crowne의 사회적 정향성 척도(Social Desirability Scale: SDS)를 개발 하였다. Marlowe와 Crowne이 개발한 척도는 MMPI나 Edwards(1957)의 척도와 비교할 때 정신병리학적 측면을 최소화한 척도란 점에서 지난 40년 동안 성격연구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활용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rowne & Marlowe(1960)가 개발한 33개 문항의 사회적 정향성 척도를 우리말로 번안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척도평균점수가 다른 선행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신뢰도 또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성별, 학력별 통계 검증 결과는 남자가 여자보다, 대학생보다 대학원생이 사회적 정향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X문항 분포도 와 문항적합도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검사 문항의 난이도와 적합도가 타당했으며, 전체문항이 비교적 하나의 단일요인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는 첫째, 검사 대상의 확대를 위한 아동용, 청소년용 척도 개발, 성별, 학력 변인이외의 사회적 정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배경변인 효과 및 그에 따른 차별기능문항과의 관계 분석, 한국어판 간편형 사회적 정향성 척도 개발 연구 등을 제안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Social desirability refers to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present themselves in ways of socially favored fashion (Crowne & Marlowe, 1960, p.353).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validity of items by examining dimensionalities of the questionnaire, and to examine the consistency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using the Rasch model. For this purpose, all the original 33 ite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administered to the 286 college student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Firs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rlowe-Crowne scale are 14.47 and 4.88 respectively, which are similar to the findings reported by Marlowe-Crowne(1960) in their original study(M=13.72, SD=5.78). Seco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α=.73, that implies an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Third, the results of residual based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strument has a unidimensional structur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assumption of the Rasch model. All the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Marlowe-Crowne scale is a psychometrically sound research tool, and thus, can be used in the future studies.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Social desirability refers to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present themselves in ways of socially favored fashion (Crowne & Marlowe, 1960, p...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Social desirability refers to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present themselves in ways of socially favored fashion (Crowne & Marlowe, 1960, p.353).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test the validity of items by examining dimensionalities of the questionnaire, and to examine the consistency of the participants' responses using the Rasch model. For this purpose, all the original 33 item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administered to the 286 college students. The followings are the summary of the major findings;
      Firs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arlowe-Crowne scale are 14.47 and 4.88 respectively, which are similar to the findings reported by Marlowe-Crowne(1960) in their original study(M=13.72, SD=5.78). Seco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was α=.73, that implies an acceptable level of reliability. Third, the results of residual based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nstrument has a unidimensional structur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basic assumption of the Rasch model. All the finding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Marlowe-Crowne scale is a psychometrically sound research tool, and thus, can be used in the future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요약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경자, "가족연구에서 ‘사회적 미화경향척도’의 사용에 대한 고찰" 5 : 1-17, 1993

      2 "short form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417-424, 1993

      3 "homogeneous version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72191-193

      4 "Validation of scores on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and the valanced inventory of desirable responding" 65 (65): 140-154, 2005

      5 "Two-component models of 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46 : 598-609, 1984

      6 "The social desirability variable in personality assessment and research" Wiley 1957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lowe-Crowne form C and the validity scales of the MMPI" 38 : 119-125, 1991

      8 "The applicability of the Rasch model with varying item discrimination" 581-593, 1977

      9 Barger, S. D., "The Marlowe-Crowne affair : Short forms, Psychometric structure, and social desirability" 79 : 286-305, 2002

      10 "Statistical aspects of the analysis of data from retrospective studies of disease" 22 : 719-748, 1959

      1 윤경자, "가족연구에서 ‘사회적 미화경향척도’의 사용에 대한 고찰" 5 : 1-17, 1993

      2 "short form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417-424, 1993

      3 "homogeneous version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72191-193

      4 "Validation of scores on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and the valanced inventory of desirable responding" 65 (65): 140-154, 2005

      5 "Two-component models of 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46 : 598-609, 1984

      6 "The social desirability variable in personality assessment and research" Wiley 1957

      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lowe-Crowne form C and the validity scales of the MMPI" 38 : 119-125, 1991

      8 "The applicability of the Rasch model with varying item discrimination" 581-593, 1977

      9 Barger, S. D., "The Marlowe-Crowne affair : Short forms, Psychometric structure, and social desirability" 79 : 286-305, 2002

      10 "Statistical aspects of the analysis of data from retrospective studies of disease" 22 : 719-748, 1959

      11 Ballard,R, "Short form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71 : 1155-1160, 1992

      12 "Self-concept clarity : Measurement, personality correlations, and cultural boundaries" 70 : 141-156, 1996

      13 "Relationships of measures of anxiety and experimental instructions to word association test performance" 59 : 37-42, 1959

      14 Arroyo, "Racial identity,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adolescents" 69 : 903-914, 1995

      15 "Probabilitic Model for Some Intelligence and Attainment Tests" Danmarks Paedogogiske Institute 1960

      16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6-470, 1991

      17 "On the two-dimensional nature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44 : 507-514, 1980

      18 "On the robustness of factor analysis against crude classification of the observations" 14 : 485-500, 1979

      19 "Norwegian short-form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40 : 229-233, 1999

      20 Andrews, P,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and short form C" 59 : 483-492, 2003

      21 "MMPI-168 and Marlowe and Crowne profiles of adoptive application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863-866, 1994

      22 "Implications of agency and communication for patient and spouse adjustment to a first coronary event" 807-816, 1993

      23 "General and specific support expectations and stress as predictors of perceived supportiv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97-307, 1992

      24 "Further validation of three short forms of the Marlowe-Crowne scaled of social desirability" 595-600, 1989

      25 Andrich, L, "Extending the RUMM2020 analysis manual" 2004

      26 "Development of reliable and valid short form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38 : 119-125, 1982

      2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dividual-differences measure of hop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0-585, 1991

      2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measuring state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5-910, 1991

      29 "Data on the Marlowe-Crowne and Edwards Social Desirability scales" cri : 963-968, 1983

      30 "Cross validation of a short form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6-238, 1985

      31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f the full and short versions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140 : 628-635, 2000

      32 Anderson,E.B, "Conditional inference for multiple choice questionnaires" 26 : 31-44, 1973

      33 "A user's guide to Winsteps Rasch-model computer programs" 2005

      34 "A test of the hypothesis about the two-dimensional nature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51-259, 1977

      35 "A reliability generalization study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62 : 570-589, 2002

      36 "A new scale of social desirability independent of psychopathology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349-354, 1960

      37 "A cross-validation of the Marlowe-Crowne social desirability scale items" 64 : 137-145, 1964

      38 "A comparison of three structural models for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7-768, 1993

      39 "A Five-item measure of social desirable response set" 629-636,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1 0.91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3 1.646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