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예술을 논할 때, 그의 심미적, 지적, 기독교 측면이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의 예술의 한편에는 윤리적, 종교적, 전인 적 측면도 있음을 놓쳐서는 안된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7723539
下關 : 梅光女學院大學, 1997
1997
일본어
833 판사항(4)
일본
280 p. ; 27 cm.
Includes bibliographical reference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예술을 논할 때, 그의 심미적, 지적, 기독교 측면이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의 예술의 한편에는 윤리적, 종교적, 전인 적 측면도 있음을 놓쳐서는 안된다. ...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예술을 논할 때, 그의 심미적, 지적, 기독교 측면이강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의 예술의 한편에는 윤리적, 종교적, 전인 적 측면도 있음을 놓쳐서는 안된다. 특히 그와 기독교 관계를 논할 때는 기 독교 취미, 엑조티시즘, 호사벽 등이 지나치게 강조되어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아쿠타가와 기독교 인식의 토대는 무엇보다도 <성서> 그 자체에 있 었고, 또 <인간존재> 그 자체에 있었던 것을 재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가 무엇보다도 중히 여긴것은 도그마도 아니고, 제도로서의 교회나 신도의 신앙행 위도 아니었다. 그리스도라는 존재에서 '세계苦'그 자체를 짊어진 수난의 相인간존재 그 자체의 실존적 형상의 근원을 그는 발견했다. 그와 동시에 <믿 음>에 대해서는 어린 아이와 같은 순박한 <믿음>의 모습에 깊이 공감했다. 아쿠타가와와 기독교의 관계는 이 같은 전제 위에서만 바르게 논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같은 토대 위에서 아쿠타가와의 기독교 관련 작품 24편을 서 장, 종장과 본론을 8장으로 나누어 논했다. 서 장 제 1 장 기독교에 대한 관심 제 2 장 악마와 <악> 제 3 장 순교와 배교 제 4 장 愚人에 대한 동경 제 5 장 <믿음>에 대한 비판 제 6 장 기독교와 일본의 풍토 제 7 장 <죄>의 인식 제 8 장 그리스도를 향한 응시 종 장 이 같이 아쿠타카와의 기독교 인식은 엑조틱한 면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는 기독교를 종래 논자들이 논해 온 바와는 다른, 여러 측면에서 바라 보고 있다. 또 기독교 신앙에 대해서는 자신을 몰입시키기도 하고 때로는 제 삼자의 입장에 서기도 하여, 기독교 신앙에 대한 공감과 조소를 동시에 보내는 실로 그 인식의 다양함을 보여 주고 있다. 이는 아쿠타가와의 사상에 대한 시각이 중층적, 복안적 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의 작품의 일할을 넘게 차지하는 기독교 작품의 바른 해명이 그의 생애와사상을 논하는 가늠자가 된다고 보고, 본 논문은 그의 작품 속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을 통하여 그의 전 문학에 대한 평가의 척도를 찾고자 했다.